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청학적검사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33초

보존된 사람 동종 복재정맥 이식편혈관 내피세포의 생활성에 관한 연구 (Viability of Endothelial Cells in Preserved Human Saphenous Vein Allografts)

  • 지현근;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229-241
    • /
    • 2003
  • 관상동맥 우회술이나 말초 혈관 우회술 시 가장 많이 쓰이는 대체 혈관은 자가 복재정맥이나, 이러한 정맥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동종 복재정맥이 이용되어 왔다. 1900년대 초부터 시작된 동종 정맥의 이식은 아직도 그 이용에 대하여 논란이 있으며 보존 방법에 따른 혈관 내피세포나 평활근의 생활성 평가에 있어도 큰 편차가 있다. 특히 혈관 내피세포의 항응고 기능이나 nitric oxide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동종 정맥 이식에 있어도 이들의 생활성 및 항원성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사람의 복재정맥을 보존하였을 때 보존 방법 및 기간에 따른 혈관 내피세포의 생활성의 평가를 목적으로 하였다. 신선 복재정맥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복재정맥은 RPMI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에 10% 우태혈청이 포함된 $4^{\circ}C$ 조직 배양액에 넣어 각각 1일(24시간), 3일, 5일, 7일, 14일간 냉장 보존(cold storage)하였다. 기간별 냉장 보존이 끝나면 반으로 나누어 이 상태의 정맥을 I군(I-1, I-3, I-5, I-7, I-14)으로 정하고 냉장 상태에서 실험하였으며, 나머지는 10% 우태혈청과 10% DMSO가 포함된 RPMI 1640용액에 넣고 $-196^{\circ}C$의 액화 질소 탱크에서 2주간 냉동 보존 후(cryopreservation), $37^{\circ}C$에서 급속 해동하여 냉장 보존된 기간에 따라 II군(II-1, II-3, II-5, II-7, II-14)으로 정하여 실험하였다. 각 군의 생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내피세포의 관찰, 트롬보모듈린(thrombomodulin)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이용한 혈관 내피세포의 항응고기능, 효소 소화에 의한 정맥에서의 혈관 내피세포 분리 후 트리판 블루(trypan blue)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자현미경을 통한 세포의 형태학적 검사에서 Groups I-7, I-14, II-5, II-7, 그리고 II-14정맥군들이 Gundry score의 의미 있는 증가(p <0.05)를 보이는 형태학적 변화가 나타났다. 트롬보모듈린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검사와 트리판 블루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 검사에서는 냉장군은 7일째 생활성 저하를 나타냈으나 냉동 보존군에서는 보존 기간에 상관없이 모두 생활성이 저하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사람의 복재정맥을 우태혈청이 포함된 $4^{\circ}C$의 RPMI 1640에 냉장 보존하였을 경우 냉장 7일째부터 형태학적, 기능적 생활성 저하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196^{\circ}C$에 냉동 보존한 경우에는 냉장 5일 후 냉동 보존한 정맥에서도 형태학적인 생활성 저하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혈관 내피의 항응고 기능을 나타내는 트롬보모듈린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는 냉동 보존한 대부분 정맥에서 기능적 생활성이 저하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생활성 및 항응고 기능의 저하가 일시적인 현상인지의 여부와 이러한 기능 저하가 이식 혈관의 장기 개통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Immunoblot를 이용한 폐흡충 비항원의 특이 항원대의 증명 (Demonstration of species-specific and cross reactive components of Paragonimus tvestermani crude worm antigen by EITB)

  • 주경환;안혁;정명숙;임한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1호
    • /
    • pp.9-14
    • /
    • 1989
  • 폐흡충중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객담에서 충란을 검출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진단법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이소기생의 경우는 물론, 본 기생충의 감염자 및 감염 강도의 감소로 인해 실제 폐에 기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객담 검사의 민감도가 매우 낮아져 혈청학적 검사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식염수 추출액을 항원으로 하여 효소면역 측정법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면역 진단을 실시하고 있으나 조항원의 단백 구성이 복잡하여 간흡충을 비롯한 몇몇 흡충류 감염자 혈청에서 교차 반응이 야기되고 있다. 그동안 정제 항원을 만들고자 하는 시도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특이 항원의 분리는 실제로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폐흡충 조항원을 SDS-PAGE로 전기영동한 다음 EITB를 이용하여 항원대별 항원성 및 특이성을 관찰하여 폐흡충 조항원의 폐흡충증 혈청에 대한 특이 반응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항원은 실험적으로 개에 감염시켜 24주만에 얻은 폐흡충 성충의 식염수 추출액이며 3∼20%의 linear gradient gel에서 SDS-PAGE하였다. Silver 염색한 결과 229 kDa∼10kDa 사이에서 26개의 항원대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주요 항원대에 대하여 EITB를 실시한 결과 폐흡충 감염자 혈청은 229, 91, 60, 50, 35∼31, 27, 25, 21, 17, 11 및 10kDa의 분자량을 갖는 항원대와 반응하였다. 간흡충 감염자 혈청은 35∼31, 19, 11및 17 kDa의 항원대와 반응하였고 낭미충 감염자 혈청은 229, 31∼31, 27, 25 및 17kDa의 항원대와 반응하였다. 광절열두조충 1예도 17 kDa의 항원대와 반응하였다. 따라서 91, 60, 21 및 10kDa의 항원대 중 일부가 폐흡충 조항원에 있어서 체홉충에 대한 종특이 항원대로 생각되었으며 향후 immunoblot을 이용한 폐흡충중의 면역진단에 이용될 수 있는 항원대로 간주할 수 있었다.

  • PDF

산전 진단을 위한 임신 중기 양수 천자 (Midtrimester Amniocentesis for Prenatal Diagnosis)

  • 김숙령;최은정;김태윤;권경훈;송남희;오선경;지희준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5권2호
    • /
    • pp.125-130
    • /
    • 2008
  • 목 적: 양수 천자를 이용한 세포 유전학적 결과와 산전 유전 진단의 적응증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지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8년간 미즈메디 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산모 중 산전 유전 진단의 적응증에 해당되어 양수 천자를 시행한 2,523예에 대하여 세포 유전학적 검사 결과를 종합 분석하였다. 결 과: 양수 천자를 시행한 2,523예의 적응증은 고령의 산모가 1159예(45.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양성 산모혈청 표지자가 755예(29.9%)로 많았다. 염색체 핵형 분석 결과로는 정상 핵형이 2,413예(95.6%)였으며, 염색체 이상을 보인 경우가 110예(4.4%)였다. 염색체 이상을 보인 110예에서는 수적 이상이 38예(34.5%), 구조적 이상이 65예(59.1%), 모자이시즘이 7예(6.4%)로 나타났다. 위의 110예의 염색체 이상을 적응증에 따라 분석한 결과에는 고령의 산모로 의뢰된 경우가 40예(36.4%)로 가장 많았으며, 양성 산모 혈청 표지자가 36예(32.7%)로 많았다. 결 론: 양수 천자는 산전 진단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에 고령 산모, 산모 혈청 표지자 검사 그리고 초음파 소견과 같은 적응증은 태아의 염색체 이상 등을 예측하기 위한 산전 세포 유전학적 진단에 효과적인 요인이 된다. 이에 지난 8년간의 미즈메디에서 시행한 산전 세포 유전학 분석 결과는 산전 진찰 및 유전 상담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일본도시근교낙농장(日本都市近郊酪農場) 유우(乳牛)의 우백혈병감염(牛白血病感染)에 대한 혈청학적(血淸學的) 조사연구(調査硏究) (A serological survey of bovine leukemia virus infection in dairy cattle in the suburban farming area of Japan)

  • 사카이 타케오;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5-121
    • /
    • 1989
  • 1983년(年)부터 1985년도(年度)까지 사이에 일본(日本) Saitama현(縣) 각소도시근교(各小都市近郊)의 낙농장(酪農場)에서 사육(飼育)되는 2,407두(頭)의 유우(乳牛)를 대상(對象)으로 BLV(bovine leukemia virus) 감염여부(感染與否)를 혈청학적검사(血淸學的檢査)(agar-gel immunodiffusion test)를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평균양성율(平均陽性率)은 4.9%이었고, 연령(年齡)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2.6%에서 부터 9.8%까지 양성율(陽性率)이 있으며, 동일지역(同一地域)에서도 조사낙농장별(調査酪農場別)로 양성율(陽性率)은 큰 차(差)가 있었다. 본조사연구(本調査硏究)의 결과(結果)를 BLV감염(感染)에 대한 수의역학적(獸醫疫學的) 기초자료(基礎資料)로 제시(提示)하는 바이다.

  • PDF

도축돈의 폐렴병소에서 분리한 Pasteurella multocida 에 대한 연구 (Studies on Pasteurella multocida isolated from pneumonic lungs of slaughter pigs)

  • 안병철;조광현;김봉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11-516
    • /
    • 1994
  • 이 실험은 도축돈의 폐에서 Pasteurella multocida 감염의 발생빈도를 조사하고 분리된 Pasteurella multocida의 항생제에 대한 약제감수성, 생화학적특성, 협막혈청형의 분류 및 독소생성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실험재료로는 영남지방의 돼지 450두가 사용되었으며, 재료채취는 1992년 4월부터 1993년 3월 사이에 시행되었다. P multocida는 도축돈의 폐 450예에서 80주가 분리되어 17.7%의 분리율을 나타내었다. 분리균 대부분의 생화학적 및 배양성상은 reference strain의 것과 일치하였으며, 분리균 80주의 협막혈청형을 동정한 결과 77주가 type A, 나머지 3주가 type D로 나타나 각각 96.3%, 3.8%의 분포비를 나타내었다.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검사에서 모든 분리균주는 ampicillin, ceftiofur, cephalothin, ciprofloxacin, penicillin-G 등에 대해서는 매우 감수성이 높았으며 이들 분리균중 일부는 sulfadimethoxine과 streptomycin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분리균 80주중 61주가 독소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ype A 77, type D 3주중 76.6%가 각각 독소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협막혈청형간에 독소생성능의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가와사끼병에서 혈청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Kawasaki disease)

  • 이호석;윤신원;정영수;채수안;임인석;이동근;최응상;유병훈;이미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995-1004
    • /
    • 2007
  • 목 적 : 가와사끼병은 전신성 혈관염으로 소아 후천성 심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혈관내피세포 생성인자는 미세혈관 투과성 및 혈관생성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가와사끼병에서 심장 합병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와사끼병에서 임상 양상, 심장 합병증, 감마글로불린 치료에의 반응 여부, 검사실 소견과 VEGF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 가와사끼군은 4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급성기, 아급성기, 회복기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심장초음파 이상소견 및 감마글로불린 반응군 및 불응군을 정의하였다. 결 과 : 1) 가와사끼군과 대조군은 연령 및 체중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급성 발열기 가와사끼군에서 혈청 VEGF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3) 정형적 가와사끼군과 비정형 가와사끼군의 급성기 혈청 VEGF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관상동맥 병변이 있는 군과 없는 군 간의 혈청 VEGF는 급성기와 아급성기 및 회복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심염이 있는 군과 없는 군 간의 혈청 VEGF는 급성기와 아급성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감마글로불린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급성기, 회복기 혈청 VEGF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아급성기 혈청 VEGF는 불응군이 반응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또한 감마글로불린 불응군 중에서 아급성기 혈청 VEGF가 급성기, 회복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7) 회복기 관상동맥 변화 지속군과 비지속군의 급성기, 아급성기 혈청 VEGF의 차이는 의미 있었으나, 회복기 혈청 VEGF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8) 총 발열기간과 급성기 혈청 VEGF 간의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아급성기 혈청 VEGF는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9) 급성기 혈청 VEGF는 적혈구침강속도, C-반응성단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백혈구는 모든 시기의 혈청 VEGF와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10) 급성기, 아급성기 혈청 VEGF는 혈색소와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알부민과도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혈청 VEGF는 가와사끼병의 중증도 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아급성기 값이 심합병증의 예측인자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검사실 소견과의 관계를 통해 염증반응지표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더 엄격한 진단기준과 더 많은 대상 환아를 기초로 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산란계의 주요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혈청학적 모니터링 결과 및 분석 (Serological Survey for the Major Viral Diseases in the Layers)

  • 이혜림;김종만;김진형;김창문;소현희;이동우;하봉도;홍성철;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61-3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충북대학교 조류질병학실험실에 2009년 한 해동안 의뢰된 산란계의 혈청 검사 결과에 대해 분석하여, 산란계의 주요 질병에 대한 국내 산란계의 면역 상태 및 질병 감염 실태를 파악하였다. 검사 대상 질병은 AI, ND, IB, aMPV, EDS'76, IBD, CIA이었으며, 산란계의 성장 단계에 따라 주령 구간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AI, ND, IB는 모체 이행항체가 감소한 후 산란 기간에 걸쳐 혈청 역가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AI는 모든 주령 구간에 걸쳐 음성인 계군이 존재하는 반면, ND는 3~10 주령 구간의 한 음성 계군을 제외하고 전 주령에 걸쳐 100%의 계군 양성률을 보이고, ND의 평균 GMT가 AI의 평균 GMT보다 높았는데, 이는 두 질병의 백신 정책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IB의 산란기의 안정적인 역가는 백신 역가에 산란기 전반에 걸친 야외 감염 개체의 존재로 인한 야외 감염 역가가 더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aMPV는 2009년에 백신을 실시하지 않았던 질병이므로, 양성 역가를 통해 aMPV의 야외 감염을 추적할 수 있었으며, GMT 변화 및 계군 내양성 개체율의 증가 경향을 통해 일령이 증가할수록 야외 감염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EDS'76은 산란 기간에 걸쳐 높은 양성률과 낮은 변이계수를 보여 야외 감염이 아닌 백신에 의한 역가 형성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IBD의 모체이행항체는 높은 수준으로 이행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IA는 백신을 적용하지 않은 계군에서 양성과 음성 계군이 모두 존재하였으며, 그 차이는 차단 방역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산란계에서의 혈청 역가 분포를 파악하는데 많은 정보를 얻을수 있었으나, 향후 지속적인 야외 계군의 혈청학적 모니터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에서 발생한 구리 축적성 간경화에 D-penicillamine, SAMe, DBB로 병용 치료하여 장기간 생존한 1례 (Long-term Management of Copper-associated Hepatic Cirrhosis with D-penicillamine, SAMe, and DBB in a Dog)

  • 서경원;이영흔;방동하;안진옥;고예린;황철용;김대용;윤화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9-253
    • /
    • 2011
  • 4살령의 아메리칸 코가 스파니엘이 식욕부진, 몸떨림 그리고 복부 팽만증세로 내원하였다. 혈청학적 검사, 방사선 검사, 초음파 검사 그리고 간생검을 통한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경화로 진행된 만성 간염으로 진단할 수 있었으며, 특수 염색법을 통해 대부분의 간세포내에 구리가 축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리 농도는 1460 ppm으로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리 축적으로 인한 간염이 간경화까지 진행된 말기 병변으로 진단하고 D-penicillamine, s-adenosymethionine,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과 대증 치료로 본 환자를 치료 하였으며, 본 환자는 진단 후 35개월을 생존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젊은 성숙 알라스칸 말라뮤트에서 특발성 다발성근염 증례 (Idiopathic Polymyositis in a Young Mature Alaskan malamute)

  • 이재일;홍성혁;손화영;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4-246
    • /
    • 2007
  • 20 개월령의 알라스칸 말라뮤트 견에서 특발성 다발성근염의 임상증상과 병리학적 소견을 서술하였다. 임상 증상은 급성 허약을 동반한 진행성 운동불내성, 근 위축, 후지의 동시적 걸음걸이, 계란 위를 발끝으로 걷듯 짧고 경직된 걸음 등을 보였다. 신체검사와 임상검사에서는 신경계나 골격계 그리고 다른 질병과 관련된 이차적인 근 질환의 증거가 없었다. 그래서 가장 근 위축이 심한 부위에서 병리조직 검사를 위한 근 생검을 실시하였다. 골격근의 병리검사 결과 근 섬유의 괴사와 함께 단핵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어, 특발성 다발성근염으로 진단하였다. 초기치료는 통증경감과 보조치료를 시작하여 프레드니손 2 mg/kg를 경구로 매일 투여하는 면역억제 요법을 시행하였다. 3주 후 환자는 혈액, 혈청학적 검사에서 정상으로 회복될 뿐만 아니라 걸음걸이, 식욕, 운동의 향상을 나타냈다.

Biochemical thuringiensis, 23 serovars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23 serovars)

  • Lee, Hyung-Hoan;Park, Mi-Yeoun;Lee, Chang-Woo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5-208
    • /
    • 1986
  •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중 23 serovars의 생화학적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23개의 혈청성 균주는 모두 그람염색에 양성반응을 나타냈고, 내독소와 아포를 형성하며, KIA배지에서 산과 알칼리를 생산하고, 포도당배지에서 깨스를 생산하며, 전분을 가수분해하고, nitrate을 환원하나, H$_2$S 와 indole을 생산하지 않았고, 또한 lysine, ornithine, phenylalanine, malonate, lactose, dulcitol, adonitol, inositol, sorbitol, arabinose, raffinose, rhamnose, maltose, xylose을 분해치 않고, oridase를 생산하지 않았다. 18 serovars는 MR 검사에서 양성 이였고, 15 serovars는 VP검사에서 양성이였다. 4 serovars 는 citrate을 이용했다. 5 serovars는 포도당 배지에서 산을, 2 serovars는 DNase를, 15 serovars는 lecithinase를 생산했다. 12 serovars는 arginine을, 11 serovars는 sucrose를, 2 serovars는 manitol을, 9 serovars는 salicin을 분해했다. serovar tochigiensis만이 hemolysis를 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