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 적용성 검증

Search Result 1,004, Processing Time 0.066 seconds

A Study on Unsteady Free Surface Flow Simulation Using Two-Dimensional Finite Volume Method (2차원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비정상상태 자유수면 모의에 관한 연구)

  • Jeong, Woo-Chang;Hwang, Ma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64-66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상태 자유수면 모의를 위해 2차원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론적인 해석해 및 수리실험을 통한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지배방정식으로 비선형 및 보존형 2차원 천수방정식(shallow water equation)을 이용하였으며, 동적메모리 할당 기능이 포함된 Fortran-90으로 코딩되었다. 또한 구조화된 격자 및 비구조화 격자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불규칙한 하상지형에 의해 수치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모형에 well-balanced HLLC 기법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1차원의 경우 젖은/마른 하상 조건하에서의 댐 붕괴파 문제와 하상이 변화하는 지형 구간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천이류에 대한 문제 그리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와 지형 조건에서의 wetting & drying에 대한 문제에 적용하였으며, 2차원의 경우 전통적인 댐 붕괴파 문제 및 구조물에 미치는 댐 붕괴파의 영향에 대한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본 모형을 통해 계산된 수치해는 이론적인 해석해와 실측자료에 거의 정확히 일치하였으며, 향후 실제 하천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할 것이다.

  • PDF

사용후핵연료 검증기술 연구

  • 나원우;차홍렬;이영길;홍종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535-540
    • /
    • 1996
  • 원자로에서 연소되고 나온 사용후핵연료는 영구 처분하기 이전에 대부분 수조(pool)속에 임시로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관리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속에 핵폭발 장치로 전용될수 있는 매우 민감한 핵물질인 플루토늄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개발을 위한 핵활동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사찰 수행시 현장 적용 가능한 사용후핵연료 검증 기술과 장비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후핵연료봉 및 사용후핵연료 집합체 검증을 휘한 고분해능 감마선 분광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장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강화되는 핵비확산 체제와 통제관련 기술의 발전에 대비하고 우리 나라의 국가계량관리체제(SSAC) 확립에 필요한 자체적인 사찰 기술을 개발하여 국가사찰에 적용하는 것이 비파괴측정기술 개발 목적이다.

  • PDF

A Study on Pilot-test of the CCTV Fog Visibility Measurement System (CCTV를 이용한 안개시정거리 측정 시스템의 파일럿테스트에 관한 연구)

  • Kim, Bong-Keun;Chang, In-Soo;Lee, Gwa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719-721
    • /
    • 2012
  • 우리는 CCTV 카메라 영상에서 도로상에 통행중인 차량의 이동영역이 시정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동영역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시거리를 계산하는 안개시정거리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현장적용성 및 정확성 검증을 위해 중부내륙고속도로 한국도로공사 시험도로에 CCTV를 설치하고 한국도로공사 충주지사에 시스템을 설치하여 파일럿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시스템의 시작품제작과 현장적용성 및 정확성 검증을 위한 파일럿테스트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현재까지의 파일럿테스트 결과와 기대효과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기술한다.

  • PDF

A Research on the Reduction Plan of Falling Accidents in Small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의 떨어짐 재해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

  • Choi,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35-23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업무상 사고 재해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은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떨어짐 재해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여 전체 건설현장의 재해 감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기반이 되는 이론(하인리히 법칙, 버드의 도미노 이론과 하베이 3E이론)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떨어짐 재해발생원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근로자의 안전·보건의식이 부족하다. 둘째, 떨어짐 방지 안전시설이 미비한 현장이대다수이다. 셋째, 위험성평가 제도의 현장 적용이 난이하다. 또한,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2015년~2016년 OO지역의 떨어짐 재해가 발생한 공사금액 20억원 미만 약 15개소 소규모 건설 현장을 방문하여 현장 소장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의 떨어짐 재해를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자발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근로자 교육, 떨어짐 방지 안전시설을 지원해주는 정부지원 그리고 위험성평가 간소화를 제안하였다.

  • PDF

Application for Disaster Prediction of Reservoir Dam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based on Field Trial Construction (현장 시험시공을 통한 저수지 댐의 재해예측 무선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적용성 평가)

  • Yoo, Chanho;Kim, Seungwook;Baek, Seungcheol;Na, Gihyuk;You, Kwa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1
    • /
    • pp.19-25
    • /
    • 2019
  • In this present study,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entire reservoir dam facility using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a section representative of the domestic reservoir dam was selected as the test bed site and to operated a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condition of the facility at the real time with monitoring. In order to set up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the system assessment of present state was carried out for confirmation the risk factors and the limit values of the risk factors in limit state were calculated.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sensor to be measured in the field were determined by setting the measurement items suitable for the hazardous area and the risk factor.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the system by monitoring and construct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in a field for a fill dam that can represent a domestic reservoir dam. Applicability evaluation was verified by comparing directly with the measurement of partial concentration method which is the measurement management technology of the dam.

Infill-system Development for Long-Life Housing with Durability & Flexibility: Focused on the Constructing and Evaluating Application of Mock-up House (내구성 및 가변성을 갖는 장수명 공동주택의 가변요소 시스템 개발 : 실험주택 건립 및 적용성 평가를 중심으로)

  • Cheong, So-Yi;Park, Joon-Young;Chun, Young-So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4
    • /
    • pp.397-406
    • /
    • 2011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various infill-systems for practically applying to long-life housing with 100-year durability and flexibility as a strategy for realizing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Especially, the developed infill-systems & technologies were concentrated to the mock-up house applied with the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and their in-situ applicability by a phase, experts' consult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also evaluated. This research was executed to divide by 3 phases. In the First phase infill-systems for a housing unit of $84m^2$ exclusive use area as well as a support of whole structure and infill-systems including dry wall, and windows were constructed, and their in-situ applicability were evaluated. In the Second phase vertical integration of upper and lower housing units of $50m^2$ and $40m^2$ exclusive use area was investigated the first in domestic for 3 housing units of $50m^2$ exclusive use area. In addition, various infill-systems including the horizontal expansion of $50m^2$ and $10m^2$ exclusive use areas were also constructed and evaluated on their in-situ applicability. In the third phase diverse performance tests and field investigation for in-situ verifying of dry Ondol, developed this research, were executed to improve their practicability. Inner dry walls were taken apart, moved and re-constructed for verifying their practicability to investigate 3R-Reduce, Reuse and Recycle-realization too.

The Effects of the Advance Organizer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Programming Class (선행조직자를 적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Kim, Jong-Han;Choe, Hyun-Jong;Kim, T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5 no.2
    • /
    • pp.189-19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advance organizer in programming clas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We developed our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programming for this purpose, Further, they are applied to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ir effects are analyzed. Four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s of this study, For comparison, they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who taught by a traditional programming teaching method and an experimental group who taught by our advance organizer programming class. As a result, through before-and-after t-verifications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we found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effectiveness of our new programming teaching method was proved in both learner's self-efficacy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 PDF

Fabrication Technique and Structural Performance Verification of PSC U-Type Segment Girder Using On-Site Pretension Method (현장 프리텐션 긴장 방식 적용 PSC U형 분절 거더 제작 기술 및 구조 성능 검증)

  • Sangki Park;Jaehwan Kim;Dong-Woo Seo;Ki-Tae Park;Hyun-Ock J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6 no.3
    • /
    • pp.17-26
    • /
    • 2023
  • Prestressed Concrete (PSC) girders are divided into pre- and post-tension types as prestressing method, and I- and U-type as cross-sectional shape. There ar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depending on each prestressing method and cross-sectional shape, and each method is applied to bridge construction sites. In this study, a new girder design was attempted to develop that overcomes its shortcomings by using the pretension method and U-type cross sectional shape. Its structural performance was verified in this study. Pretension type girders are mainly manufactured in factories because they require a reaction arm and related facilities, and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limited in weight and span length for road transporta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U-type cross-section, structural stability is very reliable during construction against overturning, but its own weight is relatively large comparing to I-type, and the post-tension method is mainly applied after on-site production. In this study, a PSC gird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field pretension was proposed and a span length of 40 m real-scale test specimen was manufactured and verified its structural performance.

Development of Riverbed Scour Protection Technique with Non-toxic materials and An examination of Field Application (무독성 소재활용 다층다공성 하상보호 기술개발 및 현장 적용성 검토)

  • Ahn, Hong Kyu;Ji, M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79-479
    • /
    • 2016
  • 국내 하천에는 하천을 가로지르는 보나 낙차공과 같은 횡단구조물이 약 5만여개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보/낙차공과 같은 하천횡단구조물에는 구조물을 월류하여 떨어지는 부분의 세굴을 막기 위하여 apron(물받이공)을 조성하도록 되어있고, 물받이공 하류부 세굴을 막기 위하여 사석을 깔거나, 돌망태를 설치하여 이 부분에서의 세굴을 막아 하상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사석이나 돌망태공, 블록을 이용한 보호공은 한 번 설치되면 이들 공법이 제자리에 남아 있는 한 세굴 방지에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포설된 공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혹은 홍수로 인해 이동되거나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최종적으로 하천횡단구조물의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강우량의 증대 및 집중호우 등 돌변하는 기후변화로 하천환경변화에 대한 적용 가능한 기술이 미비하다. 따라서 하천에 유해한 물질을 방출시키지 않고 하천환경 및 하천 생물의 생활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무 저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치수적으로 수리적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생태적으로도 건강한 생태하천 복원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보 하류부에 자연친화적인 하상보호공으로 다층다공성 하상보호기술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하상보호기술을 CFD 3차원 수치해석과 실내실험을 통하여 수리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개발된 기술은 김해시 대청천 하류 일부구간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였고, 시범사업 시공 전 중 후 각 단계에서 물리, 화학, 생물 모니터링을 통하여 개발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PT N-value and Exerted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Ground Drilling II : Application Study (Field Pilot Test) (지반굴착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와 표준관입시험 N값과의 상관관계 연구 II : 적용성 평가(현장시험시공))

  • Choi, Cha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1 no.4
    • /
    • pp.55-62
    • /
    • 2012
  • In this application study, field pilot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 proposed formula between the exerted electrical energy and SPT N-value based on the result of the basic study. Measurement sensors and recording system were developed to obtain exerted motor current and drilling depth in a field. By using the correlation formula proposed in the basic study, the measured motor current and boring speed were applied to predict SPT N-value and the predicted N-values were compared to SPT N-value of site exploration. From the comparisons it is verified that the exerted electrical energy to bore ground might be used to predict SPT N-value and pile tip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