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관 내 수술

검색결과 646건 처리시간 0.027초

슬와동맥 포착증후군 - 1예 보고 - (Popliteal Artery Entrapment Syndrome - A case report -)

  • 김덕실;김성완;김병기;이헌재;이건;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53-656
    • /
    • 2009
  • 슬와동맥 포착증후군은 젊은 성인 남자에서 생길 수 있는 하지 허혈증의 드문 한가지 원인이다. 슬와동맥이 막히거나 동맥류성 변화를 발생시키는 이 질병의 원인은 슬와의 혈관과 주변 근육 및 인대구조간의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관계에 있다. 18세 남자가 우측 종아리의 파행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수술 전 삼차원 컴퓨터단층촬영 혈관조영술상 우측 슬와동맥이 폐쇄된 소견을 보였다. 수술 소견에서 슬와동맥은 비복근의 내측두에서 나오는 부속 근육 밴드에 의해 눌려있었다. 근육밴드 절제후 혈전 제거술 및 내막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3년이 지난 현재 환자는 아무 문제없이 지내고 있다.

흉강경을 이용한 식도의 거대 평활근종 절제술 -치험 1예- (VATS Resection of Giant Leiomyoma of the Esophagus -1 case-)

  • 황호영;한국남;김주현;김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8호
    • /
    • pp.715-717
    • /
    • 2004
  • 59세 여자 환자가 무증상으로 우연히 발견된 후종격동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술 전 시행한 식도조영술, 식도내시경 및 식도내시경적 초음파검사로 거대한 식도점막하 종양으로 식도근종이 의심되었다. 우측 흉강을 통해 흉강경수술을 시행하였는데, 종격동 흉막과 식도근육을 종절개한 후 종양을 적출하였다. 수술 후 시행한 식도조영검사에서 식도의 협착 및 누출소견은 없었으며 술 후 7일째에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자기 골수세포와 고분자 폴리머를 이용한 인공 혈관의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Vessels with Autologous Bone Marrow Cells and Polymers)

  • 최진욱;임상현;홍유선;김병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160-169
    • /
    • 2008
  • 배경: 혈관질환의 수술에 사용되는 인공 도관의 막힘과 문합부위의 좁아짐 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직공학적인 방법과 자가 세포를 이용한 인공혈관의 제작이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저자들은, 생흡수성이 있는 고분자 폴리머 지지체와 자가 골수세포를 이용한 인공혈관으로 생체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인 poly (lactide-co-${\varepsilon}$-caprolactone) (PLCL)과 poly(glycolic acid) (PGA) fiber로 혈관용 지지체를 제작한 후, 피실험 동물의 골수를 채취하여 혈관 내피 세포와 평활근 세포로 분열시켜 배양한 후 혈관 지지체위에 이식하였다. 만들어진 인공 혈관을 잡견의 복부대동맥에 이식한 후 3주 후에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고, 안락사 후에 혈관을 제거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6마리의 잡견 중 2마리에서 수술 후 10일에 혈관 지지체의 균열에 의한 대량 출혈로 사망하였다. 나머지 4마리의 잡견은 수술 후 3주까지 생존하였으며, 혈관 조영술상 혈관의 막힘이나 좁아짐은 발견되지 않았다. 인공 혈관의 내면은 작은 혈전들이 붙어 있었으며, 조직학 검사에서 정상 혈관과 유사한 3층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또한 면역화학 검사에서 혈관 내피세포와 혈관 평활근 세포가 재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고분자 폴리머와 자가 골수세포를 이용한 인공혈관은 생체 내에서 정상혈관과 유사한 모양으로 재생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동맥압력에 견디기 위해 혈관 지지체의 물성에 대한 개량과 충분한 양의 혈관 세포를 얻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염성 대동맥류에 혈관 내 스텐트 삽입 시행 후 발생한 대동맥-식도루 - 1예 보고 - (Aorta-esophageal Fistula That Developed after Endovascular Stent-grafting of a Mycotic Aneurysm - A case report-)

  • 남진혜;박계현;유재석;이재항;임청;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81-784
    • /
    • 2010
  • 74세 여자 환자가 3개월 전 발열, 오한이 있어 시행한 검사에서 우연히 소낭형 흉부 대동맥류가 발견되어 외과에서 대동맥 내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 받았다. 시술 후 발열, 오한이 지속되었으나 별도의 항생제 치료 및 추적 관찰 없이 지내던 중 토혈이 발생하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식도내시경 검사에서 스텐트가 삽입된 대동맥류 주변으로 공기-액체층 및 삼출물 저류 소견과 대동맥-식도루가 발견되어 감염성 대동맥류와 이에 합병된 대동맥-식도루가 강력히 의심되었다. 이에 토혈에 대한 보존적 치료와 감염에 대한 경험적 항생제 치료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기존의 스텐트를 제거하고 흉복부 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식도는 절제 후 경부 식도-위 문합술로 재건하였다. 술 후 1일째 별다른 문제 없이 인공 호홉기를 이탈하였고, 2일째 일반 병실로 전동되었다. 감염성 대동맥류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혈관 내 스텐트 삽입술 시행 후 발생한 치명적인 합병증인 대동맥-식도루에 대하여 성공적인 수술적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흉부대동맥 질환에서 시행된 하이브리드 혈관내 성형술의 중단기 성적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Hybrid Endovascular Repair for Thoracic Aortic Disease)

  • 윤영남;김관욱;홍순창;이삭;장병철;송승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490-498
    • /
    • 2010
  • 배경: 대동맥궁 분지 혈관의 해부학적 외 우회로술(extra-anatomic bypass)과 흉부 혈관내 대동맥 스텐트 도관 삽입술을 같이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술식은 고식적인 완전 개방 수술에 비해 덜 침습적이며, 스텐트 도관 삽입술 시 안정된 안착지점(landing zone)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시행된 하이브리드 술식의 중단기 성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8월부터 2010년 1월까지 흉부대동맥 질환의 치료를 위해 하이브리드 술식을 시행한 일련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수술 전 후 데이터는 전향적으로 수집하였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8{\pm}5.5$개월(3~20개월)이었다. 결과: 9명의 환자(남:여=7:2)에서 하이브리드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63.8{\pm}15.8$세 (38~84세)였다. 5명에서 대동맥궁 혹은 근위 하행대동맥류가 있었으며, 2명의 환자에서 하행대동맥에 박리성 동맥류가, 2명에서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 및 하행대동맥에 광범위한 동맥류가 관찰되었다. 수술 전, logistic EuroSCORE로 계산한 평균 예측사망률은 21%였다. 6명에서 상행 대동맥으로부터 대동맥궁 분지혈관으로 탈분지화 및 재혈관화를 시행하였으며, 2명에서 경동맥-경동맥 우회로술, 1명에서 경동맥-액와동맥 우회로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수술 시간은 $221.4{\pm}84.0$분(94~364분)이었다. 수술 후 100%의 환자에서 전산화 단층 혈관촬영을 통하여 스텐트 도관의 성공적인 안착을 확인하였으며, 총 평균재원일수는 $15.2{\pm}4.6$일이었다. 수술 후 사망은 없었다. 1명에서 우측 안동맥 분지에 색전증이 발생하였고 이외 합병증은 없었다. 추적관찰 기간 중 1명에서 스텐트 근위부의 endoleak으로 재시술을 시행하였으며, 20개월 생존율은 100%이었다. 결론: 흉부대동맥 질환의 치료에 있어 하이브리드 술식은 덜 침습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이다. 본 연구의 중단기 성적을 토대로 보아 하이브리드 술식은 고무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근성형술을 이용한 기관지 늑막루를 갖는 농흉의 치료 (Management of Empyema Thovacis with Bronchopleural Fistula Using Muscle Flap Transposition)

  • 김형국;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63-66
    • /
    • 1996
  • 폐 절제술후 기관지 늑막루를 갖는 농흥은 흔하지는 않지만 치료가 매우 힘든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본 이화대학교목동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3년 10월 부터 1994년 12월 까지 본원에서 기관지 늑막루를 갖는 농흥을 근성형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치료는 술전 농흥강내 세척을 실시하고 수술대에서 염증조직을 완전히 제거한후 신경 혈관속이 보존된 근육으로 농흥강내를 채웠다. 술후 추적관찰 기간은 4개월에서 12개월 이었다. 수술한4명중 3명은 수술이 성공한 것으로 생각되며 1명은실패로 생각된다. 실패의 원인으로 농흥강을 채운 복직근의 혈관손상으로 인한 무혈성 괴사와 농흥강내 잔존한 염증조직이 다른 근육을 감염시켜 같이 괴사 하였다고 생각된다.

  • PDF

대동맥궁 단절을 동반한 Taussig-Bing 기형에서 새로운 일차적 완전 교정술 - 1례 보고 - (A New Method of One Stage Correction of Taussig-Bing Anomaly with Interrupted Aortic Arch -1 case report-)

  • 정종필;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83-87
    • /
    • 1997
  • Tausslg-Bing 기형은 드물게 대동맥궁 중단과 병발되며, 이 경우 양대혈관의 크기 가 현저히 달라 대동맥 전환술을 시행함에 어려움이 있다. 생후 20일 된 환아가 상기 진단으로 내원하여, 다장기부전에 대한 3주간의 집중관리 후 수술을 받았다. 수술은 심실중격 결손의 복원, 대동맥 전환술 및 광범위한 대동맥궁형성술로 이루어졌으며, 대혈관들의 크기 차이는 상행 및 하행 대동맥의 절편을 이용하여 원위신대동맥(distal neoaorta)를 형성하므로써 극복하였다. 환아는 큰 문제 없이 회복하였으며, 수술후 시행한 심도자상의 결과도 양호한 상태로 16개월간 추적 관찰중이다.

  • PDF

비정상 좌측 쇄골하동맥을 동반한 Kommerell 게실의 하이브리드 수술법 (Hybrid Operation of a Kommerell’s Diverticulum with Left Aberrant Subclavian Artery)

  • 김혜원;이재원;정성호;정재승;정종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458-461
    • /
    • 2010
  • 53세 된 여자 환자가 우측 대동맥 궁, Kommerell 게실 및 비정상 좌측 쇄골하동맥 등의 병변으로 내원하였으며 증상은 없었다. 6 mm ringed Gore-Tex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비정상 좌측 쇄골하동맥과 좌측 총경동맥을 연결하여 우회하고, 대동맥 궁의 Kommerell 게실을 막고자 stent graft를 삽입하는 hybrid 수술을 시행 하였다. 수술 직후 시행한 혈관 조영술과 수술 후 첫날 시행한 전산화 단층 촬영상 성공적인 대동맥류 차단 및 좌측 쇄골하동맥의 우회소견을 보여주었다. 수술 및 시술에 동반된 합병증은 없었다.

선천성 하대정맥 중단 환자의 후방 대정맥-우심방 우회 수술 치료 증례 (Dorsal Cavoatrial Bypass for Congenital Interruption of IVC)

  • 최주원;홍준화;손동섭;조대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525-528
    • /
    • 2010
  • 선천성 하대정맥의 중단은 간울혈과 간변성을 유발하며, 비장비대와 복수와 복통, 하지부종이 동반된다. 49세 여자환자가 자궁근종과 월경과다, 그리고 철결핍성빈혈로 본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수술 전 복부컴퓨터단층촬영검사 및 복부 및 흉부 대정맥조영술을 시행하여 하대정맥의 중단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우측 후측방 개흉술을 시행하여 흉강 내로 접근하였고, 횡격막을 절개하여 후복막 접근을 이용하여 하대정맥을 박리하여 16 mm PTFE graft를 이용하여 우회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graft의 꺾임 현상이 관찰되어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을 시행받았으며, 이후 환자는 특별한 문제 없이 회복되었다. 하대정맥의 선천성 중단이 관찰되는 환자에게서는 PTFE 인조혈관을 이용한 후방 대정맥-우심방 우회수술이 적절한 선택이며, 후측방 개흉술을 통한 복막뒤공간 접근법이 적절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QA용 두부 팬톰을 이용한 Hitchcoke CT 및 혈관조영 정위적 시스템에 대한 정확도 평가 (Evaluation of Accuracy on Hitchcoke CT/angio localization system using QA head phantom)

  • 김성현;서태석;윤세철;손병철;김문찬;신경섭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1호
    • /
    • pp.1-9
    • /
    • 1998
  • 정위적 방사선 수술과 신경외과적 수술분야 에서는 상호보완적인 영상정보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단층촬영 (CT), 자기공명영상 (MRI) 그리고 혈관조영촬영이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영상장치와 다목적 QA(Quality Control) 팬톰을 이용하면서, 정위적 방사선수술 및 신경외과적 수술분 야에서 두경부내의 병소에 대한 모양, 크기,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한 3 차원 정위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목표물의 정확한 위치를 정의하기 위하여, Hitchcoke 정위 프레임과 컴퓨터 단층 촬영 (CT)/혈관 조영촬영용 위치측정 보조기구들을 3차원 공간상에 9개의 목표물을 가진 팬톰에 고정하였다. 컴퓨터 단층촬영과 혈관 조영촬영을 이용하여 얻은 기하학적 팬톰의 영상들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3차원 정위좌표를 얻기위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 목표물들의 위치는 팬톰의 절대 좌표와 비교 되었고, 각 CT 영상에서의 목표물들은 뇌혈관촬영 영상위에 상호 중첩될 수 있도록 개발 되었다. 512$\times$512 메트릭스와 2mm 슬라이스 두께를 가진 컴퓨터 단층촬영에 있어서는 1.02$\pm$0.17 mm의 평균거리오차를 보였고, 혈관 조영촬영인 경우에는 0.41$\pm$0.05mm 의 평균거리오차를 보였다. 목표물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결과로 나온 정확도는 개발된 시스템이 정위적 방사선수술과 신경외과적수술을 위해 충분히 신뢰성이 있음을 확인해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