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8-iso-PGF2α) in Newborn Infants

신생아에서 제대 동맥혈 Isoprostane(8-iso-PGF2α) 농도에 관한 연구

  • Lee, Kun S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Ji, Yoon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Chang, Young Py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이건송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지윤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장영표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3.04.28
  • Accepted : 2003.07.10
  • Published : 2003.09.15

Abstract

Purpose : We measured the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8-iso-PGF_{2{\alpha}}$) and intended to decide whether the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could be used as a useful parameter for lipid peroxidation in newborn infants. Methods : The isoprostane and malondialdehyde(MDA) concentrations of the umbilical cord were measured by enzyme immunoassay and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assay in 33 preterm and 28 term infants,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and MDA were compared between preterm infants and term infants, and were analysed for association with perinatal risk factors and neonatal complications. Results :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were $704.7{\pm}635.6pg/mL$ and $421.9{\pm}306.5pg/mL$ in preterm and term infants, respectively.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MDA were $44.0{\pm}22.9{\mu}M/L$ and $26.2{\pm}10.7{\mu}M/L$ in preterm and term infants, respectively.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and MDA in preterm infa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erm infants(P<0.05). The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inatal risk factors such as fetal distress, oligohydramnios, and breech delivery in preterm infants and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in term infants(P<0.05). Conclusion :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 in preterm infants were higher than those in term infants, and thos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e perinatal risk factors.

목 적 : 지질 과산화의 주요 지표 중에 하나인 isoprostane($8-iso-PGF_{2{\alpha}}$)을 제대 동맥혈에서 측정하여 신생아에 산화손상을 유발 할 수 있는 주산기 위험인자 및 신생아기 주요 질환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이 신생아에서 산화손상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1년 3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하였던 미숙아 33명과 만삭아 28명을 대상으로 제대 동맥혈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70^{\circ}C$에서 냉동 보관 후 isoprostane($8-iso-PGF_{2{\alpha}}$)과 malondialdehyde(MDA)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isoprostane과 MDA 농도를 미숙아와 만삭아에서 각각 비교하였고, 주산기-신생아기 위험인자와 주요 합병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평균 출생 체중은 미숙아 $1,771{\pm}445gm$, 만삭아 $3,200{\pm}567gm$이었고, 평균 재태 연령은 미숙아 $31.5{\pm}2.0$주, 만삭아 $39.0{\pm}2.0$주였다. 제대 동맥혈 isoprostane 농도는 미숙아 $704.7{\pm}635.6pg/mL$, 만삭아 $423.9{\pm}306.5pg/mL$로 미숙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5), MDA도 미숙아 $44.0{\pm}22.9{\mu}M/L$, 만삭아 $28.2{\pm}10.7{\mu}M/L$로 미숙아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5). 미숙아의 경우 isoprostane은 출생 후 24시간에 $478.6{\pm}580.6pg/m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미숙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둔위 분만, 양수 과소증, 신생아 가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P<0.05), 만삭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임신성 고혈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그러나 미숙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신생아기의 주요 합병증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미숙아에서 제대 동맥혈 isoprostane 농도는 만삭아에 비하여 높고, 일부 주산기-신생아기 위험인자와 연관이 있어서, 주산기-신생아기에 산화손상과 관련된 주요 지표 중에 하나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추측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