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학습

Search Result 2,24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ase Study of PBL applied field trip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n teaching (국립민속박물관을 활용한 <의생활문화> PBL 수업 사례)

  • Shin, Hye Won;Rhee, Jung Uk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8 no.4
    • /
    • pp.97-10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PBL(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BL. This paper applied PBL to a "Culture of Clothing" class, comprised of 23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Home Economics. As part of the PBL curriculum, the class assigned students to design and create brochures about the culture of clothing by going on field trips to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class met for five weeks, 3 hours per week. The effectiveness of PBL was measured based on the students' self-reflective journals, self-assessments, and satisfaction surveys. The study gathered three major feedbacks from the students after taking the PBL class. First, the stu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in problem-solving process. Second, the students appreciated that students themselves were implemen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Third,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quality of the PBL class, based on their feedbacks and surveys. However, the students' self-assessments show their acknowledgement of the lack of creativity and critical-thinking skills. The study also observed relatively low-satisfaction ratings about the learning environment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 Study on Performance of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for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Gye-Jeong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279-291
    • /
    • 2012
  •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S-OJT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S-OJT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증진할 수 있는 구성요인과 실행방안을 연구할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 S-OJT프로그램 구성요인은 교육훈련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지원은 학습자의 특성과 무관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동기가 낮은 경우, 교육훈련의 적절성과 환경에, 학습동기가 높은 경우에는 교육훈련의 훈련전문가의 역량이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능력이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교육훈련 내용의 적절성이 교육훈련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OJT 실시에 있어 조직의 지원은 프로그램 성과에 긍정적인 기여효과가 있으며, 훈련전문가의 역량은 현업적용도, 직무성과를 높일 것이다. 아울러 훈련프로그램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을 높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n Web-Based English Learning System for Middle Schools (웹에 기반한 중학교 영어학습시스템의 개발)

  • Kim, Heung-Hwan;Woo, Je-Se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2
    • /
    • pp.41-51
    • /
    • 2005
  • Although distance education system based on WBI theory has already been generalized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some private academical institutes, the use of the system in the real fields of schools is in the early stage now. In this paper, we develop a model of English learning syste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improve students' learning methods through the system. The system also makes students study all the learning topics which they choose in the system freely and repeatedly. It was applied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very effective for students to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course of English. Second, the system made students improve their abilities to study English and also increase their abilities to surf the Internet and glean useful information. Third, the system made it possible for students to accomplish individual learning.

  • PD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eaching Method for Comput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 Ko, Jung-Rim;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204-209
    • /
    • 2006
  • 지식을 스스로 찾아내고, 정리하는 능동적인 학습자 중심의 참여 교육이 강조되기 시작했기에 교육현장에서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기존의 교수법이 아닌 새로운 창의적인 교수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컴퓨터 교육에 있어서 그와 같은 교수법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의 컴퓨터 교수법의 실태를 분석하고, 실제 초등학교 현장의 교수 학습 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창의적 교수법을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활동 결과 학생들이 컴퓨터 학습에 지속적으로 흥미를 갖도록 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창의적 교수법을 개발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해 보고자 하는 교사들과 컴퓨터와 친해져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려는 초등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PDF

3D Knowledge Retrieval for e-Learning Construction (이러닝 구축을 위한 3D 지식 검색)

  • Kim, Gui-Jung;Han, J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7
    • /
    • pp.63-69
    • /
    • 2010
  • This research does focus on supporting all of formal, or informal learning at real time. From industry or education field, learning training is according to worker's current situation or business context. And according to worker's current situation, or business flow, 3D immersion knowledge visualization is effective in the individual ability and the learning progress For this, workers listen to compound knowledge coaching advices at real time. Therefore we developed the realistic 3D based knowledge retrieval method to identify and retrieve multidimensional relation easily.

Case Study and Development of Quest-Based Learning Using QR Code (QR코드를 활용한 퀘스트 기반학습 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

  • Park, Hyung-S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5
    • /
    • pp.79-8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meaning for quest-based learning designed as one of learning methods with new media, which the contents were made of QR code based on smart-phon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8 times of class during one month with 32 elementary third graders. And analysis for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MANOVA focus on four sub-factor of motivation. The results showed positive effect for quest-based learning in attention and confidence factor on motivation. Quest-based learning of gaming version as a learning method using various media can use a learning method for facilitation of learner participation, supporting of learning by doing.

An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AND Tree-Type Teaching-Learning Model to Enhance the Thinking Ability of Information-Gifted (정보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AND 트리형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방안 및 분석)

  • Jung, Deok-Gil;Kim, Byung-Joe;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487-490
    • /
    • 2008
  •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에 관한 많은 관심과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정보영재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정보영재 교육에서 중요성이 증대되는 사고력 신장 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사고력 신장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으로서 AND 트리에 기반을 둔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AND 트리형 교수-학습 모형을 정보영재의 현장 지도에 도입하기 위한 적용 방안을 제시하며, 그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이 논문은 사고력 신장을 위한 정보영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고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영재 교육의 현장에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유효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Ethical Teaching/Learning Methods of Science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수-학습 방법)

  • Choi, Kyung-Hee;Cho, Hee-H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3 no.2
    • /
    • pp.131-143
    • /
    • 2003
  • This study addresses the plan and methods of teaching/learning ethical aspects of science in the secondary school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authors based on their 3 year research on ethical aspects of science and its teaching/learning.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plan is composed of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eaching/learning ethical aspect of science, i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strategies, curricular content, and assessment. The article also attempted to describe a few words of care to keep in mind when apply the model and methods in the science classrooms.

Analysis of the Effects of Smart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on pre- and Post-construction Safety and Unsafe Behaviors of Construction Workers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이 건설근로자의 사전사후 안전과 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Moon, You-Mi;Cho, Choon-Hwan;Kim,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55-157
    • /
    • 2022
  • 기존의 안전교육 교수방법은 강의 방식으로 전달하고 있어 근로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한계점이 있으며,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배경/목적]: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은 건설현장에서 근로자들이 보다 더 빠르게 위험을 인지하고 여기에 맞는 안전작업 이행과 위험발생 시 응급대처 능력 등을 향상시키므로 사전사후 학습전이의 효과성을 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본 연구는 안전교육의 체험학습방법과 참여방법, 교육콘텐츠 접근방법을 통하여 근로자의 안전행동 유도와 불안전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검증이 목적이다. [연구방향/범위]:실제 건설현장과 동일하게 작업환경을 구성해 놓은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시설에서 추락체험, 낙하물체험, 장비협착체험, 화재, 감전재해 등의 실제 사고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체험학습 방법과 가상(VR, AR, 메타버스)공간에서 간접경험 할 수 있는 참여방법을 다룰 것이다. 그리고 안전체험교육 사전사후의 분석을 통하여 안전 학습전이 성과를 분석한다. [연구 분석방법]:연구의 주요 변인으로는 Human-Error, 안전행동요인, 불안전행동요인, 위험감수성, 조직특성, 조직의 안전문화, 조직의 역량, 안전교육특성, 교육콘텐츠 변화가 사전사후 분석을 통하여 현장 작업 시 안전 학습전이의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Courseware For the Regionalized Study Western Gyeoungnam area (현장조사학습을 위한 초등학교 4학년 지역화단원 학습을 위한 WBI 코스웨어 설계 -서부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 Kim, Soon-Ok;Lee, Jae-In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255-260
    • /
    • 2006
  • 현장조사학습은 학습자로 하여금 생생한 현실에 직면하게 함으로써 보고 듣고 느끼는 구체적인 학습을 통하여 생활경험과 시야를 넓히고 사회사상 간의 관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사회과 교수, 학습과정에서의 문제해결을 위해 교실을 벗어나 고장을 중심한 우리도의 현지학습을 위주로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21세기 정보화시대를 맞아하여 우리는 수많은 정보를 일일이 다 경험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현실적으로도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초등학교 사회과 편성의 주요방향인 정보화능력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정보화 사회에 나아가 다양한 정보를 취득하고 활용하여 현대사회의 문제를 창의적이며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이러한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주기위해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자기 학습력과 속도에 맞춰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학습자에게 다양한 미디어를 결합시킴 형태의 WBI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4학년 1학기 보조교과서 "우리 경상남도의 생활"을 재구성하여 서부경남의 7개 시 군의 교통, 관광, 인구, 특산물, 문화재, 등에 대하여 정보를 탐색, 분석,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