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모의시험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수치모의를 이용한 정압주입시험의 고찰

  • 박경우;배대석;김천수;김경수;이강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317-320
    • /
    • 2004
  • 정압주입시험(Constant Head Injection Test, CHIT)은 결정질 암반의 구간별 수리전도도 및 투수계수를 구하는 전통적인 수리시험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Visual Modflow 수치코드를 사용하여 정압주입시험에 대한 부정류 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주입공에서 매질로 시간별 주입되는 유량은 30분이 경과한 후부터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현장에서 정압주입시험을 할 때 적어도 30분 이상의 시첩을 실시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구간에 따른 수리전도도 값은 시험구간의 크기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한 값을 보이고 있어, 시험구간의 크기는 정압주입시험에서 크게 유의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시험구간별 주입 압력에 따른 수리전도도 값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시험 구간의 크기와 주입 압력 값이 클수록 산출되는 수리전도도 값이 매질의 수리전도도 값과 차이가 나는데, 현장조사에서 시험구간과 주입 압력 값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함을 지시한다. 매질의 수직적 이방성에 따른 모의결과 $K_{zz}$ / $K_{xx}$ and $K_{yy}$ 값이 작아질수록 수리전도도 값이 작아지는데, 현장조사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매질의 수직적 이방성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PDF

Application and Simulation for Performance Test of Turbine Control System in Power Plant (발전소 터빈제어시스템의 성능시험을 위한 모의시험 및 현장 시운전 적용)

  • Woo, Joo-Hee;Kim, Jong-Ahn;Jeong, Chang-Ki;Kim, Byung-Chul;Choi, In-K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607-1608
    • /
    • 2007
  • 국내 발전소의 아날로그 전기식 터빈제어시스템을 디지털 삼중화 제어시스템으로 개조하여 현재 성공적으로 운전되고 있다. 현장 적용하기 이전에 자체 개발한 시작품의 성능을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하고, 본 현장 적용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 중 발전소 동특성을 모사한 터빈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모의시험 한 방법을 설명하고, 실제 현장 적용 후 시운전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3D Picture Control to the Simulator to Visualize the Field Demonstration Data (실증 Data 시각화를 위한 풍력시스템 Simulator 3D 시각화 작업 구현)

  • Choi, Hyojin;Kim, Young Chan;Chun, Chinw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87-187
    • /
    • 2010
  •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전력변환 시스템을 연구개발하기 위해서는 바람의 특성을 실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모의시험장치인 시뮬레이터가 요구된다. 모의시험장치는 바람을 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 대신 풍속 값을 입력하여 전동기가 발전기에 토오크(torque)를 공급하게 된다. POSTECH 풍력에너지연구소는 2003년 750kW급 KBP-750D 풍력발전기용 모의시험장치에 이어, 2007년 2MW Gearless형 풍력발전기(KBP-2000M)의 400:1 축소모델인 5.83kW 모의시험 장치를 제작 완료하였다. (주)플라스포사는 모의시험장치를 이용하여 고효율의 전력변환장치 설계와 인버터 시스템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주)유니슨은 2MW 풍력발전기용 통합연동제어 시스템을 제작 완료하여 2009년부터 대관령 실증단지에 초도품을 설치하고 실증운영 중에 있다. 본 논문은 대관령 실증단지에서 실시한 2MW 풍력시스템 실증과정에서 획득한 풍향과 풍속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쉽게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3D모델 처리방안을 적용하여 모의시험 장치에 구현한 내용이다. 풍력발전기 개발은 현재 대형화 추세에 있으며 연구개발 단계에서 풍력발전기의 발전 및 제어부분의 기능적 안정성 확보와 효율성 증대를 위한 적절한 시험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풍력발전기의 특성상 타워를 건설하고 회전자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시험한다는 것은 설치 공간과 비용의 제약이 따른다. KBP-2000M (2MW) 모의시험장치는 풍력발전기와 같은 대형장비를 연구 개발하는데 필수적이며, 실증을 통해 획득한 Data를 적용함으로서 재품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성능향상을 도모하는데 필요하다. 실증 Data를 시각적으로 3D로 표현함으로서 현장의 풍속/풍향 변화를 사실감 있게 느끼게 되었다. 앞으로도 풍력발전기를 연구개발하거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적절한 제어와 안전을 위한 연동장치를 갖춘 스케일 다운된 모의시험장치 구축이 요구될 것이다. 풍력발전기의 실증과정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모의시험장치에 적용(Feedback)하여 지속적인 성능향상을 높여나갈 것이다.

  • PDF

가스계소화설비의 약제 방출량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방출시험 (II)

  • Park, Sin-Yeong;Kim, Wi-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71-72
    • /
    • 2013
  •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방관계법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에 의해 설계를 수행한다. 하지만, 현장에 설치되는 가스계 소화설비는 공급배관의 규모 및 형상에 차이가 있어 인증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보장 할 수가 없다. 따라서 모의시험을 통해 선택밸브 위치에 따른 차이점을 검증하여 모의시험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직접 방출시험의 소개와 가스계 소화설비의 판정방법 개선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Verifying Simulation Strategies for TN-S Grounding Method (TN-S 접지방식의 실증시험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

  • Lee, Han-Sang;Han, Woon-Ki;Kim, Han-Sang;Jang, Gil-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106-2107
    • /
    • 2008
  • 이 논문은 국내 저압접지방식의 현장적용화를 위한 실증시험장 구축과 실증시험의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에 관한 논문이다. 외함접지방식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저압접지방식은 IEC에서 제안하고 있는 접지방식에 비하여 낙후되어 있고, 이에 대한 증거로서 선진국에 비하여 십수배에 달하는 감전사고 발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국내 실정을 극복하고자, IEC저압접지방식에 대한 실증시험장 구축을 목적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일환으로 실증시험 검증용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TN-S 방식의 접지방식으로 구성된 배전계통을 PSCAD/EMTDC를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도체-외함-접지의 동시지락을 모의함으로서 외함도체의 전위상승과 감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모의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Leakage Evaluation for Power Plant Valve Using Infrared Thermography Method (적외선열화상에 의한 발전용 밸브 누설명가 연구)

  • Lee, Sang-G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0 no.2
    • /
    • pp.110-11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feasibility using thermal image measurement that is applicable to internal leak diagnosis for the power plant valve. Abnormal heating of valve surface associated with high temperature steam f10w toward valve outlet side in the condition of low temperature is a primary indicator of leakage problems in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valves. Thermal imaging enables to see the invisible thermal radiation that may portend impending damage before their condition becomes critical. When steam flow in valve outlet side in the condition of low temperature is converted into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valve body due to the internal leakage in valve. The existence of abnormally increasable leakage rate in the valve will result in abnormally high levels of heat to be generated that can be quickly identified with a thermal image avoiding energy loss or damage of valve component.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thermal image measurement could be an effective way to precisely diagnose and evaluate internal leak situation of valve.

Multi-stress accelerated aging test method for distribution polymer surge arresters (배전용 폴리머피뢰기의 복합 가속열화 시험방법 개발)

  • Kim, Ju-Yong;Song, Il-Keun;Park, Chul-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1-142
    • /
    • 2008
  • 국내 배전선로에서는 1999년부터 폴리머피뢰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이들의 열화특성에 관한 데이터와 적합한 평가방법이 부족하여 장기적인 운영계획 수립이 어려운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폴리머피뢰기의 현장 열화인자를 인가할 수 있는 복합가속열화 시험장치를 제작하고 국내 환경조건을 모의할 수 있는 시험주기를 개발하여 폴리머피뢰기 완제품에 대한 장기신뢰성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가속열화시험 및 현장설치에 의한 전기적, 화학적 특성변화를 분석하여 폴리머피뢰기의 열화정도를 평가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기법의 실효성을 검증하고 국산 폴리머피뢰기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특성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 PDF

Simulation of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VFS in Saemangeum Watershed (새만금유역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모의)

  • Lee, Seul-Gi;Iang, Jeong-Ryeol;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2-272
    • /
    • 2015
  • 본 연구는 초생대 필지단위 모의프로그램인 VFSMOD-W(Vegetative Filter Strip MODel-W) 모형을 이용하여 새만금 유역의 밭경지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초생대기법을 적용 하였을 경우의 유사저감효과에 대해 모의해 보았다. '새만금유역 농업비점오염 저감기법 개발'과제의 일환으로 초생대 현장실험을 위해 조성된 익산 밭경지 시험포의 실측치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이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유출량의 경우 NSE=0.833와 $R^2=0.99$를, 유사량의 경우 NSE=0.794와 $R^2=0.99$로 각각 매우 높게 나타났다. 모의를 위한 시나리오는 새만금유역의 밭경지 특성을 고려하여 1ha, 5ha, 10ha의 밭규모에, 밭경사는 7%와 15%으로, 토성은 양토인 정방형 형태의 밭경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생대 초종은 Grass mixture로 적용하였고, 규모는 밭경지 면적의 10%로 고정하여, 50mm, 100mm, 150mm, 200mm의 일강우량에 대해 초생대 유출 및 유사에 대한 모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새만금유역에 초생대 적용 시 유출저감효과는 밭경사 7%와 15%일 때 1.5~13.5%와 1.4~12.1%의 범위로 각각 나타났으며, 경사에 따른 차이는 미비하였으나 강우량과 밭경지 규모에 따른 유출저감효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유사의 경우에는 밭경사 7%와 15%일 때 20.4~97.0%와 15.7~86.0%의 저감효과를 각각 보였으며, 유출에 비해 초생대 적용에 따른 유사저감효과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강우량의 차이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는 50mm일 때 58.4~97.0%, 200mm일 때 15.7~32.9%를 나타내어 강우인자의 영향이 밭규모와 경사 등의 밭경지 특성에 비해 유사 발생량 및 저감효과에 가장 크게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모의 결과를 통해 새만금유역의 초생대기법 적용은 새만금호의 수질오염저감 및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현장 실용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현장인자들에 적합한 세부적인 설계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 PDF

Evaluation of Selected Sediment Transport Formulas Giving an Equilibrium Sediment Discharge (평형유사량을 주는 유사이동 공식의 평가)

  • Lee Sung-ho
    • KCID journal
    • /
    • v.1 no.2
    • /
    • pp.48-59
    • /
    • 1994
  • 여러가지의 유사이동 공식들은 각 저자들의 실험실이나 현장실측치를 바탕으로 발표되었다. 그리고 저자에 따라서 본인들의 공식의 적용한계를 명백히 명시한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많다. 동일한 수리학적 조건에서 이 공식들이 현장에서 적용될 때 이 공식에 의한 유사량은 공식에 따라서 유사한 것도 있고 차이가 많이 나는 것도 있다. 특히 St. Venant식(물의 연속 방정식과 물의 운동량 방정식)과 유사 연속방정식을 연립하여 컴퓨터 모의시험에 이용할 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