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 적용성 검증

Search Result 1,004,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n Experimental Evaluation and Economic Analysis for LED Traffic Signal (LED 교통신호등 현장적용성 평가 및 경제성 분석)

  • 장덕명;이병철;안주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4
    • /
    • pp.33-44
    • /
    • 1999
  • LED(Light Emitting Diodes)는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로서 동화상 광고물이나 가변정보표지판(VMS)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외국의 경우 LED 기술을 교통신호등에 적용하여 시범설치 및 확대 적용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국내에서는 산업체, 학계, 연구소 등에서 연구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이러한 산 학 연의 노력에 의해 개발된 LED 교통신호등을 현장에 적용하기에 앞서서 실내실험과 현장실험을 통하여 에너지 절감효과 및 현장적용성을 검증하고 경제성 분석을 통한 타당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써 기존 전구식 신호등과 LED 신호등의 발광원리 및 특징 비교 분석, 실내실험을 통한 에너지 절감효과 검증, LED 보행자 신호등 현장적용성 평가, LED 신호등으로 서울시의 기존 신호등을 연차적으로 교체하는 경우에 대한 경제적 분석이 실시되었다. 실내실험을 통해 LED 신호등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평균 76% 임을 검증하였고 보행자 신호등에 대한 현장 실험에서 설문응답자의 83.7%가 LED 신호등의 시인성이 우월하다고 나타나 현장적용성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LED 신호등에 대한 경제성 분석결과 자본회수기간은 6년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기존 신호등의 고장 및 유지 보수 등에 의한 차량정체 비용, 교통사고 비용 및 소자기술 발전을 고려하면 이보다 단축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차량등에 대한 운전자들의 반응 및 장기적인 안정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실험이 추가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LED 신호등에 대한 규격서 제정 등 법 제도 측면이 이루어진 후 LED 국내 기술 수준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LED 교통신호등에 대한 보급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Improvement of the Pipe Welding Management Process for Petrochemical Plant Projects (석유화학 플랜트 배관공사용 용접관리 프로세스의 개선)

  • Shin, Euicheol;Lee, Jae-Heon
    • Plant Journal
    • /
    • v.11 no.4
    • /
    • pp.47-54
    • /
    • 2015
  • 국내 플랜트 엔지니어링 및 건설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됨에 따라 플랜트 원가 경쟁력 강화 및 생산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SO 도면으로부터 용접 포인트의 번호를 부여 하는 용접커팅플랜 작업과 용접이력관리를 위한 용접검사보고서 작성에 대하여 현행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현행 프로세스에서는 수작업에 따른 생산성 저하와 현장변경요청 발생에 대한 검증의 어려움이 발생하여 전산화를 통하여 석유화학 플랜트 배관공사용 용접관리 프로세스를 개선하였다. 개선 효과의 검증을 위해 국내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현장변경요청 발생률과 업무 생산성 향상에 대하여 개선 전후를 비교하였다. 개선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현장변경요청 발생률은 개선프로세스 적용 이전 대비 4.3%p 감소하였고, 업무 생산성은 개선프로세스 적용 이전 대비 생산성이 한 장당 0.13 시간 향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pplicability analysis of walk-by meter reading system (디지털 수도미터 옥외검침시스템 현장 적용성 분석)

  • Shin, Gang-Wook;Hong, Sung-Tae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773_177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단독주택 지역에 대한 수도검침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지털 수도미터 및 옥외검침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개발품에 대한 다양한 현장 적용을 통하여 시스템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시스템 확대적용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현장 적용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수도미터의 국가 형식 승인을 획득을 추진하고자 한다.

  • PDF

Construction Lean Proces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Field Productivity Improvement (건설 현장 생산성 향상을 위한 Lean 프로세스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

  • Kim, Yong-pyo;Jeong, Yong-ho;Lee, Min-ja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1 no.2
    • /
    • pp.88-97
    • /
    • 2020
  • Practical and efficient application of lean construction, which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s, was developed to facilitate application on site and improve productivity through the fusion of tradit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s. The concepts of Lean Time and Lean Cycle Time, which are the principles of lean construction, were introduced to eliminate waste and smooth flow production and pursuit of perfection, and the goal of establishing and improving the criteria for measurement and improvement was established and the information collection template was configured and applied to ensure reliability of measurement and analysis. Based on this, the project feasibility, reliability, and continuous improvement process were applied to the Field case to verify its effectiveness.

Convergence effectiveness verification for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s for dementia patients cognitive programs (치매환자 인지프로그램 실무지침 개발을 위한 융합적 효과검증)

  • Ham, Min-J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5
    • /
    • pp.85-91
    • /
    • 2021
  •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study that explains the procedure for verifying effectiveness in developing practical guidelines for cognitive programs suitable for dementia patient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ew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 preliminary recommendation for the domestic dementia patient care guidelines was developed. The practical guidelines consisted of the final four types, and the content validity score of the configuration items was 0.87 to 1 point. In the sub-categories of field applicability, appropriateness score was 3.95 to 4.34 points, applicability score was 3.57 to 4.27 points, and predicted effect score was 3.84 to 4.22 poin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and field applicability of exper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actical guideline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an intervention plan for dementia cognitive program managers engaged in clinical practice. In future studies should further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treatment guidelines to select appropriate treatment activities for dementia patients.

Field Monitoring of the Multilayer Porous River-Bed Protection using Biopolymer (바이오폴리머를 적용한 다층다공성 하상보호공의 현장 적용성 모니터링)

  • Lee, Sang-Hoon;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6-216
    • /
    • 2020
  • 최근 하천에서는 다양한 하천복원기술이 개발·적용되고 있으나, 하천관리의 패러다임 변화로 하천에서의 환경복원이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과거 치수 위주로 추진되어온 결과, 하천에서는 콘크리트 활용 기술이 과다하게 유입됨으로 인하여 치수에는 안전하나 하천 경관 훼손 및 하천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를 활용한 기술은 높은 안정성을 바탕으로 세굴방지에 좋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하천에 적용 시 하천생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강알카리(pH 12정도)를 지속적(10년)으로 용출하여 하천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하천에 대한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하천경관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독성물질이 포함된 콘크리트 대신 Biopolymer 접착소재와 같은 무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다층다공성 하상보호공을 개발하였으며, 과학적인 검증을 통하여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현장에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김해시 대청천 대청1보에 시범사업을 하였으며, 개발된 기술에 대한 안전성 및 생태성을 검증을 위하여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 PDF

지하 파일 탐지를 위한 시추공 자력탐사 자료의 역산

  • 차영호;신창수;서정희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1999.04a
    • /
    • pp.80-8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토목분야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는 기초 파일의 깊이 탐지와 관련하여 시추공 자력탐사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추공 자력탐사 모형 반응 계산 및 역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모형 반응 계산은 시추공 자력탐사에 적합하고 삼성분 이상을 계산할 수 있도록 기존의 방법을 수정하였으며, 역산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자력탐사 자료 역산의 불안정성을 고려하여 광역적 최적화 기법의 하나임 ASA(Adaptive Simulated Annealing : Ingber, 1993)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모형 반응 및 역산 알고리즘을 간단한 모형 및 합성자료에 대해 적용한 결과 그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무작위 잡음을 첨가한 자료, 주변 파일의 영향 및 지표 구조물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복잡한 모형에 대해 기초 파일의 깊이를 탐지해 낼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실제 현장 적용시 고려해야할 현장지침에 대해서도 고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자료에 적용한 결과 실제 파일의 깊이를 역산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기초 파일의 깊이 탐지를 위한 시추공 자력탐사의 적용성 및 본 알고리즘의 현장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ite Application verification of technology and Equipment for Construction Application of Construction CALS System (건설 CALS 시스템 건설공사 활용을 위한 요소기술 및 장비의 현장 적용성 검증)

  • Choi, Sang-Yong;Shin, Tae-Hong;Kim, Byung-Kon;Kim, Tea-Hak;Kwon, Soon-Wook;Chin, Sa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767-771
    • /
    • 2008
  • From industrial field spearhead IT and new create an added value and market with fusion of traditional industry composition researches actively to be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high-tech IT technique is coming to be high in construction industry. Currently, the user requirements that upgrade existing system to high-tech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system combined construction CALS system applying in road/river business management service with high-tech IT such as ubiquitous and mobile techniqu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site application of RFID and mobile equipment for applying in high-tech field with ubiquitous and mobile techniques so that construction CALS system gets advanced increasingly.

  • PDF

Case Studies of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s (GSRp) Applied to the Excavation Sites (지반함몰 위험등급 분류(GSRp)의 굴착현장 사례 연구)

  • Shin, Sang-Sik;Ihm, Myeong-Hyek;Kim, Hak J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3
    • /
    • pp.289-302
    • /
    • 2019
  • As the occurrence of ground subsidence near the excavation site increases recentl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ground subsidence prior to excavation. In this study, the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 for pre-excavation (GSRp) developed by the previous study was applied to actual excavation sites to verify its applicability. The final results for the evaluation of the ground subsidence risk level for five excavation sites revealed that GSRp scores were calculated between 40 and 79 points and classified mainly into grades II (Good Ground)~III (Fair Ground). In order to verify the evaluation method, the obtained GSRp grades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horizontal displacements. The horizontal displacements measured in five excavation sites were between 25% and 47% of the allowable displacement, which were well agreed with the low subsidence risk level obtained from GSRp calcul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GSRp method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for predicting the risk of ground subsidence before excavation if GSRp is ver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additional research for the poor soil with the high risk of ground subsidence.

Comparison the Effect of In-situ Mixing Method and Mixed Laying Method for Construction of Stabilizing Layer o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중금속 오염토양 안정화층 시공을 위한 원위치 교반방식과 혼합포설방식의 효과비교)

  • Lee, Sang-Moo;Kim, Jin-Hwan;Yun, Yeo-Joon;Kim, Yoon-Su;Park, Nam-Se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5 no.6
    • /
    • pp.505-514
    • /
    • 2015
  • In this study, a stabilizing equipment was developed to resolve the problems of existing stabiliz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taminated soil. The field application and workability of the stabilizing equipment were verified through field demonstration tests and laboratory tests.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stabilizing equipment was identified through field demonstration tests. As a result of laboratory tests for field mixed soil, the mixing capability of stabilizer of the developed construction method was better than that of existing construc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