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적용

Search Result 9,41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Field application assessment of observation methods and gauging instruments for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discharge measurement at ice cover (Review of small mountainous catchment) (하천결빙시 유량측정 정확도 제고를 위한 관측방법 및 기기 현장적용평가(산지 소하천 유역을 중심으로))

  • Kim, Dong Phil;Hwang, Seok Hwa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82-1085
    • /
    • 2004
  • 산지 소하천 유역에서 하천결빙이 발생하는 시기의 유량측정은 평상시의 유량측정 방법으로는 정확한 유량측정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천결빙시의 유량측정 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측방법의 개발과 다양한 관측기기의 현장적용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관측방법의 새로운 기준 적용과 다양한 관측 기기를 이용하여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측정성과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현장적용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현장평가의 적용을 통해 산지 소하천 유역특성에 적합한 유량측정기술 및 기기의 개발을 이루고자 하였다.

  • PDF

지하 파일 탐지를 위한 시추공 자력탐사 자료의 역산

  • 차영호;신창수;서정희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1999.04a
    • /
    • pp.80-8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토목분야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는 기초 파일의 깊이 탐지와 관련하여 시추공 자력탐사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추공 자력탐사 모형 반응 계산 및 역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모형 반응 계산은 시추공 자력탐사에 적합하고 삼성분 이상을 계산할 수 있도록 기존의 방법을 수정하였으며, 역산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자력탐사 자료 역산의 불안정성을 고려하여 광역적 최적화 기법의 하나임 ASA(Adaptive Simulated Annealing : Ingber, 1993)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모형 반응 및 역산 알고리즘을 간단한 모형 및 합성자료에 대해 적용한 결과 그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무작위 잡음을 첨가한 자료, 주변 파일의 영향 및 지표 구조물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복잡한 모형에 대해 기초 파일의 깊이를 탐지해 낼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실제 현장 적용시 고려해야할 현장지침에 대해서도 고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자료에 적용한 결과 실제 파일의 깊이를 역산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기초 파일의 깊이 탐지를 위한 시추공 자력탐사의 적용성 및 본 알고리즘의 현장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nstruc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Staircase Systems based on Construction Simulation CYCLONE Techniques (건설시뮬레이션 사이클론 기법을 활용한 시스템 철골계단 공법의 현장적용성 평가)

  • Lee, Jeong-Hun;Lee, Kyung-Suk;Kim, Hyun-Mi;Kim, Young-Suk;Han, Seung-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0 no.6
    • /
    • pp.19-26
    • /
    • 2010
  •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ies have been rarely applied to practical construction operations on jobsites due to a lack of quantified evaluation data of the performance of such technologies. The basic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feasible way for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new technologies based on construction simulation techniques, which have been frequently used in academic research for productivity estimation. Steel staircase systems were selected as the new technology to be investigated. The simulation was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one staircase to six staircases on a floor. The simulation results provid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planners are able to make a fundamental decision on the use of targeted new technology with the estimated performance data (productivity and unit costs). Thes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a simulation technique could be one of the methods appropriate for use as a planner's decision-making tool.

Products and Execution of Mass Concrete (목동 현대 하이페리온 현장 - 매스 콘크리트 시공사례(B동))

  • 윤재령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4
    • /
    • pp.82-85
    • /
    • 2002
  • 매스 콘크리트 타설전 배합 및 적용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현장의 여건에 알맞은 최적의 배합비를 도출하며 실내 배합 실험을 실시하고 배치 플랜트에 적용하여 실제 현장에 실용시킬 수 있다.(중략)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Optimum Mix Design and Site Application Case of Soil Mixing Wall for Trench Stability (구벽안정성을 위한 SMW 최적배합비 및 현장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 Kwon, Yeong-Ho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7 no.4
    • /
    • pp.419-42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e optimum mix design and site application case of soil mixing wall (SMW) method which is cost-effective technique for construction of walls for cutoff wall and excavation support as well as for ground improvement before constructing LNG storage tank typed under-ground. Considering native soil condition in site, main materials are selected ordinary portland cement, bentonite as a binder slurry and also it is applied $1,833kg/m^3$ as an unit volume weight of native soil, Variations for soil mixing wall are as followings ; (1) water-cement ratio 4cases (2) mixing velocity (rpm) 3levels (3) bleeding capacity and ratio, compressive strength in laboratory and site application test. As test results, bleeding capacity and ratio are decreased in case of decreasing water-cement ratio and increasing mixing velocity. Required compressive strength (1.5 MPa) considering safety factors in site is satisfied with the range of water-cement ratio 150% below, and test results of core strength are higher than those of specimen strength in the range of 8~23% by actual application of element members including outside and inside in site construction work. Therefore, optimum mix design of soil mixing wall is proposed in the range of unit cement $280kg/m^3$, unit bentonite $10kg/m^3$, water-cement ratio 150% and mixing velocity 90rpm and test results of site application case are satisfied with the required properties.

Construction site flood damage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and prototype application (굴착공사 현장 침수피해 예측 모델 개발 및 프로토타입 적용)

  • Eum, Tae Soo;Park, Jong Pyo;Song, Chang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4-244
    • /
    • 2022
  •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유역 및 하천관리 사업, 각종 풍수해 예방사업 분야에 다양한 스마트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나 건설현장 침수 피해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굴착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수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서는 공정별로 변화하는 현장상황을 반영하여 다양한 강우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침수 예측 모델링이 선행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동수역학 모형인 HDM-2D 모형을 기반으로 굴착공사 현장 침수피해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굴착공사현장 침수 예·경보 시스템에 탑재하고자 한다. 침수피해 예측 모델은 천수방정식을 Petrov-Galerkin stabilized scheme 으로 이산화하여 해석하는 수평 2차원 동수역학 흐름해석모델로서 수로 및 지표면 등 다양한 지형 상황에서의 물 흐름을 상세하게 해석할 수 있다. 지형자료 생성 이후 경계조건 부여를 통해 수행되며 침수발생지역의 유속, 수심, 수위를 취득할 수 있다. 배수지나 굴착공사 현장에 2차원 흐름해석을 적용하는 경우 지형의 경사나 배치가 공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불연속적인 흐름을 유발하여 모의결과의 계산 오차를 검토해야 한다. 2차원 침수피해 예측 모형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면 돌출부가 있는 흐름 문제와 테스트베드 대상지에 침수해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돌출부 흐름 문제의 경우 돌출부를 지나며 발생하는 유속과 수심 모의 결과를 상용모형과 비교검증 하였으며 테스트베드 대상지역에 침수피해예측모형을 적용했을때 지형 경사에 따른 흐름의 변화와 침수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Case Study of Applying Electronic Detonator in Limestone Quarry (석회석 광산에서 전자뇌관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Dave Kay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2 no.2
    • /
    • pp.1-11
    • /
    • 2004
  • 일반적으로 국내 석회석 광산에서의 발파는 20ms나 25ms 시차를 가지는 지발발파로 시행되어지고 있다. 국외에서는 전자뇌관을 사용하여 암반의 지질학적인 특성에 따라 지발 시차를 사용자의 현장에 따라 선정하여, 주변 보안 물건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경감하면서, 1회 발파의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으며, 2차 파쇄 비용 및 적재비용을 절감하는 최적의 시차를 적용하여 발파 규모를 줄이지 않는 발파패턴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뇌관을 국내 현장 석회석 광산(단양)에 적용함으로 최적지연시차를 찾아내는 방법과 초시의 오차에 따른 문제점과 향후 국내 적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대규모 석회석 광산을 대상으로 최적시차를 판단하고자 동일 패턴에서 시차를 6ms ~ 30ms로 시험발파를 시행하여 4가지 요소 발파진동속도, 주 주파수특성, 파쇄입도, 암석 이동 및 버력의 상태를 분석하여 각 시차에 따른 배점을 두어, 당 현장에 요구되는 개별 가중치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당 현장에서의 발파결과에 따른 요소별 가중치를 발파진동속도(20), 주 주파수 특성(20), 파쇄입도(40), 암석 이동(10) 및 버력의 상태(10)로 하여 분석한 결과 15ms가 최적시차로 나타냈다. 향후 각 현장에 적합한 요소별 가중치를 선정하여 현장별 최적시차를 도출한다면 최적의 발파효과를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SWP for Adult Learners

  • Cho, Woo-H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2
    • /
    • pp.193-19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teaching method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rough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subjects for reinforcing SWP, and to seek ways to strengthen field practic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method of applying learner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discussions by inviting practitioners in the field, and to watch the progress of projects by type of social welfare site. Second, as a way to participate in learne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excellent proposals, participate in events held at welfare sites, present various dilemma cases in the field, and try to overcome ethical dilemmas by sharing cases overcoming dilemma, and to make efforts to list practical skills requir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Third, it is necessary to apply such methods as phone calls, e-campus, Kakao Talk, Zoom, and counseling techniques that are conducted in the case management process as a way to apply interaction, and discuss issues that are important in the welfare field.

Method of RFID Network System Application for Improving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Site (건설생산성 향상을 위한 건설현장 내 RFID 네트워크 시스템 적용 방안)

  • Kim, Shin-Gu;Lee, Choong-Hee;Lee, Sung-Hyung;Kim, Jae-Hy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8B
    • /
    • pp.1224-1231
    • /
    • 2010
  • We study the RFID network system in a construction site, and study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RFID network system and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of construction material. Moreover, we developed a prototype of the construction site RFID server for the manag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performed the pilot application in a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pilot application, it was known that the proposed RFID network system can be more usefully applied in the construction sites. The results of the pilot application show that the RFID network system is faster, more accurate, and more reliable than the existing system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achieves improvement in construction pro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