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3.160

Segmentation Strategy of SMEs Support Program in GRIs  

Song, Minkyoun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설연구소)
Gil, Wun-Gyu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사업화부문)
Sim, Yong-Ho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사업화부문)
Kim, Seo-kyun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사업화부문)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egmentation strategies by analyzing SMEs' perceptions of SME support program. That's why we used the research report of the NST(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which is advanced cooperation way between GRIs and SMEs based on market deman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the SME support program depending on the type of cooperation and the cooperation experience with GRIs. This implies that a differentiated support strategy i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successful partnership between GRIs and SM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open collaborative ecosystem formation in the future based on the support strategies of each cluster. And it is expected to help SMEs improve the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of support through effective customization support do.
Keywords
Market Segmentation; Technology Collaboration; SME Support Program; Cluster Analysis; ANOVA;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L. Miotti and F. Sachwald, "Co-operative R&D: Why and with Whom? An Integrated Framework of Analysis," Research Policy, Vol.32, No.8, pp.1481-1499, 2003.   DOI
2 김환진, 김병근, "기술제휴의 동기가 하이테크기업의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거버넌스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거래비용이론과 자원준거이론의 통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제21권, 제2호, pp.225-254, 2013.
3 강석민, "협력 네트워크에 관한 내부 및 외부 선행요인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협력 네트워크의 영향," 한국비즈니스리뷰, 제9권, 제1호, pp.13-23, 2016.
4 김나미, "R&D 협력 파트너 유형 및 의존도와 혁신의 성과: 한국 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 연구,"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제19권, 제4호, pp.1-17, 2016.
5 김원, 정선양, "전유성이 기술협력 및 제품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정부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131-148, 2016.
6 김형수, 양동우, "기술협력 유형 결정요인에 관 한 실증연구-중소제조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6587-6598, 2014.
7 이선영, 서상혁, "정부지원 중소기업 기술협력사업의 성과판별 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4권, 제3호, pp.664-688, 2011.
8 강석민, "중소기업 기술협력의 장기관계지향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비즈니스리뷰, 제10권, 제1호, pp.63-73, 2017.
9 K. R. Tuli, S. G. Bharadwaj, and A. K. Kohli, "Ties that Bind: The Impact of Multiple Types of Ties with A Customer on Sales Growth and Sales Volati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7, No.1, pp.36-50, 2010.   DOI
10 P. J. Carrington, J. Scott, and S. Wasserman, Models and Methods in Social Network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1 이호택, "제조-유통업체의 관계복잡성이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유통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p.171-179, 2015.
12 이호택, "제품개발영역에서 제조-유통업체의 관계복잡성이 매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통연구, 제20권, 제4호, pp.133-156, 2015.
13 김진한, 박진한, 정기대, "중소기업의 기술협력에서 흡수역량의 역할," 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01-129, 2013.
14 박혜숙, 백두권, "군집분석을 활용한 사용자 등급 기반의 서비스 수락 정책," 정보처리학회지, 제3권, 제99호, pp.461-470, 2005.
15 정수미, 이건호, "제품별 구매고객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귀납규칙 및 IRANN 모형,"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0권, 제4호, pp.117-130, 2005.
16 이양구, 김원태, 정영진, 김광득, 류근호, "날씨 마케팅 적용을 위한 기후 데이터의 군집분석," 한국GIS학회지, 제7권, 제3호, pp.33-44, 2005.
17 김도훈, "한국 산업발전과 향후 과제," 한국경제포럼, 제6권, 제4호, pp.15-35, 2014.
18 D. Ernst and J. Bamford, "Your Alliances Are Too Stable," Harvard Business Review, Vol.83, No.6, pp.133-141, 2005.
19 R. Cagliano and G. Spina,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strategically flexible production,"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Vol.17, pp.193-224, 2000.
20 D. Chatterji, "Accessing External Sources of Technology," Research Technology Management, Vol.39, No.2, pp.48-56, 1996.
21 조상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개발 성과확산 동향,"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22 R. W. Palmatier, R. P. Dany, and Dhruv Grewal, "A Comparative Longitudinal Analysis of Theoretical Perspectives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Performance," Journal of Marketing, Vol.71, No.4, pp.172-194, 2007.   DOI
23 M. Kilduff and W. Tsai, "Social networks and organizations," 2003.
24 박기주, "과학기술분야 연구회 R&D예산의 현황과 구조분석," 예산정책연구, 제3권, 제1호, 2014.
25 M. Song, J. Park, and B. Park, "Determinants of R&D Commercialization by SMEs after Technology Transfer,"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Vol.6, No.1, pp.45-57, 2017.   DOI
26 박지원, 윤수진, 박범수, "공공R&D 이전기술의 사업화 성공요인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기술혁신학회지, 제18권, 제1호, pp.28-48, 2015.
27 임인종, 이상명, 이정환, "하이테크 산업에서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전자부품연구원과 프로브카드 회사의 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3호, pp.490-518, 2014
28 임채윤, 이윤준, "기술이전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정부출연연구소를 중심으로," 정책연구, pp.1-183, 2007.
29 길운규, 심용호, 김서균, "ETRI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의 ISA 분석을 통한 출연연 기술창업 성과 제고 정책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5호, pp.45-56, 2016.
30 심용호, 길운규, 김서균,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추진방안의 효과성 분석,"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121-130, 2015.   DOI
31 이성상, "연구자의 창업의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소기업 설립, 운영의 효과,"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1호, pp.69-77, 2014.
32 송민경, 박지원, 박범수, "출연(연)과 중소기업의 장기적 협력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출연(연)의 인력파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654-665, 2017.   DOI
33 박기주, 김근환, "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중소기업 R&D지원 현황과 체계 분석: 자기조직적 거버넌스 개념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 pp.479-49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