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관생성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초

4-Hydroxynonenal의 미토콘드리아 탈분극을 통한 혈관 내피 세포의 세포사 유도기전 (4-Hydroxynonenal Induces Endothelial Apoptosis through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 강대연;이지영;김민선;김철홍;김형근;이선미;권영미;이재원;백형석;유병팔;정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513-1520
    • /
    • 2008
  • 4-Hydroxynonenal (4-HNE)는 세포내 레독스의 균형을 깨뜨려 혈관 기능 손상을 일으킨다. 본 연구자들은 HNE의 축적이 야기하는 혈관 기능 손상기전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혈관 내피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세포사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HNE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소실과 그에 따른 cytochrome C의 방출이 유도되었으며, Bax의 증가 및 Bcl-2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ROS 제거제인 NAC와 peroxynitrite 제거제인 페니실라민은 HNE가 유도하는 ROS 생성을 차단하여 cytochrome C 방출과 세포사를 억제하였다. 세포에 HNE와 zVAD-fmk (caspase 저해제)를 같이 처리하면 HNE가 유도하는 세포사를 억제하지 못하는데 이는 HNE에 의한 세포사가 caspase에 비의존적 단계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위의 결과들은 HNE가 유도하는 혈관 내피 세포의 세포사 매커니즘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탈분극에 의해 촉발되며 이는 혈관계 항상성의 악화와 노화에 의해 수반되는 혈관기능 손상을 유도할 것으로 사료된다.

갑상선 유두상 암종에서 종양혈관형성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발현의 예후인자적 의의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Tumor Angiogenesis and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Papillary Carcinomas of the Thyroid Gland)

  • 강헌대;김성배;김태현;오상훈;윤혜경;김상효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5-142
    • /
    • 200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or prognostic significance of VEGF expression and tumor angiogenesis in papillary carcinomas of the thyroid. Materials and Methods: The materials were 79 cases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and age, sex, tumor size, multiplicity of tumor, capsular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recurrence, TNM stage, DeGroot stage and AMES scale were evaluated. An immunohistochemical stains for CD 34 to estimate microvessel density (MVD), and VEGF were done. MVD was defined as an average count of vessels per ${\times}400$ power field in the most vascularized area. VEGF expression was interpreted as 1+ and 2+ according to staining intensity and percentages of positive cells. Results: Mean score of MVD was $39.7{\pm}16.9.$ MV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ses with capsular invasion (p=0.0001), lymph node metastasis (p=0.0001), TNM stage III (p=0.0022), DeGroot stage III (p=0.0163) and high risk group by AMES scale (p=0.0001). VEGF 2+ expression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ases with capsular invas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p=0.0006, p=0.0013), and in cases with TNM stage III, DeGroot stage III and high risk group by AMES scale (p=0.0236, p=0.0003, p=0.0293). In VEGF 2 + expression group, MV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VEGF 1 + group (p=0.0008), and MVD showed positive relation to VEGF 2 + expression (r=0.4616). Conclusion: VEGF expression and high MVD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capsular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TNM stage III, DeGroot stage III and high risk group by AMES scale. The expression of VEGF and high MVD could be considered to be one of prognostic factor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동충하초의 균사 및 배양액의 항산화, 항암, 면역활성의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ongChongXiaCao)

  • 허진철;남성희;강석우;홍인표;이광길;박자영;김경해;한송이;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81-687
    • /
    • 2007
  • 동충하초 20여종의 균사와 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활성 효과를 항산화와 항암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항산화 활성 실험 DPPH와 FRAP실험을 실시하였는데 다수의 동충하초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간에 따른 FRAP활성에서는 배양배지에서 균사체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NOS와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NO활성 실험을 한 결과 NO활성은 추출물의 종류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염증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ox-2 promoter활성실험을 한 결과, 종에 따라 활성의 증가 또는 감소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Wound healing assay를 이용하여 항암효과를 알아본 결과 많은 종에서 세포의 운동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관생성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UVECs를 이용하여 tube formation을 확인해 본 결과 다수의 추출물에서 혈관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관생성 억제제를 주사한 마우스 모델에서의 골수 세포의 복강 내 주입 후 생착 (Engraftment of Intraperitoneally Injected Bone Marrow Cells to Newborn Mice Injected with an Angiogenesis Inhibitor)

  • 조수진;주선영;우소연;강형진;안효섭;유경하;박은애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22-31
    • /
    • 2008
  • 목 적 : 기관지폐이형성증은 미숙한 폐에서의 혈관과 폐포발달의 저해로 특징 질 수 있다. 폐 발달의 결과를 고려하면 줄기세포의 투여로 자가 회복기전을 이용한 폐 발달의 촉진의 가능성은 유망하고 이로 폐 기관지이 형성의 유병률과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강화된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를 표기인자로 표시한 줄기세포를 비 EGFP 마우스에 주사하여 생착 여부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VEGFR2 억제제인 SU1498을 생후 3일된 마우스에 주사하여 폐포발달이 저해된 모형을 만들었다. 생후 4일에 $1{\times}10^6$ EGFP 양성 줄기세포를 복강 내로 주입하였다. 줄기세포를 투여한 폐의 형태학적인 분석과 면역염색을 시행 하였고, 주입된 줄기 세포의 생착을 확인하기 위해서 동일초점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SU1498을 주사한 신생마우스에서 폐포 표면적과 평균 폐포 용적이 감소되었다. 폐 발달이 억제된 마우스 모형에서 주입한 EGFP 양성 줄기세포가 발견 되었고, 내피세포와 외피세포로 분화함을 공초점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결 론 : 주입된 EGFP 양성 줄기세포가 혈관생성억제제를 이용하여 만든 마우스의 폐 발달 저해 모형에서 생착 하여 내피세포와 외피세포로 분화함을 확인하였다.

당뇨유발 흰쥐에서 트레드밀 운동이 망막의 혈관내피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Modul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xpression in the Retina of Diabetic Rats)

  • 김대영;김태운;김창주;정선영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3호
    • /
    • pp.363-372
    • /
    • 2012
  • 당뇨병의 주된 합병증 중 하나는 새로운 혈관 생성과 신경퇴화의 특징을 보이는 증식성 망막증이다. 당뇨병에서는 고혈당증, 저산소증과 부적절한 대사조절 능력이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발현에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를 유발한 흰쥐에서 당뇨성 망막증에 대한 트레드밀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조군, 운동군, 당뇨군, 당뇨운동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당 8마리씩 배정하였다. 당뇨는 streptozotocin을 50 mg/kg의 용량으로 주사하여 유발하였다. 운동군은 분당 8 m의 속도로 하루 30분씩 주 5회, 총 12주 동안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당뇨쥐의 망막에서 phosphoinositide 3-kinase(PI3K), phospho-protein kinase B(pAkt), hypoxia inducible factor-1α(HIF-1α), 그리고 VEGF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트레드밀 운동은 PI3K/Akt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하여 HIF-1α의 발현과 VEGF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본 실험 결과 트레드밀 운동은 망막의 새로운 혈관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당뇨성 망막증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우스 내피세포주 MAE의 NO 생성과정에서 과발현된 Ref-1의 AKT 활성 조절에 대한 연구 (Effect of Overexpressed Ref-1 on AKT Phosphorylation for NO Production in Mouse Aortic Endothelial Cell Line)

  • 송주동;이상권;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651-1656
    • /
    • 2008
  • Redox factor-1 (Ref-1)은 산화적으로 손상된 DNA의 복구와 세포내 산화환원에 민감한 전사인자들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유래 혈관내피세포주 (MAE)에서 nitric oxide (NO) 생성과정에 관여하는 AKT 활성화의 측면에서 adenoviral vector를 사용하여 과발현된 Ref-1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NO 측정을 위하여 fluorophore DAF-2를 사용하였다. 과발현된 Ref-1은 bradykinin으로 자극한 세포뿐만 아니라 자극되지 않은 세포의 NO 생성도 증가시켰다. 놀랍게도 이 과발현된 Ref-1은 AKT의 직접적인 인산화를 유도하였으며, AKT 저해제로 널리 사용되는 wortmannin에 의해 반응이 억제되었다. 또한, Ref-1에 의한 직접적인 AKT 활성화를 증명하기 위하여 HA-tagged activation-deficient AKT를 과발현시키는 adenoviral vector를 사용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한 AKT 활성의 저해는 과발현된 Ref-1에 의한 NO 생성 및 bradykinin 자극에 의한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들 결과는 Ref-1이 마우스 혈관내피세포에서 직접적인 AKT 인산화를 통하여 eNOS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돼지-염소 이종이식모델에서 냉동 및 무세포화 혈관이식편의 조직학적 비교분석 (Histological Comparison of Vascular Grafts in a Pig to Goat Xenotransplantation Model)

  • 양지혁;성기익;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427-433
    • /
    • 2006
  • 배경: 현재까지 개발된 인조혈관들은 소구경 혈관에서는 개통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이에 저자는 이종혈관이식편이 소구경 혈관을 대신할 수 있는지 시험하고자 돼지의 혈관을 채취하여 냉동보관과 무세포화의 두 가지 방법으로 전처치한 뒤 이를 염소에게 이식하고 일정기간 동안 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돼지의 양측 경동맥을 적출한 뒤 하나는 바로 조직 보관액에 담아 냉동 보관하였고 하나는 NaCl-SDS 용액을 이용하여 무세포화(acellularization)한 뒤 냉동 보관하였다. 동일한 염소의 양측 경동맥에 냉동보관만 했던 이식편과 무세포화한 이식편을 각각 삽입하였다. 3마리의 염소에게 이를 시행하였고 술 후 각각 1, 3, 6개월째에 이식편을 적출하였다. 관찰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개통성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식 편의 적출 후에는 육안소견 및 광학현미경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3마리 실험동물 모두 혈전색전증과 같은 별다른 문제없이 예정된 적출시기까지 생존하였다. 초음파검사상 모든 혈관이식편에서 관찰기간 동안 우수한 개통성을 보였다. 육안소견상 이식편의 내강에서는 혈전의 생성없이 매끈한 표면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현미경 검사상 6개월째의 혈관이식편에서 세포가 재구성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식 후 초기였을 때 무세포화이식편보다 단순 냉동이식편에서 염증반응이 활발한 것으로 보였으나 유의한 거부반응의 증거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돼지-염소간의 이종이식모델에서 단순 냉동혈관이식편과 무세포화혈관이식편 사이에 이식 후 6개월까지는 임상적인 차이를 야기하지 않았다. 이는 동일한 모델의 혈관이식에 있어 무세포화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고무적인 결과라 할 수 있으나, 관찰기간이 비교적 짧고, 실험동물의 수가 많지 않아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하리라 생각된다.

뇌혈관의 혈류예비력 시뮬레이션 연구

  • 류아진;이경은;방현기;이종호;박선열;심은보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6회(2017년)
    • /
    • pp.631-634
    • /
    • 2017
  • 뇌혈관은 평상시 뇌조직의 필요량보다 더 많은 혈류를 수송할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뇌혈관 혈류예비력이라 한다. 뇌혈관이 특정한 요인에 의해 협착이 생기면 뇌관류압이 감소하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해 뇌세동맥의 내경을 확장시켜 뇌혈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비력이 낮은 사람일 경우 협착으로 인해 혈관 내경이 좁아져 있다면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뇌졸증 내지 뇌허혈의 위험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뇌혈관 협착으로 인한 예비능 감소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환자의 MRA 영상 이미지를 영역화하여 3차원 격자를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환자 맞춤 모델을 대상으로 전산유체해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가상 협착을 모델에 적용하여 뇌혈관 협착률과 예비능의 관계를 분석했다.

  • PDF

쥐 대동맥 혈관 내피세포에서 세포 외 $K^+$에 의한 혈관 수축선 조절 기전 (Extracellular $K^+$ Effects on the Mouse Aortic Endothelial Cell Contractility)

  • 안재호;유지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887-893
    • /
    • 2003
  • 외부 자극에 의해 세포 내 $Ca^{2+}$이 증가하면 $K^{+}$이 유출되는 기전을 통해 세포 외 $K^{+}$이 증가하는데, 이 $K^{+}$ 의 증가가 혈관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쥐 대동맥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해 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세포 외 $K^{+}$ 농도를 증가시키거나, 혈관 내피세포의 제거, nitric oxide 생성 억제제인 L-NAME (N-nitro-L-arginine methyl ester)의 투여, $Na^{+}$- $K^{+}$ pump 억제제인 Ouabain, $Na^{+}$-C $a^{2+}$ exchanger 억제제인 N $i^{2+}$의 투여 등 조건을 달리하며, 막전압고정법을 이용, $Ca^{2+}$ 변화와 여러 이온 전류 변화를 측정해 혈관의 수축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세포외 $K^{+}$ 농도를 6에서 12 mM 증가시켜도 norepinephrine에 의한 혈관의 수축성에는 변화가 없었고, 12 mM 상으로 증가시키면 평활근이 수축하기 시작하였다. Acetylcholine (ACh)에 의해 유발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은 세포 외 $K^{+}$ 농도를 6에서 12 mM로 증가시키면 억제되었으며, 혈관내피세포를 제거하거나 L-NAME을 투여하는 경우에 ACh에 의한 이완은 일어나지 않았다. 배양한 쥐 대동맥 내피세포에서는 ATP혹은 ACh에 의해 세포 내 $Ca^{2+}$이 증가하였으며, 세포 내 $Ca^{2+}$ 증가가 정점에 이른 후 세포 외 $K^{+}$을 6에서 12 mM로 증가시키면 세포 내 $Ca^{2+}$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다시 6 mM로 감소시키면 세포 내 $Ca^{2+}$이 증가하였다. 또한 세포 외 $K^{+}$ 증가에 의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효과는 Ouabain과 N $i^{2+}$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걸론 세포 외 $K^{+}$의 증가는 저항혈관 평활근은 이완시키며, 혈관내피세포 $Ca^{2+}$을 감소시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을 억제하는데 이는 $Na^{+}$- $K^{+}$ pump와 $Na^{+}$-C $a^{2+}$exchanger를 활성화시켜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잉어과)의 골격 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 송호복;손영목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8
    • /
    • 2005
  •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의 골격형성과 연골의 골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장 $6.82{\pm}0.08mm$ 에 부설골 (parasphenoid), 치골 (dentary), 익상골 (pterygoid), 각설골 (ceratohyal), 새궁(branchial arch) 등과 미골 (caudal skeleton)의 일부 등이 생성되었다. $7.76{\pm}0.09mm$에는 전두골 (frontal)과 두정골 (parietal)의 발달이 현저하였고, 주상악골 (maxillary)이 나타났으며, 흉대 (pectoral girdle)의 방사기골(proximal), 견갑골 (scapula), 오훼골 (coracoid)이 형성되었다. 또한 신경극 (neural spine)과 혈관극 (hemal spine)이 미추(caudal vertebrae)에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9.68{\pm}0.14mm$에 내장골 (vesceral skeleton)의 주새개골(opercle)과 새조골 (branchiostegals)이 나타났으며, 12.94 mm에는 흉대의 후측두골 (post temporal)이 생성되었다. 골격의 골화는 $9.68{\pm}0.14mm$를 전후하여 일어났으며, 부설골, 인두골 (pharyngeal bone), 치골, 전상악골(premaxillary), 주상악골, 주새개골 등과 늑골 (pleural rib), 신경극, 혈관극이 골화되었으며, 흉대의 의쇄골(cleithrum)과 상의쇄골 (supracleithrum) 그리고 미골의 미부봉상골 (urostyle)과 꼬리지느러미 (caudal fin)가 골화되었다. $11.52{\pm}0.13mm$에는 척추골이 생성되면서 골화되었고, $15.30{\pm}0.68mm$에 두부의 전두골, 전새개골(preopercle), 하새개골 (subopercle), 설악골 (hyomandibular)등이 경골화되었다. 본 종의 골격 형성과 골화는 다른 어종에 비하여 비교적 늦게 발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