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호색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3초

각시현호색: 한국에서 발견된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1신종 (Corydalis misandra B.U.Oh: A new species of Corydalis sect. Corydalis (Fumariaceae) from Korea)

  • 오병운;최혁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7-144
    • /
    • 2006
  • 현호색과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1신종인 각시현호색이 한국의 경기도 및 강원도에서 발견되어 기재되었다. 신종은 타원형 내지 선형의 소엽 형태, 전연 내지 선단이 약간 치아상인 탁엽 및 넓고 마름모형이 하측 외화판을 가지며, 또한 14개의 돌기가 있는 주두와 종자가 1열로 배열하는 선형의 삭과를 가짐으로써, 이와 가까운 유연관계가 있다고 판단되는 남도현호색과 뚜렷이 구별되었다.

남도현호색: 한국에서 발견된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1신종 (Corydalis namdoensis B.U. Oh et J.G. Kim: A new species of Corydalis sect. Corydalis (Fumariaceae) from Korea)

  • 오병운;장창기;윤창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5-271
    • /
    • 2004
  • 현호색과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1신종인 남도현호색이 한국의 중부 및 남부 지방에서 발견되어 기재되었다. 신종은 매우 다양한 엽형과 넓고 편평한 방추형 열매를 가짐으로써, 또한 삭과 내에 종자가 거의 2열로 배열하고, 내화판의 정단이 V자 모양으로 함몰하며, 다소 제한된 분포역을 가짐으로써, 이와 유사한 흰현호색과 뚜렷이 구별되었다.

쇠뿔현호색: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1신종 (Corydalis cornupetala Y.H. Kim et J.H. Jeong: A New Species of Corydalis sect. Corydalis (Fumariaceae))

  • 김영희;정지희;조동광;김진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7-224
    • /
    • 2007
  • 현호색과 현호색속 현호색절 1신종인 쇠뿔현호색이 한국의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발견되어 기재되었다. 신종은 꽃의 색과 형태에서 다른 현호색속 현호색절에 속하는 종들과 뚜렷이 구별되는데, 꽃 색은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고, 위아래 외화판에 짙은 자주색 두 줄 무늬가 있으며, 아래 외화판 선단 모양이 쇠뿔형이다. 소엽은 선형으로 남도현호색 또는 현호색의 댓잎형 잎과 비슷하나 보다 좁고 길다. 포는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현호색과 남도현호색의 타원형과 구분된다.

수염현호색 (현호색과): 국내 미기록 식물 (Corydalis caudata (Lam.) Pers. (Fumariaceae): An unrecorded species of corydalis in Korea)

  • 김진석;이강협;박재홍;김상용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31-537
    • /
    • 2008
  • 한국의 중부지방에서 발견한 현호색속 (Corydalis) Corydalis절에 속하는 미기록 식물, 수염현호색 [Corydalis caudata (Lam.) Pers.]을 채집하여 기재 및 도해하였다. 수염현호색은 수염 모양의 꽃받침, 위쪽을 향해 굽은 거, 가지가 다수 분지되는 특징 등에서 현호색속의 다른 종들과 쉽게 구분이 된다. 수염 모양의 꽃받침 특징을 살려 수염현호색으로 명명하였다.

현호색속(현호색과)의 신종: 봉화현호색(Corydalis bonghwaensis M. Kim & H. Jo) (A new species of Corydalis (Fumariaceae): C. bonghwaensis M. Kim & H. Jo)

  • 조현;신창근;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08-315
    • /
    • 2017
  • 경상북도 봉화에서 현호색속의 신종인 봉화현호색(Corydalis bonghwaensis M. Kim & H. Jo)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봉화현호색은 꽃이 흰색이고, 소화경에 털이 없으며, 괴경의 내부는 흰색이고, 주두돌기가 다각형이라는 점에서 남도현호색과 흰현호색과 유사하다. 그러나 봉화현호색은 꽃색이 연노랑에서 흰색으로 변하고, 내화피 정단은 약하게 돌출하며, 잎 열편은 가는 선형이고 2열 종자를 가진 방추형 삭과이다. 이에 반하여 남도현호색은 내화피 정단이 오목하게 함몰하고 잎 열편은 다양하며 2열 종자를 가진 방추형 삭과인 반면에, 흰현호색은 내화피는 오목하게 함몰하고 잎 열편은 타원형이며 1열 종자를 가진 선형 삭과이다. 또한 난장이현호색은 꽃색이 하늘빛 보라색이고 소엽은 타원형이며 꽃이 1-5개 달리고 아래 외화피가 반구형인 점에서 봉화현호색과 뚜렷이 구별된다.

날개현호색: 한국에서 발견된 현호색속의 1신종 (Corydalis alata: A new species of Corydalis sect. Corydalis (Fumariaceae) from Korea)

  • 오병운;김윤영;지성진;김재길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9-83
    • /
    • 2010
  • 현호색과 현호색속의 1신종인 날개현호색이 한국의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견되어 기재하고 도해하였다. 날개현호색은 괴경의 내부 표면은 백색이고, 하측 외화판의 기부는 전저이며, 더 작은 종자를 가짐으로써, 이와 근연종인 점현호색과 뚜렷이 구별되었다.

한국산 현호색속 화부구조 및 분비조직 형질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Floral and Secretory Structure in Korean Corydalis)

  • 양선규;송준호;최고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5-35
    • /
    • 2019
  • 현호색속은 양귀비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서 전 세계에 약 450분류군이 분포하며 한국에는 25분류군이 분포한다. 20분류군의 한국산 현호색속 식물을 대상으로 화부 형태, 밀선의 형태, 밀선의 부착 위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현호색속 식물의 꽃은 좌우대칭하며 외화판의 거(spur)에 위치한 밀선을 갖는데 밀선의 위치, 형태 등은 현호색속의 분류체계를 반영하는 중요한 형질로 판단된다. 관찰결과 현호색절과 가는괴불주머니절의 밀선은 거(spur)의 1/3~2/3 정도 까지 신장되며 신장부는 매우 가늘지만 선단부에서는 다소 부푼 후 뾰족해지고 아래쪽으로 굽으며 분비조직이 위치하고 있는 부분은 녹색, 신장부는 횐색을 띠었다. 들현호색절에서는 거(spur)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다. 기부는 두껍고 화색과 같은색을 띠지만 끝부분은 가늘고 굽지 않으며 흰색을 띤다. 자주괴불주머니절의 밀선은 거의 신장되지 않고 주걱형이며 노란색을 띠었다. 산괴불주머니절에서는 거(spur)의 3/4까지 신장되며 선단부는 뾰족하고 녹색을 띠며 아래로 굽는다. 밀선의 형태는 거(spur)의 형태와 관련이 있다. 거(spur)가 주머니처럼 부푸는 절에서 밀선분비조직의 뚜렷한 발달이 관찰되고 거(spur) 안에 분비된 화밀을 저장한다. 비록 현호색절과 산괴불주머니절이 서로 밀접한 계통을 갖지는 않지만 이들이 공유하는 밀선의 형태는 거(spur) 형태의 유사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산 현호색속 밀선의 형질진화 분석을 위하여 mesquite을 이용하여 ancestral reconstruction를 수행하였다. 밀선의 형질진화는 한국산 현호색속 5절의 계통진화를 반영하였다. 현호색속의 화부형질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화부형질의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화부구조와 분비조직의 형질은 현호색속의 계통진화를 잘 반영하고 있었으며 향후 분비조직의 해부형질, 미세형질 등의 추가연구를 통하여 현호색속의 계통연구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현호색속 식물 4종에 대한 개미의 전파체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s Selection of the Diaspores of Four Corydalis Species)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95-499
    • /
    • 2014
  • 우리나라에서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식물종과 관련 개미 및 개미의 종자선택 행태를 밝히고자, 2013년 4월부터과 2014년 7월까지 현호색 4종의 열매 수집, 전파체 특성, 급여시험을 실시하였다. 개미가 종자를 퍼뜨리는(ant-dispersed) 4종의 현호색 속의 식물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4종의 식물체의 종자에 부착된 지방체의 형태는 주걱처럼 생겼으며, 식물종간 길이나 크기는 서로 달랐다. 전파체, 종자 및 지방체 무게 및 지방체 비율 등은 식물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전파체와 종자의 무게는 갈퀴현호색이 가장 무거웠고, 다음으로 현호색, 댓잎현호색, 빗살현호색의 순이었다. 지방체의 비율은 댓잎현호색이 23.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현호색, 빗살현호색, 갈퀴현호색의 순이었다. 지방체를 물어가는 개미는 곰개미, 누운털개미, 고동털개미 및 주름개미 4종이었으며, 가장 빈번하게 지방체를 물어가는 종은 곰개미였다. 개미의 전파체 선호도는 댓잎현호색, 현호색, 빗살현호색, 갈퀴현호색의 순이었으며, 이러한 순서는 지방체의 비율과 같은 순이었다. 개미의 전파체 선택행동은 식물종 또는 개체간 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사료된다. 앞으로 개미가 종자를 퍼뜨리는 식물종과 개미에 대한 조사와 급여시험 등의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이 Bcl-2와 $Bcl-_{XL}$ 발현 억제를 통해 유방암 세포의 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Corydalis Tuber Induces Apoptosis in MCF-7 Cells, Via Inhibition of Bcl-2 and $Bcl-_{XL}$ Expression)

  • 박영애;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0-103
    • /
    • 2008
  • 목적 : 본 연구는 현호색의 메탄올 추출물(Corydalis Tuber Extract:CTE)이 인간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의 자멸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로 인간유방암에서 유래된 MCF-7 세포를 처리하였다. CTE의 세포자멸사 유도 효과는 MTT, FACS, TUNEL, DNA laddering and immunoblot assay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은 MCF-7 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CTE로 처리한 MCF-7 세포는 용량에 따라 세포 자멸사 과정이 증가했다. CTE에 노출하였을 때 Bcl-2와 $Bcl-_{XL}$의 발현을 억제하고,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세포질로 cytochrome-c를 방출하며, caspase와 PARP의 절단을 유발하여 세포자멸사가 증가했다.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성분중에서 coptisine이 세포 활성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실험결과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이 유방암의 임상 치료에 있어 가능성 있는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현호색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독성시험연구 (Toxicity study to Ensure the Safety of 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

  • 이승범;하현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529-5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호색에 대한 기본적인 독성을 조사하고, 식품 소재로서의 현호색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호색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농도별로 마우스에 투여한 뒤 사망률과 임상증상을 관찰하였으며, 장기를 적출하여 각각의 절대중량과 상대중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현호색의 안전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망한 개체는 없었으며, 장기중량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혈액생화학적으로 일부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현호색이 식품의 부재료 또는 첨가제로서의 활용이 가능한 소재로 판단되며, 다양한 활용방법 및 추가적인 안전성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