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당조절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22초

대전시 보건소 내원 당뇨병환자들의 치료실태 및 치료 순응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Status and Treatment Compliance of Diabetics Who Visited the Health Centers of Daejeon City)

  • 이태용;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41-1147
    • /
    • 2009
  • 본 연구는 대전시 보건소에서 당뇨병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577명을 대상으로 치료순응도 및 혈당 조절 실태를 2007년 7월 30일부터 2008년 2월 24일까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식후 혈당수준이 200mg/dl 미만인 경우가 58.5%, HbA1C가 7% 미만인 경우가 67.9%로 많은 당뇨병환자에게서 혈당조절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식후 혈당수준과 HbA1C 조절정도는 보건소마다 차이가 있었다. 당뇨병 치료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경우는 88.0%로 높게 나타났고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해 식이, 운동요법이 필요하다고 인지하는 환자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환자들은 약의 규칙적인 복용과 식이 및 운동요법이 당뇨병관리에 매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잘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로 HbA1C와 식후 혈당수준으로 평가한 혈당조절은 제대로 되고 있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건소마다 차이가 크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본다.

내과 중환자실 환자의 혈당조절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a Blood Glucose Control Protocol for Medical ICU Patients)

  • 김은성;최스미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3호
    • /
    • pp.27-3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lood glucose control protocol for medical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Methods: The blood glucose control protocol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selection of preliminary protocols, clinical application, and evaluation. The clinical validity of the protocol was measured by application, along with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the Yale and the Mayo blood glucose protocols. Seventeen medical ICU adults patients whose blood glucose levels exceeded 200 mg/dL consecutivel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evelopment protocol was evaluated by an expert group. Results: Incidence of normal blood glucose levels (p=.041)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Yale protocol application group. Also, incidence of severe hyperglycemia (p=.029)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ime to target range of glucose (p=.023)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pplication of the Yale protoc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idence of hypoglycemia (p=.666) between three groups. Conclusion: Using the developed protocol as a basis for the modified Yale protocol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ate of blood glucose control for medical ICU patients and is expected to be used for nursing intervention in critical care.

당뇨환자를 위한 롤빵의 품질과 혈당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Quality and Blood Glucose Response of Roll Breads for Diabetes Mellitus)

  • 김명애;윤석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19-424
    • /
    • 2000
  • 당뇨환자용 빵을 개발하기 위하여 콩가루나 보리가루를 첨가한 롤빵을 제조하여 물성과 관능평가를 분석하고 이들 롤빵을 섭취한 정상인의 혈당반응을 Glycemic Index로 산출하여 혈당조절 효과를 비교하였다. 1. 콩가루 10% 첨가 롤빵의 경도와 탄력성은 밀가루 롤빵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콩가루나 보리가루의 혼합비율이 클수록(30∼50%) 롤빵의 경도가 증가하였다. 2. 콩가루 10%나 30% 첨가 롤빵은 밀가루 롤빵과 비교하여 색, 풍미, 내부조직, 맛. 조직감, 전체적인 선호도에 있어서 유의차가 없었으며 특히 콩가루 10% 첨가 롤빵은 밀가루 롤빵보다 모든 항목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보리첨가 롤빵은 낮았으나 밀가루 롤빵과 유의차는 없었다. 3. 콩가루 첨가 롤빵은 보리가루 첨가 롤빵이나 밀가루 롤빵보다 섭취 후 혈당상승이 완만하고 GI도 낮았다. 보리가루 50%첨가 롤빵은 밀가루 롤빵과 같이 섭취 직후 혈당이 급속히 상승하였으나 GI는 밀가루 롤빵보다 낮았다. 따라서, 콩가루를 10∼30% 첨가한 롤빵은 밀가루 100%나 보리가루를 첨가한 롤빵에 비하여 기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혈당조절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008년, 이것만은 지키자-2008년, 건강 위협하는 비만에서 자유로워지자!

  • 한국당뇨협회
    • 월간당뇨
    • /
    • 통권218호
    • /
    • pp.22-23
    • /
    • 2008
  •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 중 비만 때문에 고생하는 환자들이 매우 많다. 당뇨병의 발병 원인이 아직 완전히 다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유전적인 원인과 근육이나 지방조직 등 말초조직에서의 인슐린저항성, 췌장에서의 인슐린분비기능의 감소 등이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비만이 관계하는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성이 당뇨 발병 원인의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는 것은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또한 비만한 당뇨인들은 체중조절이 되지 않는 만큼 혈당조절에도 실패할 수밖에 없다. 비만한 당뇨병환자분들, 올해는 체중감량으로 건강한 한해를 보냅시다.

  • PDF

안정화미강을 첨가한 고서당식이 섭취가 C57BL/6 mice의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abilized rice bran-added high sucrose diet on glucose control in C57BL/6 mice)

  • 이승민;신말식;허영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3호
    • /
    • pp.157-166
    • /
    • 2014
  • 본 연구는 고서당식이에 첨가된 안정화미강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여 향후 안정화미강 첨가 식품을 인체실험에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이용되고자 하였다. 4주령의 수컷 C57BL/6 mice를 정상식이 대조군 (ND), 고서당식이 대조군 (HSD), 안정화미강 첨가 식이군 (HSD-SRB)으로 배정하였다. 안정화미강 첨가 식이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식이 중량의 20%로 설정하였다. 12주 동안 식이 섭취 후 혈당, 혈청 인슐린, 간 조직의 글리코겐, 혈청 아디포넥틴, 혈청 및 간 조직의 중성지방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HSD군에 비해 HSD-SRB군에서 체중 및 부고환지방 무게를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공복혈당과 혈당반응곡선면적을 감소하였다. 또한 안정화미강 첨가 식이를 섭취하였을 때 혈청 및 간의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됨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의 베타세포 기능을 개선한 것으로 제안한다. 이로써 고서당식이에 안정화미강을 20% 첨가하였을 때 혈당조절 개선효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안정화미강을 첨가한 건강 지향적인 제품 개발과 이 제품을 인체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당뇨병이 없는 비만 성인의 hs-CRP 수준과 FBG, Fructosamine 및 HbA1c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the hs-CRP Levels with FBG, Fructosamine, and HbA1c in Non-diabetic Obesity Adults)

  • 오혜종;최철원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0-196
    • /
    • 2018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이 없는 성인 4,734명을 대상으로 비만 성인의 hs-CRP와 혈당조절 지표들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BMI가 증가할수록 혈당조절지표인 FBG와 fructosamine 및 $HbA_1c$가 증가하였으며, hs-CRP는 비만 군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인슐린저항성의 지표인 HOMA-IR도 비만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hs-CRP 수준을 구분하여 혈당조절지표들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hs-CRP가 증가할수록 FBG, fructosamine 및 $HbA_1c$가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여러 관련 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hs-CRP가 증가할수록 FBG, fructosamine 및 $HbA_1c$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비만과 hs-CRP, 혈당조절지표는 각각에서 연관성을 보여 당뇨병이 없는 성인 중 높은 BMI에서 증가된 hs-CRP에 의해 당뇨병의 주요한 병인인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혈당조절지표인 FBG, fructosamine 및 $HbA_1c$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당뇨병이 없는 성인에서도 올바른 식습관 및 규칙적인 운동으로 비만을 예방하여 당뇨병 발생을 감소시키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정도와 융합적인 영향요인 분석 : 2009-2013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Convergence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Workers with Diabetes Mellitus :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2013)

  • 박다혜;장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95-103
    • /
    • 2015
  • 본 연구는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정도와 융합적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당뇨병관리를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2009-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만19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중 당뇨병을 진단받고, 직장을 가지고 있는 총 7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화혈색소 7.0% 미만을 혈당조절군, 7.0% 이상을 혈당비조절군으로 분류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질병관련 및 건강행태 특성 중 당뇨병이환기간, 당뇨병치료여부, 고혈압진단여부, 흡연, 중등도 신체활동, 걷기 실천여부가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성별, 당뇨치료여부, 고혈압진단여부, 걷기 실천여부가 당화혈색소 조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 당뇨병 환자들의 적극적인 당뇨치료와 일상생활에서의 걷기실천이 중요하며, 이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직장 내 환경조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 당뇨병 성인의 혈당조절 장애요인 (Barrier Factors Influencing Glycemic Control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 김태희;김보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2호
    • /
    • pp.143-151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 30세 이상 60미만 성인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 6.5% 이상 그룹과 미만 그룹간의 일반적 특성, 신체적 요인, 정신적 요인, 건강문해력 특성 등의 차이를 비교하고,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2019년도부터 2021년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히여 층화집락추출 및 가중치를 반영하여 복합표본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한국 30세 이상 60세미만 성인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 6.5% 이상 그룹과 미만 그룹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적 요인, 정신적 요인, 건강문해력 등에 따른 차이는 Rao-Scott χ2 test로 분석하였고, 성별에 따른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438명 이었으며 당화혈색소 6.5% 이상 그룹은 348명으로 나타났다. 당화혈색소 6.5% 미만 그룹과 이상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요인은 성별(RCχ2: 7.9, p=.012), 비만(RCχ2: 13.1, p=.006), 당뇨병 유병기간(RCχ2: 9.55, p=.029)이었다. 건강 전문가는 성별, 비만, 당뇨병 유병기간 등이 고혈당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임을 파악하고, 혈당 조절 개선을 위한 중재 적용 시 대상자의 신체적 요인, 건강문해력 등을 고려한 건강 증진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