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 적용성 검증

검색결과 1,004건 처리시간 0.04초

압력식 쏘일네일링을 적용한 사면 및 흙막이 벽체 설계/시공 사례 (A Case Study on Solpe and Earth Retaining Wall Reinforced by Pressure-Grouted Soil Nailing)

  • 정경한;김준엽;이승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97-108
    • /
    • 2010
  • 발포우레탄 패커를 이용한 압력식 쏘일네일링 공법은 기존 쏘일네일링 공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그라우팅 두부에 패커를 설치하여 네일 정착부를 완전히 밀폐하고 압력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정착부의 유효직경 및 인발저항력을 증가시켜 안전율을 향상시키는 공법이다. 압력식 쏘일네일링 공법에 대한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발포우레탄 패커 특성시험 및 현장조건을 묘사한 실내 그라우팅 주입실험, 현장시험 및 FEM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공법의 필수요소인 발포우레탄 패커의 정착력 확인을 위한 패커 특성시험 결과, 공내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하여 패커가 충분히 저항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인발저항력 증가 원인 분석을 위한 실내 및 현장 시험결과, 압력 그라우트에 의하여 그라우트의 품질확보, 보강력증가 및 주변지반의 압밀효과를 확인 하였다. 끝으로 압력식 쏘일네일링 공법을 적용한 사면 및 흙막이 벽체 설계/시공 사례를 분석하여 현장 적용시 본 공법의 효용성 및 대처능력의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PDF

반도체 공정 및 소자 시뮬레이터에 대한 실험계획법 활용 사례 (Application of Experimental Design Technics to Optimization Using Simulators : A case study)

  • 동승훈;이대영
    • 산업공학
    • /
    • 제10권1호
    • /
    • pp.95-107
    • /
    • 1997
  • 본 논문은 실험계획법을 반도체 공정 및 소자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회수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현장과 유사하게 시뮬레이터 내부 파라미터가 튜닝 될 수 있도록 하는 교정 문제에도 활용된 반도체 공정 최적화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일반적 시뮬레이터가 실제 현장과의 차이점으로 갖는 문제인 동일한 입력 값에 대해 항상 같은 출력 값이 산출되는 점을 공정의 규격을 고려해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재현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는 $0.8{\mu}m$급 BIMOS 공정의 기본 소자 중 하나의 NPN 트랜지스터의 전류이득(Current Gain : hFE)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주요 공정조건 결정과 연관된 것이며, 기존 방법에 비해 시뮬레이션 횟수를 줄이는 동시에 현장에 직접 투입되는 검증 로트를 최소화시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추전 조건에서 실제 생산된 검증 로트를 통해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들이 재현됨으로써 제시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효율적인 건설공사와 유지관리를 위한 건설현장에서의 3차원 공간 정보 획득 (3D Spatial Information Acquisition for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on a Construction Site)

  • 김창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8-193
    • /
    • 2004
  • 3차원 모델링은 다양한 safety-enhancement applications 과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에서의 as-built data acquisition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방법으로 건설 현장을 3차원 모델로 형상화 할 수 있는 3차원 공간 모델링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 건설 현장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제시한 방법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건설현장을 형상화하기 위한 모델링 알고리듬들과 여러 장소들로부터 얻는 data를 하나의 coordinate system으로 변환하기 위한 coordinate transformation 알고리듬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였다. 제안된 모델링 방법의 건설 현장에 대한 실제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건설 현장에서의 모델링 실험에 대한 결과가 논의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링 방법이 건설 현장을 효과적으로 3차원 모델로 형상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 PDF

다중채널 고분해능 해양탄성파탐사 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 (Development of High Resolution Multichannel Seismic Data Acquisition System and its Field Application)

  • 김영준;여은민;김찬수;신성렬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3-29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탐사 장소, 수심 및 목적에 따라 사용 할 수 있고 운용 및 이동이 편리한 천해저용 탄성파 음원을 제작하였으며, 다중채널 해양탄성파 탐사를 하기 위해 4채널 스트리머 2개를 제작하였다. 또한 분해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24bits A/D 변환기를 사용하였고, 채널이 총 8개인 다중채널 기록장치를 제작하여 자료취득 과정에 있어서 효율성을 높이면서 자료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시스템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상용화 자료 취득시스템으로 현장탐사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 PDF

회전식유속계와 ADCP를 이용한 유속측정의 검증 및 적용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of Velocity Measurement Using Price Meter and ADCP)

  • 김응석;최현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01-106
    • /
    • 2009
  •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후반부터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가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까지는 ADCP를 이용한 유량측정 기법과 현장 적용성 문제가 충분히 검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식 유속계와 ADCP를 이용한 유속측정의 검증 및 적용에 관한 것이다. 검증방법은 실험실에서 측정된 유속 값을 이용하였다. ADCP와 회전식 유속계를 이용한 유속측정의 차이는 2.1% 이내로 이는 ADCP을 현장에 적용해도 무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을 실시 후 ADCP를 실제 하천에 적용하였다. 현장적용 대상하천으로는 매곡천을 선정하여 ADCP의 유속 및 회전식 유속계의 유속을 비교하였다. 결과에서 ADCP에 의한 유속측정 값은 기존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회전식 유속계의 측정과 비교해서 평균 10.5% 이내의 오차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탄성파 토모그래피의 현장 적용 (1) - 3차원 토모그래피 알고리즘의 구성 - (A Field Application of 3D Seismic Traveltime Tomography (I) - Constitution of 3D Seismic Traveltime Tomography Algorithm -)

  • 문윤섭;하희상;고광범;김지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3호
    • /
    • pp.202-213
    • /
    • 2008
  • 이 논문은 3차원 탄성파 토모그래피의 3차원 초동주시 및 역산 알고리즘의 개발과 수치모형 실험을 통하여 3차원 토모그래피 기법의 현장 적용성을 고찰한 연구이다. 3차원 탄성파 주시토모그래피 기법의 현장 적용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송수신 커버리지에 기인하는 암영대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또한 경제적인 관점에서 자료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합리적이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정된 송수신 커버리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파선 폭의 확장기법의 하나인 프레넬 볼륨에 근거한 3차원 주시 토모그래피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3차원 토모그래피 수행에 요구되는 정밀도와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Fast Marching Method(FMM)을 이용한 초동주시 알고리즘을 선택하였으며 수치모형 실험을 통하여 합리적인 모델변수를 결정하였다. 3차원 고립형 이상체 및 경사진 층서구조 수치모형에 대한 3차원 탄성파속도 입방체를 도출함으로써 개발된 알고리즘의 타당성 및 현장 적용성을 고찰하였다. 재구성된 탄성파 임방체는 원 수치모형과 대비한 결과 상호 부합하는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3차원 토모그래피 알고리즘의 타당성 및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탄소 저감형 재료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Concrete with $CO_2$ Reduction Materials)

  • 전찬기;전중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28-136
    • /
    • 2013
  • 최근 건설공사에서의 산업부산물의 활용 실적은 그 동안 연구 성과에 비해 상당히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각종 건설현장에서는 탄소 저감형 건설재료 활용 및 적용 효과에 대하여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용 확대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부산물인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혼입된 2성분계 및 3성분계 콘크리트에 대하여 역학적 특성, 탄산화 및 염화물 침투 저항성을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재슬래그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터널 버력처리 공정의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Event Oriented Modeling Approach on Tunnel Muck Hauling Operations)

  • 김경민;서형범;김경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74-578
    • /
    • 2006
  • 시뮬레이션은 건설관리를 위한 도구로써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대단히 제한된 범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스의 공정 평가에 적용을 시도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 시뮬레이션을 건설 공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장 특성을 반영한 입력 데이터 수집과 모델 구축에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며, 건설 주요 공정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여 적용성을 검증하는 것은 필수적인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방법론을 소개하고 현장 측정 데이터와의 비교 ${\cdot}$ 분석을 통해 모델을 검증하였다.

  • PDF

제어 검증용 발전소 시뮬레이터 개발 (Development of Power Plant Simulator for Control System Verification & Validation)

  • 변승현;황도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1-51
    • /
    • 2010
  • 500MW급 초임계압 표준 석탄 화력 발전소에의 실증 적용을 목표로 국산 분산제어시스템의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시뮬레이터는 원자력발전소의 디지털 제어시스템 업그레이드나 아날로그 제어 시스템의 디지털 제어시스템으로의 개체시 제어 시스템의 검증용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중용량 석탄 화력 보일러 제어 시스템 검증에 활용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 는 500MW급 표준 석탄 화력 발전소에의 적용을 목적으로 개발 중인 제어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제어 검증용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제어 검증을 위한 제어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현장 제어 시스템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개발 환경에서 현장 데이터를 활용가능하게 하는 변환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 제작사 매뉴얼에 기반하여 제어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뮬레이터는 열평형상태시험, 부하변동 시험, 고장모사시험 등을 통하여 효용성을 확인하였으며, 개발 중인 제어 시스템을 검증하고, 기존 제어 시스템의 분석 및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배전케이블 열화진단 장치의 현장적용성 평가 (Field Applicability Assessment of Degradation Diagnosis System for Distribution Power Cables)

  • 이재봉;김동명;송일근;김주용;김숙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2
    • /
    • pp.1131-1134
    • /
    • 2003
  • 이 논문은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배전용 케이블 열화진단장치인 완화전류 측정장치의 진단기준 개선을 위한 것이다. 현재까지 사용되던 직류 고전압을 이용한 누설전류 측정법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완화전류 측정장치는 국내 배전선로에서 수년간 현장적용을 실시하여 많은 케이블을 교체하였다. 하지만 완화전류 측정을 통해 교체한 케이블의 상태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완화전류 측정을 통한 교체기준이 국내 케이블에 적절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는 케이블 유지보수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으로서 교체기준이 부적절할 경우 열화진단을 통한 고장방지 목적을 달성할 수 없거나 건전한 케이블을 교체하여 불필요한 예산을 낭비하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운전중인 선로를 선택하고 열화된 케이블의 절연성능 향상을 위해 실리콘을 주입하였다. 그리고 실리콘 처리후 케이블의 운전시간에 따른 열화진단 결과와 케이블 절연파괴강도를 비교하여 진단장치의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1년 동안의 현장시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