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동

Search Result 4,86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International Social Cooperative Case Study -Italy, Canada, and France- (해외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연구 -이탈리아, 캐나다 및 프랑스-)

  • Du, Cheng-Lin;Chang, Sug-In;Jin, Jae-Keun;Lee, Nam-Gyum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5 no.1
    • /
    • pp.137-147
    • /
    • 2020
  • Social co-operatives, which are working positively to realize the economic and social purpose of being carried out directly through products and services producing the public interest, are steadily expanding under the public interest mission of social co-operatives. It has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to study the model of social co-operatives tailored to the local situation in Korea based on international experience. This study looks at the international status of social co-operatives, international cases, and puts forward problems and suggestions centering on cases of advanced countries. It sought to find a solution to what society required only by solving the problems necessary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social cooperatives of advanced countries, such as Italy, Canada, and France, were organized, compared and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the implications of co-operatives in Italy, France and Canada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adhere to the principles of co-operatives in pending issues such as social problems and employment and jobs in the commun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pportive financial system for the cooperative's initial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Third, the ecosystem of co-operatives should be formed to support and foster legal systems and network organizations.

The Effect of Push Technology on Learner's Performance and Learning Motivation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Push 기능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Lee, Kwang-Jae;Yang, Chang-M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357-366
    • /
    • 2005
  • 본 연구는 웹 기반 협동학습 환경에서 Push기능이 학업성취도,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1.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Push 기능에 따른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2.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Push 기능에 따른 집단 간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3. 웹 기반 협동학습 환경에서 Push 기능과 학습자의 학습능력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웹 기반 협동학습을 위한 웹 게시판을 제작하였다. 본 실험을 위한 교과와 단원은 초등학교 사회과 4학년 1학기 2단원 '우리 시 도의 발전하는 경제'였다. 사전 검사를 통해 동질성이 확인된 충북 음성군 소재 공립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의 36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은 동일한 협동학습 환경에서 Push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았다. 실험처치에서 얻은 검사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Push 기능에 따른 집단 간 학업성취도 차이가 없었다. 둘째,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Push 기능에 따른 학습동기가 차이가 있었다. 즉, Push 기능 적용 집단이 학습동기에서 효과적이었다. 셋째,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는 Push 기능과 학습자의 학습능력수준(상 하)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Push 기능은 학습동기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PDF

Current Situation of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Teachers' Perceptions toward Cooperative Learning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협동학습의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 Noh, Taehee;Han, Jiwon;Kang, Sukji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8 no.6
    • /
    • pp.630-637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CL)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teachers' perceptions toward CL in science instructions. Participants were 138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96 of them had experiences of implementing CL in their science classe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ny teachers did not seem to comprehend CL and some of them did not seem to distinguish CL from the traditional small group learning. The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of implementing CL tended to exhibit positive perceptions toward CL than their counterpart in the effects of CL category whereas they did not show any positive evidence in the processes of CL category. The influences of teaching career a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service training about CL on teachers' perceptions toward CL were not clear.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Upbringing Way of Cooperative Company on Food Industry (국내외 산업동향 - 식품분야 협동조합기업 육성방안)

  • Park, JinSeo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5 no.2
    • /
    • pp.170-175
    • /
    • 2012
  • 국가의 글로벌화 전략에 따라 한 EU, 한 미 FTA가 발효를 앞두고 있으며, 중국도 단순히 농수산물 생산지원에서 탈피하여 농산물 가공촉진을 위한 계획수립 및 지원을 추진 중이다. 이런 대외의 상황변화에 따라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식품기업은 고가의 메스티지 제품 생산이나 저가의 범용식품생산에서도 경쟁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노령인구로 인한 농업생산의 구조조정이 완료된 유럽이 농업 및 식품산업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배경은 다양한 협동조합기업 그리고 협동조합기업연합의 활발한 경영활동과 한 번 협동조합기업에 가입하면 그 협동조합을 통해 농산물 등을 유통해야 하는 법과 제도에 기반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농업협동조합법" 등 기존 8개의 개별법체제는 농수산물생산자 중심으로 식품을 생산하는 중 소규모 식품기업이 연합하여 규모화를 달성할 수 있는 법인을 설립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미비하였으나,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을 계기로 중 소 식품기업이 함께 공동체를 구성하여 대기업이나 수입식품에 대한 경쟁력을 갖기를 희망한다.

  • PDF

Collaborative Tracking Using Multiple Network Cameras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협동 추적)

  • Jeon, Hyoung-Seok;Jung, Jun-Young;Joo, Young-Hoon;Shin,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88-188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협동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모션 템플릿 기법을 통하여 영상내의 움직임 영역을 추출한다. 이후 움직임 영역이 추출되면 이웃한 카메라에 협동요청을 하고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여 정확한 PTZ변수를 설정한다. 또한 협동요청을 받은 이웃 카메라는 요청받은 PTZ변수를 이용하여 움직임 물체를 협동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협동 추적 알고리즘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협동 추적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및 그 응용 가능성을 증명한다.

  • PDF

The Conceptual Model of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operative Union's Organizational Performance (협동조합의 조직성과에 대한 조직문화 매개효과의 개념적 모형)

  • Yang, Yong-Sun;Jun, S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897-90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협동조합들 중 대표적인 협동조합이라고 할 수 있는 농업협동조합을 대상으로 협동조합의 특수성에 맞는 리더십을 모색하여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조직성과에 미치는 리더십 및 조직성과의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 행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리더십이 조직성과 즉 조직 몰입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문화에 미치는 관계를 연구할 수 있는 모형 및 분석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리더십과 조직성과의 측정은 농업협동조합으로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리더십, 조직문화, 조직성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Model of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On-line Game (온라인 게임을 응용한 협동학습 모형)

  • Roh Chang-Hyun;Lee Wan-Bok
    • Journal of Game and Entertainment
    • /
    • v.2 no.3
    • /
    • pp.8-14
    • /
    • 2006
  • The social interest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educational game has been increase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value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game. Based on this investigation, we propose an educational on-line game model for collaborative learning. Although the proposed model is still conceptual design, it sufficiently shows that on-line RPG game can be a good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 for young children. In detail, we speculate about the conventional educational method performed in normal school. And then, we describes the elements of a computer game which complies with the real 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

  • PDF

행사 - 대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연합회 정기총회

  • Jo, Gap-Jun
    • 프린팅코리아
    • /
    • v.12 no.4
    • /
    • pp.44-45
    • /
    • 2013
  • 대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연합회(회장 고수곤)는 지난 2월 27일 인쇄정보센터 7층 강당에서 허철종 대한인쇄문화협회 전 회장, 홍우동 대한인쇄문화협회 명예회장, 김직승 대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연합회 전 회장, 이충원 대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연합회 명예회장, 김남수 대한인쇄문화협회 회장, 김진배 대한인쇄기술협회 회장, 남원호 서울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이사장, 서병기 대한인쇄연구소 이사장을 비롯한 전국 지방인쇄조합 이사장 및 대의원 100여 명이 참석한 기운데 2013년도 정기총회를 개최됐다.

  • PDF

효과적인 통계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지원시스템

  • Han, Beom-Su;Han, G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39-241
    • /
    • 2002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협동학습 영역에 대한 연구가 각 전공영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통계학 교육에서도 협동학습은 새로운 교육방법은 아니며, 협동학습을 통해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몇몇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근래의 발달된 정보통신 기술들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과거의 방식에만 얽매여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기술을 적절히 활용한 협동학습 지원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 사례를 제시한다.

  • PDF

수학에서 협동 학습에 관한 기초연구

  • Seo, Jo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229-250
    • /
    • 2001
  • 협동 학습은 학습자간의 긍정적 상호 작용을 촉진하여 학습의 극대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수업 방법으로, 수학 과목에서 협동 학습은 수학에 대한 성취도, 태도, 문제 해결력 등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수학 과목에서 협동학습에 대한 국${\cdot}$내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중학교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성취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여 학습양식에 따라 소집단을 구성한 수학에서의 협동 학습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