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대응

Search Result 1,09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Disaster situation and damage status DB design and mobile disaster site information collection app development (재난상황·피해현황 DB설계 및 모바일 재난현장 정보수집 앱 개발)

  • Jang, Cho Rok;Cho, Jung Yun;Song, Ju Il;Jang, Moon Yu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7-237
    • /
    • 2021
  • 2020년의 경우 6월부터 8월 중순까지 54일 동안 전국에 걸쳐 대규모 폭우가 집중적으로 내리면서 산사태·침수·저수지 붕괴 등이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 특히 집중호우와 같은 풍수해의 경우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유형으로서 안전점검과 같은 대비를 위한 활동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난으로 인한 반복적인 피해로 인해 국가의 재난대응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재난대응을 위하여 재난유형별로 위기관리 매뉴얼을 구축하였으며, 13개 협업기능을 통해 효율적인 재난대응을 실시하고자 정부 및 각 지자체, 유관기관 등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복합적이고 큰 규모의 재난이 발생하면 현장과 상황실 간에 정보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재난이 발생하면 지자체에서 재난대응 및 상황관리를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재난현장에 파견한 현장담당자의 경우 잦은 보직이동으로 재난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와 전달해야하는 필수정보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해 재난현장에서 수집해야할 정보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등 재난대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또한 현장대응 담당자들이 초기 대응에 집중 할 수 있는 정보전달 체계가 존재하지 않아 상황실에서 재난현장으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현장대응 지원체계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과 상황실 간 원활한 소통뿐 만 아니라 재난현장담당자들이 재난현장 및 피해현황 정보 등을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재난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수집되어야하는 정보 DB(Database)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기반 재난현장 정보수집 앱을 개발하여 현장대응 지원체계의 기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oles of Local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지역 재난현장 대응조직의 역할에 관한 연구)

  • Kwon, Gun-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5
    • /
    • pp.39-4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disaster fields to cope with large-scaled disasters including Emergency Management Agency, Emergency Response Unit, Emergency Support Center, and Field Command Center (Field Command Offi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roblems of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local disaster fields are; 1) the scopes of roles among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disaster fields are ambiguous, 2) the structures of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disasters are different each other, 3) the integrated management functions among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disasters are overlapped, and 4) the one who assumes the integrated command is not defin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first, the range of working of each organization for responses in local disaster fields should be definitely established and an agreement in services among the organizations should be settled in advance. Second, similar designs in the structure among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disasters are necessary for amicable communication. Third, the works for integration and management for each organization for responses should be apportioned. Fourth, the organization in charge and the one who assumes the integrated command for each type of disasters should be appointed in advance for rapid decision-making.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Reinforcing the Reponse Capacity at a Site of Forest Fire (산불현장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실태조사 연구)

  • Eom, Tae-Su;Koo, Won-Hoi;Bae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7-1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불현장 대응인력 역량강화와 관련하여 국내 산불현장 대응인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뷰와 현장조사 등을 통해 국내산불 대응사례를 조사하고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를 토대로 산불 대응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Considerations of Natural Disaster Command System for Public Officers through Analysis of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at On-Scene (풍수해 현장대응업무 분석을 통한 재난현장 일반직 공무원 대응편제 개발시 고려사항 연구)

  • We, Kum Sook;Jeong, An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47-53
    • /
    • 2013
  • Standard Incident Command System in Korea is that Incident Comm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Operation, which is commanded only by Fire Fighting Agencies. Howev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the flood, storm, or landslide disaster, there are many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General Public Officers at the disaster on-scene. Yet, there isn't an Natural Disaster Command System for the General Public Officers in Korea. Thus, we have studied the response activities needed cooperation among agencies and proposed some considerations of the Natural Disaster Command System for General Public Officers. The system will be useful to response and recover disaster rapidly, seamlessly, and cooperatively among General Public Officers and the related agencies.

On the study of Chemical Disaster Cause Chemical Detection Process (화학재난 현장에서의 사건원인 화학물질 탐지절차 연구)

  • Kim, Sungbum;Ahn, Seungyoung;Lee, Jin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3
    • /
    • pp.452-457
    • /
    • 2014
  • The event of a Chemical disaster response personnel are causative events quickly Appearance & residual contaminant concentrations, should be identified accurately. In addition, the chemical disaster response procedure appropriate progress in the field of Chemical Composition and contaminant concentrations in order confirmation is essential. Use in the field to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quipment. on-Site response equipment can not verify all the chemicals, materials detection, limited by each equipment. Detection range of equipment & specific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complementary. In this study, using the equipment on-site detection of detection kit and detector tube, electronic detection equipment utilized for the rapid response procedure for helping a person to cope.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Construction site - Korea Gas Corporation Tongyeong Headquarters field demonstration (건설 현장 침수 예경보 기술 개발 - 가스공사 통영 기지본부 현장 실증 중심 )

  • Taekmun Jeong;Yeoeun Lee;Dongyeop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5-255
    • /
    • 2023
  • 우리나라의 경우 집중호우와 돌발홍수로 인한 침수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유역 및 하천관리 사업, 각종 풍수해 예방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스마트기술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노량진 상수도관 공사 현장 사고, 2019년 신월 빗물저류 배수시설 현장 사고 등과 같은 건설현장 침수 피해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의 다양한 조건 및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구조적 대책 및 대응방안을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지금까지는 법, 제도에 기초한 대응 매뉴얼을 제작·배포하여 현장 근로자 교육을 실시하는 수준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자연재해, 특히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과학적인 방법을 통한 현장 침수 예경보 체계를 수립하였으며, 강우예측-침수예측-침수예경보 생산-현장 상황전파에 이르는 일련의 시스템을 개발하여 공사별, 규모별, 공정별 침수 대응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건설현장 침수예경보 시스템 개발의 주요 내용은 요소기술 개발이며,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강우 예측정보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를 고려하는 실시간 강우측정 자료와 연계한 초단기 강우예측 기술 개발, ② 침수 예측모델 개발: 현장의 시공간적 특성, 수재해 피해의 유형 등을 반영할 수 있는 침수피해 예측 모델 개발, ③ 침수예경보 의사결정 방법론 개발: 침수 피해 예경보를 위한 침수 위험단계 세분화 및 노모그래프 개발과 모델 적용(예측정확도 85% 이상), 이를 통합하여 건설현장 침수예경보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연구에서 개발된 침수 예경보 통합 시스템은 향후 수재해로 인한 건설현장의 인명, 재산 피해 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비상상황 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훈련개선

  • Mun, Jae-Ho;Ha, Yun-Ju;Kim, B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345-347
    • /
    • 2015
  • 사고발생시 해상교통관제센터의 신속한 상황전파 및 적극적인 현장지원 등을 통해 대응능력 배양이 필요하고 다양한 관제상황 모의훈련을 통해 현장대응 문제점 도출 및 개선, VTS와 상황실 함정 등 현장세력 간 공제체계 강화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response manual of chemical terror incident using the service design analysis (서비스디자인 접근법을 활용한 화학테러현장 대응매뉴얼의 개선방안 연구)

  • Ham, Seung Hee;Park, Namkwun;Lee, J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3
    • /
    • pp.325-333
    • /
    • 2018
  • Purpose: There have been terrorist attacks all over the world, causing massive damage. In Korea, there are few cases of terrorist damage, but the lack of the on-site response experience lead to constraints on the opportunity to verify capabilities against terroris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emical terrorism on-site countermeasures is considered as a concept of service, it was possible to draw up improvement alternatives for each element by reviewing at once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oncerned organizations and citizens in the field and the utilization of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in the invisible area. Results: It had been evaluated the service process of the counterpart manager from the viewpoint of the victim citizen, who is the beneficiary of the final security service. It has found out the waiting point(W.P) between the victim's civilian incident management, and the element of failure(F.P). Conclusion: In this way, comparing chemical terror incident response manuals belonged to each related organization by fusion of service design approach and scenario techniqu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find out more specific problems and to find improvement alternatives.

Development of the field survey technique on the slope hazards mitiga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의 조사기법 개발 및 적용)

  • Song, Yeong-Seok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90-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연사면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급경사지 대응공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을 합리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자연사면에 설치된 급경사지 대응공법의 특징을 기록할 수 있는 현장조사 양식을 개발하였다. 자연사면에서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은 사면부 적용공법과 계곡부 적용공법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개발된 조사양식도 사면부과 계곡부로 구분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무주 및 장수지역에 설치된 50개소의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에 대한 현장조사결과 사면부의 경우 비탈다듬기와 표면보호를 위한 선떼붙이기, 비탈덮기 등이 주로 보강되어 있다. 계곡부의 경우 대부분 콘크리트 사방댐과 기슭막이가 시공되어 있으며, 슬랫댐과 콘크리트 사방댐 및 기슭막이가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of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Industry (재난안전 현장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Ku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79-18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훈련은 실제 재난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형식적인 훈련으로 재난유형 및 발생상황에 부적합한 훈련장소 및 시간에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사전 공개된 훈련시나리오에 따른 연출된 보여 주기식 훈련으로 실제 재난상황이 발생할 때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지휘권자가 훈련에 불참하는 조직문화가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훈련이 범국가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안전한국훈련'을 에너지부분에서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