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학습

Search Result 2,24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page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설계 및 구축)

  • Jung, Kwang-Soo;Hong, Ki-Che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40-649
    • /
    • 2004
  •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전통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탈피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은 거스를 수 없는 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교수 학습 모형으로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실 여건을 개선하고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목표 달성을 위하여 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커뮤니티 활동을 미니홈페이지라는 공간을 통해 교사와 학생 사이에 학습과 대화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ICT 활용 교육 커뮤니티를 구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학생 자신이 주도적으로 학습 과제를 해결하는 학습과정으로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을 통하여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되도록 ICT 활용 교육을 활성화하여 ICT 활용 교육이 우리 학교 현장에 튼튼히 뿌리를 내리는 데에 기여하고자 HTML학습을 위한 홈페이지를 블로그툴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Function Learning System Applying Discovery Learning Theory (발견학습 이론을 적용한 웹 기반 함수 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So-Hee;Choi Seong-Man;Yoo Cheol-Jung;Chang Ok-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23-825
    • /
    • 2005
  • 기존의 인터넷과 컴퓨터 등의 발달로 교육현장에서도 많은 WBI (Web-Based Instruct ion)들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으나 교육사이트의 컨텐츠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행동주의 심리학에 근거를 둔 프로그램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서 학습자에게 의미있는 학습을 유발시키기 보다는 제시된 정보의 기계적 재생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는 학습자의 외형적이고 기계적인 면보다는 학습자의 인지활동을 강조하는 인지론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인지심리학의 이러한 측면을 잘 반영하는 학습이론으로서 발견학습 이론을 들 수 있다. 발견학습을 적용시킨 모듈부분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활용하지 않고 그래프의 탐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므로 교사 개개인 수업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의 모든 현장에서 교수-학습지도에 기절할 것이다.

  • PDF

The Study on the Design of Web-based Performance Assessment for its application to Schools (학교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웹 기반 수행평가 설계에 관한 연구)

  • 박소영;김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02-205
    • /
    • 2000
  • 새학교 문화창조의 일환으로 현장에선 학습자의 전인적인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여건의 개선없는 제도 도입으로 근본 취지와 관계없이 교사와 학습자는 이중부담에 시달리고 있어 교육의 질 개선에 어려운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수행평가실시로 인한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이고 나아가 수업의 질을 개선하고자 현장 적응력있는 웹 기반 수행평가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utomated Training Database Development through Image Web Crawling for Construction Site Monitoring (건설현장 영상 분석을 위한 웹 크롤링 기반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동화)

  • Hwang, Jeongbin;Kim, Jinwoo;Chi, Seokho;Seo, JoonOh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6
    • /
    • pp.887-892
    • /
    • 2019
  •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series of vision-based technologies to monitor construction sites automatically. To achieve high performance of vision-based technologies, it is essential to build a large amount and high quality of training image database (DB). To do that, researchers usually visit construction sites, install cameras at the jobsites, and collect images for training DB. However, such human and site-dependent approach requires a huge amount of time and costs, and it would be difficult to represent a range of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nstruction sites and resources.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that automatically constructs a training image DB using web crawling techniques. For the validation, the authors conducted two different experiments with the automatically generated DB: construction work type classification and equipment class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thod could successfully build the training image DB for the two classification problem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s for developing a vision-based technology on construction sites.

A Study on the Design of Remote Interactive Study Estimation System for Interconnecting Education (연계교육을 위한 원격 대화식 학습 평가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김영욱;김창수;오암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653-656
    • /
    • 2002
  • 현대사회의 구조변화에 따라 직업교육의 효율성과 산업현장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방안의 일환으로 연계교육(2+2)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연계 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정상적으로 교육과정을 진행할 수 없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계교육을 병행하고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아직 졸업하지 않은 학생들의 연속적인 교육을 위해 인터넷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계교육을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 및 평가할 수 있는 원격대화식 학습 평가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 PDF

Development of a Field-Experience Learning Support Android LBS Application (현장체험학습 지원을 위한 안드로이드 LBS 애플리케이션 개발)

  • Hyun, Dong-Lim;Kim, J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5 no.4
    • /
    • pp.579-587
    • /
    • 2011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filed-experience learning support application. Because teachers want to use LBS in education area. In order to select fit functions, we carried out survey about functions that teachers want. Then, we analysed the result of survey and implemented the functions. Also, for survey about application's effectiveness, we selec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n we demonstrated and explained the application to them. The result of survey about application's effectiveness shows that application have higher utilization in education area.

  • PDF

A Case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Digital Badge for Future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미래형 교육·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디지털배지(Digital Badge) 도입 사례 연구)

  • Bae, Ye-Na;Ahn, Mi-Lee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37-40
    • /
    • 2018
  • 교육 학습은 미래사회 부(富)를 창출하는 인간중심의 가치지향적 무형자본을 키울 수 있는 원동력이며, 기술 사회의 변화는 미래형 교육 학습 환경의 혁신을 촉구하고 있다. 최첨단 학습환경은 학습자의 학업성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의 다양한 학습전략 및 핵심 교육기술 도입 활성화를 통해 학습자의 자발적 학습동기가 촉구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디지털배지에 대한 도입 현황 및 해외 우수사례 분석을 통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활용적 측면 및 성과적 측면에서 우리나라 미래교육 학습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A Blended Learning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Efficient Use of WiKi WEB-based Debate System (Wiki 웹토론 시스템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교수학습모형 설계)

  • Woo, Kyung-He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359-364
    • /
    • 2007
  • Wiki 웹토론 시스템의 목적은 지식을 공유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토론을 활성화시키는 데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가정의 컴퓨터 보급률이라든지 인터넷 사용 등의 제반환경여건에 따라 원활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면대면 현장학습뿐만 아니라 온라인 환경과 기술요소에 따른 다양한 학습활동들이 필요하다. 블렌디드 러닝 (Blended Learning)이란 적합한 시간에 적합한 사람에게 적합한 기술을 개인에 적합한 학습스타일에 맞추기 위해 적합한 학습관련의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학습목표 성취에 초점을 두는 학습형태이다. 블렌디드 러닝에 있어서 학습은 지속적인 과정이며 오프라인학습공간과 결합하여 학습의 장을 넓히는 것이다. 학습자의 관심을 끌어내어 교육의 효과성을 극대화하며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과정실행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혼합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블렌디드 러닝 교수학습모형은 Wiki 웹토론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수 있게 하였다. 본 모형의 특징은 첫째, 토론에 앞서 오프라인 학습으로 학습목표확인과 수업안내를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목표인지와 수업의 흐름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토론 후 교사의 강의가 오프라인 학습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학생들에게 배운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보다 충실한 수업이 될 수 있었다. 셋째, 토론 후 학습자-교사자 및 학습자 상호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signing a data based school with Internet of Things (데이터 기반 학교 운영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활용 환경 설계)

  • Kye, Bo-kyung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0 no.3
    • /
    • pp.25-32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tion articles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t defined learning environmental data, utilization scenarios, and models that IoT can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or academic experts, teachers, and technicians in related fields. In addition, the IoT pilot prototype was developed, verified, and drew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on, analysis, and utilization of real-time data based on the actual school setting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priori case of building and applying a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real school settings considering relevant restriction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SWP for Adult Learners

  • Cho, Woo-H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2
    • /
    • pp.193-19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teaching method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rough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subjects for reinforcing SWP, and to seek ways to strengthen field practic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method of applying learner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discussions by inviting practitioners in the field, and to watch the progress of projects by type of social welfare site. Second, as a way to participate in learne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excellent proposals, participate in events held at welfare sites, present various dilemma cases in the field, and try to overcome ethical dilemmas by sharing cases overcoming dilemma, and to make efforts to list practical skills requir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Third, it is necessary to apply such methods as phone calls, e-campus, Kakao Talk, Zoom, and counseling techniques that are conducted in the case management process as a way to apply interaction, and discuss issues that are important in the welfar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