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과

검색결과 1,437건 처리시간 0.035초

심부전증의 병리 기전과 치료 (Pathophysiology and therapeutics in heart failure)

  • 현창백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0권3호
    • /
    • pp.227-240
    • /
    • 2004
  • 심부전증(Heart failure)이란 심장이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나 영양분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로 심장 자체의 구조적 결함이외에도 혈역학(hemodynamics)에 영향을 주는 신장 질환이나 고혈압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심장은 커다란 펌프로 혈역학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혈역학의 변화를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하지 않은채 장기적으로 원인이 지속할 경우, 심장, 특히 심실은 재구성(remodeling)이 일어나게되고(좌심실의 벽이 비후되고 우심실의 벽이 얇아지는 변화) 이로인하여 심장의 혈역학 변화에 따른 보상 반응은 점차 무력화 되게된다. 이로인하여, 혈액 정체에 따른 폐부종이나 복수증 및 산소 부족에 의한 허혈성 손상이 여러 장기에 나타나게 된다. 심장 질환은 불량한 예후와 치료의 제한성때문에 그동안 수의 분야에서 간과되어왔지만, 우리나라도 애완동물의 노령화가 시작되고 있고 고급 진료에 대한 축주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서 점파 심장 질환의 진료가 늘어갈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심부전증에 대한 여러 가지 병리 기전과 이에 따른 치료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자한다.

  • PDF

Observation of Complete Blood Count and Biochemical Parameter after Indirect Moxibustion(CV4, CV8) in Healthy Adults

  • Son, Chang-Gue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7권1호
    • /
    • pp.23-30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간접구의 안전성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설계 : 50명의 건강한 성인을 무작위 배정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4주간 (일주일에 3회) 신궐혈과 관원혈에 뜸을 시술하였다. 시험군에 비하여 대조군은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제로 처리한 뜸으로 동일한 부위에 시술하였다. 첫 시술 1시간 전과 마지막 시술 1시간 후에 공복상태에서 채혈을 하여 혈액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혈액학적 검사에서 적혈구와 총 백혈구 및 백혈구의 종류별 절대수치와 상대수치에서 두 그룹 간에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혈청학적 검사에서 총 단백질, 알부민, AST, ALT, ALP, GGT, LDH,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비교에서도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건강한 사람에서 간접구의 시행 후 혈액학적 안전성을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으로서, 향후 뜸의 연구를 수행시 중요한 비교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신생아에서 제대 동맥혈 Isoprostane(8-iso-PGF2α) 농도에 관한 연구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8-iso-PGF2α) in Newborn Infants)

  • 이건송;지윤희;장영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9호
    • /
    • pp.865-870
    • /
    • 2003
  • 목 적 : 지질 과산화의 주요 지표 중에 하나인 isoprostane($8-iso-PGF_{2{\alpha}}$)을 제대 동맥혈에서 측정하여 신생아에 산화손상을 유발 할 수 있는 주산기 위험인자 및 신생아기 주요 질환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이 신생아에서 산화손상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1년 3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하였던 미숙아 33명과 만삭아 28명을 대상으로 제대 동맥혈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70^{\circ}C$에서 냉동 보관 후 isoprostane($8-iso-PGF_{2{\alpha}}$)과 malondialdehyde(MDA)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isoprostane과 MDA 농도를 미숙아와 만삭아에서 각각 비교하였고, 주산기-신생아기 위험인자와 주요 합병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평균 출생 체중은 미숙아 $1,771{\pm}445gm$, 만삭아 $3,200{\pm}567gm$이었고, 평균 재태 연령은 미숙아 $31.5{\pm}2.0$주, 만삭아 $39.0{\pm}2.0$주였다. 제대 동맥혈 isoprostane 농도는 미숙아 $704.7{\pm}635.6pg/mL$, 만삭아 $423.9{\pm}306.5pg/mL$로 미숙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5), MDA도 미숙아 $44.0{\pm}22.9{\mu}M/L$, 만삭아 $28.2{\pm}10.7{\mu}M/L$로 미숙아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5). 미숙아의 경우 isoprostane은 출생 후 24시간에 $478.6{\pm}580.6pg/m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미숙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둔위 분만, 양수 과소증, 신생아 가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P<0.05), 만삭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임신성 고혈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그러나 미숙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신생아기의 주요 합병증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미숙아에서 제대 동맥혈 isoprostane 농도는 만삭아에 비하여 높고, 일부 주산기-신생아기 위험인자와 연관이 있어서, 주산기-신생아기에 산화손상과 관련된 주요 지표 중에 하나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추측하였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인지기능과 동맥혈가스와의 상관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Arterial Blood Gase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김영균;권순석;김관형;한기돈;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1호
    • /
    • pp.7-14
    • /
    • 1992
  • 연구배경 : 동맥혈가스 변화에 따른 호흡곤란 및 의식장애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을 포함한 여러 호흡기 질환 환자들에게서 비교적 흔히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같은 질환이라 할지라도 동맥혈가스 변화에 따른 호흡곤란 및 의식장애의 정도는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한편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폐기종 우세형과 기관지염 우세형의 두가지 임상군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저자들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호흡곤란을 느낄 당시의 중추신경계의 반응과 의식장애에 많은영향을 미치는 동액혈가스 소견이 임상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6명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동맥혈가스 및 인지기능의 척도로 이용되고 있는 trail-making B test를 실시한 후, 다시 이들을 폐기종 우세형군과 기관지염 우세형군으로 분류하고, 각 환자군에서의 인지기능 및 인지기능과 동맥혈가스와의 상관관계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 1) 평균 TMB score는 폐기종 우세형군이 $266.33{\pm}171.62$초, 기관지염 우세형군이 $200.29{\pm}123.13$초로서, 폐기종 우세행군이 기관지염 우세형군에 비해 호흡 곤란을 느낄 당시의 인지기능장애가 다소 심한 경향이 있었다. 2) 두 환자군 모두 저산소혈증, 과탄산혈중 및 산혈증이 심할수록 인지기능장애가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3) 폐기종 우세형군에서 TMB score와 동맥혈가스와의 상관계수(r)는 각각 TMB $PaO_2$: -0.477, TMB $-PaCO_2$ : 0.693, TMB-pH : -0.375, TMB-$HCO_3$ : 0.665로서, 폐기종 우세형군에서는 $PaCO_2$가 인지기능의 변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기관지염 우세형군에서의 TMB score와 동맥혈 가스와의 상관계수(r)는 각각 TMB-$PaO_2$ : -0.306, TMB-$PaCO_2$ : 0.347, TMB-pH: -0.526, TMB-$HCO_3$ : 0.366으로서, 기관지염 우세형 환자군에서는 pH가 인지가능 변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저산소혈증, 과탄산혈증시의 인지기능장애는 폐기종 우세형군이 기관지염 우세형군에 비해 다소 심한 경향을 보였으며, 산혈증시의 인지기능장애는 오히려 기관지염 우세형군이 폐기종 우세형군에 비해 다소 심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연구 결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에서 호흡곤란을 느낄 당시의 중추신경계의 반응은 페기종 우세형군이나 기관지염 우세형군간에 근본적인 차이는 없지만, 인지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동맥혈가스 소견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 PDF

소아에 있어서 C-반응성 단백의 모세혈 및 정맥혈 검사의 비교평가 (Comparison of C-reactive Protein between Capillary and Venous Blood in Children)

  • 진지훈;정수호;홍영진;손병관;김순기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2호
    • /
    • pp.101-107
    • /
    • 2010
  • 목적 : 감염이 있는 환자들을 진단하는데 있어 CRP 검사 결과는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하지만 영 유아에게 있어서 채혈의 어려움 때문에, 정맥혈 검사를 대채할수 있는 모세혈 채혈이 시도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모세혈 채혈을 통한 CRP 검사 결과가 정맥혈 검사 결과와 차이가 있는지 비교평가 하였다. 방법 : 인하대병원 응급의료센터,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거나 입원한 100명(0-14세, 남녀 47 : 53)을 대상으로 정맥혈은 Hitachi 7180$^{TM}$ (Hitachi, Tokyo, Japan), 모세혈은 LC-178CRP$^{TM}$ (Horiba Ltd., Kyoto, Japan, LC-178CRP)장비를 사용해 검사하였다. 통계적 분석방법은 교차분석을 통하여 정맥혈과 모세혈의 CRP 판독차이를 검정하였으며, 회귀분석 및 Bland Altman plot 방법을 통하여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교차분석으로 모세혈과 정맥혈 검사의 CRP 판독차이를 검정한 결과 일치도는 90.63%로 유관한 관계성이 있었다(P<0.0001). Bland Altman Plot으로 분석한 결과 95% 신뢰구간의 일치 한계선내에서 측정되었다. 단순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기울기($\beta$)는 1.3434였으며, 결정계수($R^2$)는 0.9888로 매우 높은 선형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맥혈에서의 값은 모세혈에서 시행한 값보다 평균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모세혈의 CRP는 정맥혈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정맥혈 검사를 하는것이 더 좋겠지만, 채혈이 어려운 경우 LC-178CRP$^{TM}$를 이용한 모세혈에서의 채혈은 정맥혈 검사를 대신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당뇨병이 없는 농촌지역의 건강한 성인 남녀에서 당화혈색소와 내장지방과의 관계 (Association of Hemoglobin A1c with Visceral Fat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in Nondiabetic Adults)

  • 한아름;신새론;박성훈;이정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4호
    • /
    • pp.215-222
    • /
    • 2012
  • 당화혈색소 5.7%이상에서 6.4%이하인 당뇨전 단계는 당뇨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임이 이미 알려져 있다. 최근 미국 당뇨병 학회에서는 당화혈색소를 당뇨의 진단 기준으로 추가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당화혈색소와 내장지방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일개 대학병원 건강 검진 수진자 중 건강한 성인 남녀 507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기입하도록 하고 혈압, BMI, 혈액검사를 측정하였고, 총 복부지방, 내장지방, 피하지방은 C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남녀로 구분지어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내장지방, 피하지방, 중성지방, 당화혈색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녀로 구분지어 당화혈색소 5.7%를 기준으로 미만 군과 이상 군으로 분류하고 피하지방과 내장지방 및 혈액검사를 비교해보았다. 이 중 내장지방만이 남녀 모두에서 5.7%이상 군과 미만 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당화혈색소 5.7%이상 군에서 5.7% 미만 군에 비해 내장지방이 높았다. 전진선택법으로 변수를 선택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비교 위험도 1.007(95% CI1.002~1.012) 으로 복부 지방 중 내장지방이 증가함에 따라 당화혈색소가 약간 증가하는 결과를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당화혈색소가 5.7% 이상처럼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당뇨병의 유무와 상관없이 여러 심혈관질환 관련 위험 인자를 조사하여 이에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갑상선 종양에 있어서 말초형 림프구의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 (PNP) 활성과 T 세포 아형에 관한 연구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 (PNP) Activity of Lymphocytes and T Cell Subsets in Peripheral Blood in Thyroid Tumors)

  • 김동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
    • /
    • 1992
  • 저자는 1991년 1월부터 동년 8월 사이에 부산대학교 병원 내과 외래에서 임상증상, 이학적 소견 및 각종 검사소견과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된 단순 증식성 갑상선종 환자 20예, 갑상선선종 환자 9예 및 갑상선암환자 20예와 건강대조군 11례에서 말초혈 림프구의 PNP활성을 측정하고 $CD4^+$$CD8^+$ 세포를 동시에 검색하여 분석할 성적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말초혈 림프구의 PNP 활성은 건강 대조군 및 단순 증식성 갑상선종 보다 갑상선선종 및 암환자에서 의의있게 증가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2) 말초혈의 $CD8^+$ 세포 비율은 갑상선암환자에서 건강 대조군, 단순 증식성 갑상선종 및 갑상선선종환자 보다 각각 의의 있게 감소하거나 감소하는 경 향이 있었다. 3) 말초혈의 CD4/CD8비는 갑상선암환자에서 건강 대조군, 단순 증식성 갑상선종 및 갑상선선종환자보다 각각 의의 있게 증가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갑상선암환자에서는 말초혈의 억제/세포상해 T 세포의 감소에 의한 세포성 면역능의 이상이 있고, 말초혈 림프구의 PNP활성의 측정은 갑상선종양환자의 면역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검사라고 생각된다.

  • PDF

체위 변화시의 혈액 pH, $Pco_2$$Po_2$의 변화 (Changes in Blood pH, $Pco_2$ and $Po_2$ During Passive Tilt)

  • 전상연;채의업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2권1_2호
    • /
    • pp.35-40
    • /
    • 1978
  • 경사대에 의한 수등적체위 변화시 분시 호흡수, 혈액 pH, $PCO_2$$PO_2$의 변화를 관찰하고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체위변화시 호흡수는 기립위에서는 수평대조치에 비해 감소하고 도립위에서는 많은 증가를 보였다. 혈액 pH는 기립위에서 수평대조치에 비해 동맥혈은 0.2%가 증가되었고 정맥혈은 0.3%가 감소하였다. 도립위에서는 수평대조치와 거의 변화가 없는 값을 나타내었다. $PCO_2$는 기립위에서 수평대조치에 비해 동맥혈은 8.3%, 정맥혈은 0.3%가 감소되었고 도립위에서는 동맥혈은 20.1%가 감소되고 이것은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변화였다. 정맥혈은 7%가 감소되었다. $PO_2$는 기립위에서 동맥혈은 2%가 증가, 정맥혈은 21.7%가 감소되었으며 이것은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변화였다. 도립위에서는 동맥혈은 11.4%가 증가되고 정맥혈은 14.1%가 감소되었다. 도립위에서 동맥혈의 $PO_2$가 증가 되는 원인은 도립중의 과도호흡하에 의한 것이라 사료되며 정맥혈의 $PO_2$의 감소는 도립중의 근육수축에 연유하는 산소소비량의 증가가 그 원인이라고 사료된다. 또 도립위에서 $PO_2$가 감소하고 수소ion의 감소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pH가 증가하지 않는것은 산소소비가 증가되고 정맥혈의 $PO_2$가 감소되는 것으로 봐서 염기성해당으로 젖산이 증가된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PDF

제대혈 단핵세포의 냉동 전.후의 염색체 핵형분석의 실험적 연구 (Karyotype analysis of cryopreserved mononuclear cells from cord blood)

  • 구기영;추미애;김지윤;이건수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5권1호
    • /
    • pp.55-60
    • /
    • 2008
  • 목 적 : 염색체 검사는 의학의 많은 영역과 혈액종양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포의 기능을 잘 유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냉동보존(cryopreservation)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미래에 신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회귀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대혈에서 분리된 단핵세포의 냉동전과 해동후의 염색체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 법 : 실험에 대한 동의서를 획득한 제대혈 1례가 검사되었다. Ficoll-Hypaue로 단핵세포를 분리하였고, DMSO 등 냉동보존을 위한 전처리 후 프로그램 냉동기(Cryomed 1010, 미국)로 냉동하여 질소탱크($-196^{\circ}C$)에 3일간 보관하였고, 급속냉동 후 염색체 검사를 시행하였다. 냉동전과 해동후의 염색체 핵형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례의 제대혈은 3군으로 나누어, 냉동 전 배양과정 없던 CB-1군은 염색체 핵형 검사가 판독 불가능하였으며, 냉동 전 3일간 배양 후 냉동보관을 하였던 CB-2와 CB-3군은 냉동전과 해동후의 염색체 핵형이 판독 가능하였고, 서로 일치하였다. 결 론 : 검체의 분포 불균형과 검체 수가 적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제대혈에서 냉동전과 해동후의 염색체 핵형이 일치하는 결과에서 제대혈 단핵세포의 유전적 안정성과 장기간 보관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신생아 두혈종과 두개내 혈종과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Cephalhematomas and Intracranial Hematomas)

  • 박선민;오기원;김행미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160-165
    • /
    • 2008
  • 목 적: 두혈종과 두개내 혈종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두혈종이 있는 신생아에 대한 뇌영상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 중 두혈종이 있어 두부 전산화단층촬영술이나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던 1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뇌영상 검사상 18명 중 6명(33.3%)에서 두개내 혈종이 관찰되었고 이 중 4례는 경막외 혈종, 2례는 경막하 혈종이었다. 두개내 혈종이 있었던 6례 중 2례는 신경학적 증상과 함몰 골절이 없었다. 두개내 혈종이 있던 신생아와 혈종이 없던 신생아 사이에 재태주령, 출생시 체중, 두위 및 두혈종의 크기 및 분만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신경학적 증상과 숫구멍 융기 소견의 발현 빈도에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황달, 빈혈의 빈도 역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두혈종이 있는 신생아에서는 두개내 혈종, 특히 경막외 혈종이 문헌에 보고된 발생 빈도보다 많이 발견되었다. 또한 신경학적 증상이나 함몰 골절이 없는 경우에도, 다른 원인이 없는 황달, 빈혈 등의 소견이 두혈종과 동반된 경우 두혈종에 합병된 두개내 혈종에 대한 임상의 관심이 요구되며 적절한 뇌영상 검사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