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ational Social Cooperative Case Study -Italy, Canada, and France- |
Du, Cheng-L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ang, Sug-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Jin, Jae-Keun (Kongju National University) Lee, Nam-Gyum (Kongju National University) |
1 | 장종익(2013), 이탈리아, 몬드라곤, 프랑스 노동자협동조합 발전 시스템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협동조합연구, 31(2), 209-230. |
2 | 장종익(2014), 협동조합 비즈니스 전략 : 협동조합의 개념.비즈니스 모델.사례, 서울 : 동하 : 디자인커서. |
3 | 제라드 페론(2013), 협동조합과 지역사회 개발 : 캐나다 퀘벡 주 협동조합발전 구조, 충남발전연구원. |
4 | 조미형(2014),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 협동조합의 가능성 탐색, 한국농촌지도학회지, 23(3), 91-119. |
5 | 강민수(2012),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협동조합, 도시문제, 통권 (527), 19-24. |
6 | 강민수(2014a), 협동조합기본법 개정안에 대한 이해, 협동조합 네트워크 통권 (64), 71-85. |
7 | 강민수(2014b), 왜 협동조합 교육인가? 협동조합 네트워크 통권 (64), 15-25. |
8 | 강예은(2014), 한국 사회적 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요소의 추출과 사례적용,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논문. |
9 | 김기태(2012), 협동조합을 통한 사회적 기업 활성 화에 대한 비전, 카리타스 사회적 기업 심포지엄발표 자료집,15-38. |
10 | 김기태(2014), 기본법 시행 1년 협동조합설립 현황으로 본 2014년 전망, 협동조합 네트워크통권 (64), 51-70. |
11 | 김복태.이은국.정수형(2013)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에 따른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캐나다 퀘벡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57-84. |
12 | 김신양(2012),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열린 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 생협평론 (7), 24-38. |
13 | 김영호(2013), 한국 협동조합의 발전 방향 연구: 사회복지 관점에서의 연구,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4 | 박경진(2016), 사회적 협동조합 다중이해관계자 구성과 참여 연구,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15 | Carini, C., Costa, E., Carpita, M., et al.(2008), "The Italian social cooperatives in 2008: A portrait using descriptive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Euricse Working Paper, N.035 12. |
16 | CICOPA (2011), "World standards of social cooperatives", CICOPA. |
17 | Thomas, A. (2004), "The rise of social cooperatives in Italy", Voluntas, 15(3), 243-263. DOI |
18 | 김현대(2011), 자본주의 위기에 대안 협동조합으로 기업하기, HERI Insight 연구보고서 3호, 한겨레경제연구소. |
19 | 류창호(2015), 협동조합기본법상 협동조합의 조직과 구조, 아주법학, 8(4), 287-320. |
20 | 박광동(2015), 사회적 협동조합의 현황과 법적 과제. 아주법학, 9(3), 63-86. |
21 | 이준호.김동준.장승권(2013), 협동조합의 핵심역량과 신뢰기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지속 가능 전략 : 충북괴산군 불정농협 사례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 대회 논문집. |
22 | 진성희(2016), 사회적 협동조합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광진구 사회적 협도조합 도우누리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3 | 설광석 외(2012),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KRILA Focus 제51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24 | 송재일(2014), 협동조합법제에서 협동조합간 협동: 협동조합 섹터의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중심으로, 협동조합경영연구, 40(0), 35-71. |
25 | 윤길순(2015), 사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협동조합의 거버넌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6 | 이경원(2018), 사회적 협동조합의 자립 양상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논문. |
27 | 이철진(2017), 돌봄사회서비스와 사회적 협동조합의 조응성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8 | 임선희(2016), 사회적 협동조합 방식의 돌봄서비스 공급에 대한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9 | 박찬선(2019), 한국의 사회적 협동조합 발생 및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0 | 박춘기(2014), 사회적 협동조합의 혁신과 전략과제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1 | 장종익(2011), 협동조합의 규모화와 조직전략, 한국협동조합연구, 29(2), 17-38. DOI |
32 | 장종익(2013), 사회적 경제는 우리사회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 협동조합을 통한 협력경제 실현 방안 모색-정책발표2 협동조합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국회의원문재인, 김성주 주최포럼: 35-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