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 적용성 검증

검색결과 1,005건 처리시간 0.049초

LED 교통신호등 현장적용성 평가 및 경제성 분석 (An Experimental Evaluation and Economic Analysis for LED Traffic Signal)

  • 장덕명;이병철;안주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44
    • /
    • 1999
  • LED(Light Emitting Diodes)는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로서 동화상 광고물이나 가변정보표지판(VMS)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외국의 경우 LED 기술을 교통신호등에 적용하여 시범설치 및 확대 적용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국내에서는 산업체, 학계, 연구소 등에서 연구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이러한 산 학 연의 노력에 의해 개발된 LED 교통신호등을 현장에 적용하기에 앞서서 실내실험과 현장실험을 통하여 에너지 절감효과 및 현장적용성을 검증하고 경제성 분석을 통한 타당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써 기존 전구식 신호등과 LED 신호등의 발광원리 및 특징 비교 분석, 실내실험을 통한 에너지 절감효과 검증, LED 보행자 신호등 현장적용성 평가, LED 신호등으로 서울시의 기존 신호등을 연차적으로 교체하는 경우에 대한 경제적 분석이 실시되었다. 실내실험을 통해 LED 신호등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평균 76% 임을 검증하였고 보행자 신호등에 대한 현장 실험에서 설문응답자의 83.7%가 LED 신호등의 시인성이 우월하다고 나타나 현장적용성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LED 신호등에 대한 경제성 분석결과 자본회수기간은 6년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기존 신호등의 고장 및 유지 보수 등에 의한 차량정체 비용, 교통사고 비용 및 소자기술 발전을 고려하면 이보다 단축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차량등에 대한 운전자들의 반응 및 장기적인 안정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실험이 추가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LED 신호등에 대한 규격서 제정 등 법 제도 측면이 이루어진 후 LED 국내 기술 수준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LED 교통신호등에 대한 보급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석유화학 플랜트 배관공사용 용접관리 프로세스의 개선 (Improvement of the Pipe Welding Management Process for Petrochemical Plant Projects)

  • 신의철;이재헌
    • 플랜트 저널
    • /
    • 제11권4호
    • /
    • pp.47-54
    • /
    • 2015
  • 국내 플랜트 엔지니어링 및 건설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됨에 따라 플랜트 원가 경쟁력 강화 및 생산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SO 도면으로부터 용접 포인트의 번호를 부여 하는 용접커팅플랜 작업과 용접이력관리를 위한 용접검사보고서 작성에 대하여 현행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현행 프로세스에서는 수작업에 따른 생산성 저하와 현장변경요청 발생에 대한 검증의 어려움이 발생하여 전산화를 통하여 석유화학 플랜트 배관공사용 용접관리 프로세스를 개선하였다. 개선 효과의 검증을 위해 국내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현장변경요청 발생률과 업무 생산성 향상에 대하여 개선 전후를 비교하였다. 개선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현장변경요청 발생률은 개선프로세스 적용 이전 대비 4.3%p 감소하였고, 업무 생산성은 개선프로세스 적용 이전 대비 생산성이 한 장당 0.13 시간 향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디지털 수도미터 옥외검침시스템 현장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analysis of walk-by meter reading system)

  • 신강욱;홍성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773_177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단독주택 지역에 대한 수도검침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지털 수도미터 및 옥외검침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개발품에 대한 다양한 현장 적용을 통하여 시스템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시스템 확대적용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현장 적용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수도미터의 국가 형식 승인을 획득을 추진하고자 한다.

  • PDF

건설 현장 생산성 향상을 위한 Lean 프로세스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 (Construction Lean Proces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Field Productivity Improvement)

  • 김용표;정용호;이민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88-97
    • /
    • 2020
  • 전통적인 공사관리 방식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린 프로세스를 시공단계에 적합하게 해석하여 현장에서 시공 관리자들이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린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린 건설의 5가지 원리인 가치의 규정, 가치 흐름, 흐름 생산, 당김 생산, 완벽 추구를 현장 특성에 맞게 정의하였다. 고객을 후속 공종으로 규정하고 가치는 액티비티로, 가치 흐름은 공정표로 정의하였으며 흐름 생산, 당김 생산, 완벽 추구를 공사중 모니터링과 개선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린 타임과 린 사이클 타임의 개념을 도입하여 객관적 측정 기준을 수립하였다. 낭비는 린 사이클 타임을 근간으로 도출하도록 하였으며 린 사이클 타임이 궁극적 개선의 목표가 되었다. 측정 및 분석의 신뢰성은 계획의 신뢰성이 확보를 담보로 한다. 이에 계획단계에서의 개인, 조직, 경험의 편견과 오류를 최소화될 수 있도록 계획의 적정성 검증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예측하기 어려운 다양한 상황에 계획이 적합한지를 검증하는 계획의 적합성 검증 방안을 제시하여 계획의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제시한 프로세스를 현장에 적용하여 린 프로세스의 구체적 적용 방안의 예시를 제시하였으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치매환자 인지프로그램 실무지침 개발을 위한 융합적 효과검증 (Convergence effectiveness verification for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s for dementia patients cognitive programs)

  • 함민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5-91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환자에게 적합한 인지 프로그램 실무지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기술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근거중심의 임상진료지침 신규개발 방법에 기초하여 국내 치매환자용 인지프로그램 실무지침 예비 권고안을 개발하였다. 이후, 효과검증을 위해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실무자 현장 적용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실무지침은 최종 4개 유형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성항목의 내용타당도는 0.87-1점을 나타냈다. 현장 적용성의 하위항목에서는 적절성이 3.95-4.34점, 적용가능성이 3.57-4.27점, 효과성예측이 3.84-4.22점이었다.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현장 적용성 예측 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무지침이 임상에 종사하는 치매 인지프로그램 관리자의 중재 계획수립과 임상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에게 최적의 치료적 활동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중심의 실무지침 개발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바이오폴리머를 적용한 다층다공성 하상보호공의 현장 적용성 모니터링 (Field Monitoring of the Multilayer Porous River-Bed Protection using Biopolymer)

  • 이상훈;안홍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6-216
    • /
    • 2020
  • 최근 하천에서는 다양한 하천복원기술이 개발·적용되고 있으나, 하천관리의 패러다임 변화로 하천에서의 환경복원이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과거 치수 위주로 추진되어온 결과, 하천에서는 콘크리트 활용 기술이 과다하게 유입됨으로 인하여 치수에는 안전하나 하천 경관 훼손 및 하천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를 활용한 기술은 높은 안정성을 바탕으로 세굴방지에 좋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하천에 적용 시 하천생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강알카리(pH 12정도)를 지속적(10년)으로 용출하여 하천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하천에 대한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하천경관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독성물질이 포함된 콘크리트 대신 Biopolymer 접착소재와 같은 무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다층다공성 하상보호공을 개발하였으며, 과학적인 검증을 통하여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현장에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김해시 대청천 대청1보에 시범사업을 하였으며, 개발된 기술에 대한 안전성 및 생태성을 검증을 위하여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 PDF

지하 파일 탐지를 위한 시추공 자력탐사 자료의 역산

  • 차영호;신창수;서정희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9년도 춘계 공동학술발표회
    • /
    • pp.80-8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토목분야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는 기초 파일의 깊이 탐지와 관련하여 시추공 자력탐사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추공 자력탐사 모형 반응 계산 및 역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모형 반응 계산은 시추공 자력탐사에 적합하고 삼성분 이상을 계산할 수 있도록 기존의 방법을 수정하였으며, 역산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자력탐사 자료 역산의 불안정성을 고려하여 광역적 최적화 기법의 하나임 ASA(Adaptive Simulated Annealing : Ingber, 1993)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모형 반응 및 역산 알고리즘을 간단한 모형 및 합성자료에 대해 적용한 결과 그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무작위 잡음을 첨가한 자료, 주변 파일의 영향 및 지표 구조물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복잡한 모형에 대해 기초 파일의 깊이를 탐지해 낼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실제 현장 적용시 고려해야할 현장지침에 대해서도 고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자료에 적용한 결과 실제 파일의 깊이를 역산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기초 파일의 깊이 탐지를 위한 시추공 자력탐사의 적용성 및 본 알고리즘의 현장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건설 CALS 시스템 건설공사 활용을 위한 요소기술 및 장비의 현장 적용성 검증 (A Site Application verification of technology and Equipment for Construction Application of Construction CALS System)

  • 최상용;신태홍;김병곤;김태학;권순욱;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67-771
    • /
    • 2008
  • 최근 전 산업적 분야에서 첨단 IT와 전통산업의 융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와 시장을 창출하려는 융 복합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국내 무선 및 모바일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산업계의 적용 사례 및 해당기술 활성화 등으로 인하여 건설 산업에 첨단 IT의 적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도로/하천 사업관리 업무에 활용 중인 건설 CALS 시스템을 유비쿼터스 모바일 기술 등 첨단 IT 응용 기술을 적용하여 첨단 건설사업 정보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요구사항이 증대되고 있고, 건설현장자료 사용자 수기입력(키보드 입력방식)의 문제점인 자료입력 지연, 부정확, 부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및 센서 기술을 활용한 자동 입력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CALS 시스템의 기능 고도화와 첨단화를 위해 유비궈터스 및 모바일 기술 등의 첨단 IT 적용을 위한 RFID 및 모바일 장비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지반함몰 위험등급 분류(GSRp)의 굴착현장 사례 연구 (Case Studies of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s (GSRp) Applied to the Excavation Sites)

  • 신상식;임명혁;김학준
    • 지질공학
    • /
    • 제29권3호
    • /
    • pp.289-302
    • /
    • 2019
  • 최근 굴착현장 인근의 지반함몰 발생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사전에 지반함몰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 의해 개발된 굴착 전 지반함몰 위험등급 평가 시트인 GSRp를 실제 굴착 현장에 적용하여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각각 다른 지반조건을 가진 5개 굴착현장에 대하여 지반함몰 위험등급을 평가한 결과, GSRp 점수는 40~79점으로 산출되어 대부분 II등급(우수지반)~III등급(양호지반)으로 분류되었다. 평가방법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계측결과에 의해 실측된 수평변위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현장의 수평변위량은 허용치의 25~47%로 나타나 지반함몰 위험이 낮게 평가된 GSRp 결과와 일치하였다. 향후 지반함몰 위험성이 높은 불량한 지반을 대상으로 하는 현장 적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검증과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GSRp 평가방법이 굴착 전 지반함몰 위험도를 예측하는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금속 오염토양 안정화층 시공을 위한 원위치 교반방식과 혼합포설방식의 효과비교 (Comparison the Effect of In-situ Mixing Method and Mixed Laying Method for Construction of Stabilizing Layer o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 이상무;김진환;윤여준;김윤수;박남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6호
    • /
    • pp.505-5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오염토양 안정화처리 시공방법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개발한 혼합포설방식 안정화장비의 현장 적용성 및 시공성을 현장실증시험 및 실내시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현장 실증시험을 통하여 안정화장비의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으며, 현장 교반토의 석회석 분포 및 CaO 함량 분석 등의 실내시험을 통하여 기존 오염토양 안정화처리 시공방법에 비해 개발된 안정화장비 시공방법의 안정화제 교반성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