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상학적 공간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Measurements of Photochemical Oxidants in urban area of Seoul (서울시 대기 중 광화학적으로 생성된 산화성 기체의 측정에 관한 연구)

  • 이강웅;이재훈;홍상범;김경렬;장성기;한진석;박철진;정일웅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02-303
    • /
    • 2000
  • 광화학적 오염이 공간적으로는 전지구적 규모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각국에서 공통적으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중요한 대기환경의 현안으로 현재 대두되고 있다. 광화학적인 오염을 유발하는 물질의 대다수가 인체에 유해하며 식물을 비롯한 우리의 환경에 광역적이고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다른 대기 오염의 현상보다 더욱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다. (중략)

  • PDF

조형공간의 다원성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 Choi, Seong-Ryeol
    • Journal of Science of Art and Design
    • /
    • v.12
    • /
    • pp.145-191
    • /
    • 2007
  • 21세기는 과학적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과거에는 느껴보지 못했던 물질문명의 풍요를 이끌어 냈으며, 컴퓨터, 메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 문명의 관심은 지구계를 벗어나 우주론적으로 확장되어 마침내 우주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인간의 이성과 함께 영원하리라 믿었던 과학적 합리성은 20세기 초두에 제국주의적 전쟁을 일으키게 되었으며, 그로 말미암아 이성 파괴 현상이 드러나게 되었다. 급기야 20세기말에 이르러 다원주의라 칭하기도 하는 후기산업사회의 병적 증후군들, 국가간의 경제전쟁, 컴퓨터 및 각종 정보매체를 통한 신속한 정보교환의 이면에는 인간의 자기정체성의 혼돈을 아울러 초래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생태계 및 환경은 오염되고 파괴되었다. 20세기말에는 산성비, 엘니뇨, 라니냐 현상으로 인하며, 환경의 재앙을 초래하면서 이제 인간은 문명에 대하여 여태껏 가져왔던 확고한 믿음에 회의를 갖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인간의 주체적 인식과 과학적 믿음의 지나친 숭배로 인하며 자연도 인간에 의하여 지배되고 인간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인간과 자연의 이원론적인 생각 즉, 인간의 이성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한 "근대적 주체"에 대한 맹신의 결과인 것이다. 이렇듯 20세기의 문제점은 21세기로 전가되어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며, 세계내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전쟁, 기아 등 보다 이제는 오히려 환경. 생태문제로 귀결되어 지구의 생존권 자체가 위협을 받게 되었다. 미술도 서구문명의 근대주의적 영향에 의해서 모더니즘 등 이성위주의 미술인 "근대 주체적 미술"로 발전하였지만 포스터모더니즘에서 보여 지듯 이미 인간의 순수한 이성을 근간으로 한 미술에 있어서의 주체성 주장은 상당부분 무너졌으며, 이제는 장르의 해체와 다원화 현상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환경파괴에 직면하여 이제 주체는 자연이라는 타자를 새롭게 등장시킨다. 그리하여 생명중심주의, 전체론, 감각 중심주의 등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생하는 자연을 향한 생태적인 미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논문은 무비판적 서구미술에 동요되지 않고, 지극히 자연적이고 동양적이기도 한 끊임없이 생명력을 창출해 내는 자연에 관심을 같게 되었으며, 환경의 중요성과 함께 생태학적 미술, 즉 생태미술에 본인의 작업을 관계시키고자 한다. 근대적 문명사에 의해 매장된 생태적 유기성의 흔적을 고고학적 탐사방법을 통하며 발굴해 내며, 환경윤리와 생태학, 심층 생태학, 북친의 '사회 생태학'을 수용하여 물질성의 생태적 복원과 함께 조형공간의 다원성에 대한 생태 미술의 일단을 규명코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henomenological Light in the Religious Space (종교공간에 있어서 현상학적인 빛의 연출에 관한 연구)

  • Kim, Mi-Rye;Kim, Moon-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2006.11a
    • /
    • pp.135-140
    • /
    • 2006
  • From the ancient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light has been an important theme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Especially in the religious space, the light was manipulated to express the worship for a god more than a physical element of the nature. It implied that human's space perception through the light was considered prior to the space itself. The perceptual experience in space was primarily elicited by the light with other factors, such as water, texture, and sound which temporarily renewed and updated the information of space. In this study, we crit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light which enhanced human's perceptual experience in the religious space in the view of Merleau Ponty's phenomenological philosophy. We suggested that the light was one of the mos4 effective factors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us space with respect to the Phenomenological Light which contributed to the continuity of time, expansion and direction of space, immaterialzation, and perceptual illusion.

  • PDF

A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Light Element in Contemporary House Interior Spaces (현대 주거 실내공간에 있어 현상학적 빛에 관한 연구)

  • Kim, Jae-Sun;Kim, Moon-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2005.10a
    • /
    • pp.151-154
    • /
    • 2005
  • These days we are more interested in the space of architecture that how the change is likely to affect and how to be realized human. Human beings are recognizable the space and the creation of the space is eventually effected through human beings being perceptible the space of architecture and the equivalence of the space. That is the light, one of phenomenological elements, has been the first visual experience at birth. This study will concentrate on the importance of the phenomenological light especially indoors and study how architectural elements influence human beings with the light as one of the basic design factors for human life. That is exactly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and this paper can make our lives worth living significant with the actively various uses inside space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light as a natural light in our human beings.

  • PDF

A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Space Characteristic that Appears on Gangneung Seongyojang - Focusing on Phenomenological Space Theory by Maurice Merleau-Ponty - (강릉 선교장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공간이론 중심으로 -)

  • You, Sun-Mi;Kim, Young-Won;Suh, Swoo-Ky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2 no.5
    • /
    • pp.135-142
    • /
    • 2013
  • This research regards that experiencing certain space according to looking through sensations of body will finally make visual perceptional experience to happen. Our bodies incorporate sensible experience along with interactions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making movements. The analysis of Seongyojang in Gangleung through top and bottom, depth, movement and experience space which are Merleau Ponty's phenomenological space elements ha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up and down directivity inherent in Seongyojang has different directions in movements by the axis of plane. Second, the depth by the correlation between things and bodies shows the interactions with things and the depth of space rendered by the servants' quarters of '一字形' and the overlapping effect from the movement between buildings can be seen and felt. Third, mobility is focused on the surroundings for the movements of body and thing. Fourth, the experienced space remains as what it is and is experienc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cultures. The temporality where the past and the present subsist is given with the application of the modern living pattern in the traditional space. That is, the space from the point of phenomenological view makes the visual-perceptual experience possible through the senses of body, with which the space is experienced and sensed. In other words, the space from the phenomenological viewpoint makes visual-perceptual experience possible through the senses of body so that the space may be experienced and perceived. Through this study, a new viewpoint toward Korean traditional space is expected to be discovered.

A Study on the Realization Method of Locality about Jeju Contemporary Architecture (제주 현대건축의 지역성 구현 방식에 관한 연구)

  • Kim, Hyoung-J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3
    • /
    • pp.46-51
    • /
    • 2018
  • This study is one of a series of studies exploring the locality of Jeju architecture, in which we focused on the works of domestic architects, rather than those of famous foreign architects, as well as on the locality of the phenomenological aspect rather than the conceptual one, so as to reveal the locality in the present situ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architects had the following viewpoints with regard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Jeju: first, the hermeneutic aspect of the locality is the architectural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Jeju architecture; second, the phenomenal aspect of the locality involves respect for the landscape and natural scenery of Jeju. There are two main ways in which architects can realize the locality that they envisage. The hermeneutic representation of Jeju would be as a locality consisting of traditional houses. The architects mainly wanted to implement the elements of the private houses through the space layout. The phenomenal representation of the locality would require them to respect the landscape and scenery of Jeju and to implement them in its architecture. This was the case if the landscape or landscape elements were directly borrowed from the buildings, or if the buildings respect the scenery or landscape of Jeju.

Numerical Analysis of Natural Convection in Inclined Flat Plate Enclosures (경사진 평판형 밀폐 공간에서의 자연 대류 현상의 수치 해석)

  • Kim, Yong Hyun;Koh, Hak Kyun;Noh, Sang Ha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0 no.1
    • /
    • pp.24-38
    • /
    • 1985
  • 경사진 밀폐 공간에서 마주 보는 두 벽면의 온도 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연 대류 현상은 여러 공학 분야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열전달 현상으로서, 최근 들어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를 설계하려는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의 경우 덮개판으로 부터의 대류 열손실을 감소시킴으로서 집열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목적에 따라 소형 집열기를 제작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될 것이다. 밀폐된 공간에서 최초에 정지 상태에 있는 얇은 유체층을 하부에서 가열시켜 주면 열팽창 현상이 일어나고, 이것에 의한 부력이 점도나 열전도도 등의 안정화 요인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커지면 System이 불안정하게 되어 자연 대류 현상이 수반되며 이 때문에 열전달율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지배 방정식은 연립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으로 특수한 경계 조건외에는 일반적으로 해석적 해를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험적 연구가 많이 실시되어 왔고 이들 결과의 대부분은 전반적인 열전달 특성치만을 구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 해석법의 하나인 유한 차분법을 도입하여 이차원으로 가정한 경사진 평판형 밀폐 공간에서의 자연 대류 현상의 지배 방정식을 유한 차분화시켜, $$2.74{\times}10^3\leq_-Gr\leq_-2.0{\times}10^6$$, Pr=0.73, $$15^{\circ}\leq_-a\leq_-150^{\circ}$$, 종횡비는 1, 2, 3, 5, 9에 대하여 정상 상태에서의 해를 구하면서 수치적으로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석적으로 구하기 어려운 경사진 밀폐 공간에서 자연대류현상의 지배 방정식을 유한 차분법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대류항과 확산항을 따로 고려한 유한차분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2) 저온과 고온 벽면에서의 온도를 각각 균일하게 놓고 단변으로 이루어진 벽면은 완전히 절연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수치해를 구한결과, 이전의 해석적 및 실험적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온도 및 유선의 변화를 현상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3) 평균 열전달 계수에 미치는 경사각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종횡비가 1 인 경우 경사각이 $45^{\circ}$에서, 종횡비가 2, 3, 5, 9인 경우 경사각이 $60^{\circ}$에서 각각 평균 열전달 계수 최대치가 나타났다. (4) Ra수(Rayleigh number) 가 증가될수록, 경사각에 상관없이 평균 열전달 계수도 증가되었다. 한편 Ra수 및 경사각의 변화에 따라 종횡비가 증가될수록 평균 열전달 계수는 경사각이 $90^{\circ}$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감소됨을 볼 수 있었다. 경사각이 $90^{\circ}$인 경우, 평균 열전달 계수는 종횡비가 2 인 곳에서 최대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종횡비가 계속 증가될수록 평균 열전달 계수는 점차 감소되어짐을 볼 수 있었다.

  • PDF

암반공학 분야에서 수치해석의 적용성에 관하여

  • 이희근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0 no.3
    • /
    • pp.257-270
    • /
    • 2000
  • 사물의 거동, 현상에 대한 해석을 실시함에 있어 해석적 해법에 대비한 수치적 해법의 장점은 재질의 성질이 불균질하고 이방성이며 구조물의 형태가 기하학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경계조건이 복잡하여 수학적인 표현이 어려울 때 그 해석을 가능케 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수치 해석법의 대표적인 것으로 유한요소법과 경계 요소법을 들 수 있다.(중략)

  • PDF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on the Environmental-Ecological Factors of Human Longevity (장수의 환경생태학적 요인에 관한 지리가중회귀분석)

  • Choi, Don Jeong;Suh, Yong 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3
    • /
    • pp.57-63
    • /
    • 2012
  • The ordinary least square (OLS) regression model is assu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be identical. Therefore, the OLS regression analysis can't explain sufficientl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ngevity phenomenon and related variables.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model can be representing the spatial relationship of adjacent area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function. It also characterized which can locally explain the spatial variation of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b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was performed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OLS and GWR model for ecological factors of longevity existing studies. In the results, GWR model has higher corresponded to model than OLS model and can be accounting for spatial variability about effect of specific environmental variables.

An Evaluation on Suitability of Drought Indices with ROC Space (ROC Space를 통한 가뭄지수의 적합성 평가)

  • Kim, Gwang-Seob;Lee, Ju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23-123
    • /
    • 2011
  • 가뭄은 다른 기상재해들과 달리 특정한 기후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사건이 아닌 장기간의 강우 부족으로 인한 물 부족으로부터 기인하며, 가뭄의 특성상 가뭄의 시작과 끝을 명확히 구분하기 힘들며, 심도를 결정짓는 것 또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가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며,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SWSI(Surface Water Supply Index), EDI(Effective Drought Index), CMI(Crop Moisture Index)등과 같은 가뭄의 특성을 잘 반영한 가뭄지수의 개발 또한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뭄지수들은 기상학적, 기후학적, 농업적, 수문학적등과 같은 분류에 의해 가뭄의 표현이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며, 동일한 방법으로 산정된 가뭄평가지수라 하더라도 지역적인 적합성 정도에서 또한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실제 가뭄의 발생사례를 바탕으로 각종 가뭄지수들의 적합도와 가뭄의 변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가뭄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보고서 등 각종 문헌과 신문기사를 통해 1973년부터 2009년까지 실제 가뭄발생 기록을 정량화하고 행정구역단위의 우리나라 전역에 공간분포로 표현하였다. 69개 기상관측소의 강수 및 기온 자료를 통해 기상청과(SPI, PDSI, PN, 강수량십분위) 동일한 방법으로 가뭄지수를 산정 후 마찬가지로 행정구역단위의 우리나라 전역에 확장하였으며, 이렇게 생성된 각종 가뭄지수 및 기후변수의 공간분포와 실제 가뭄발생사례의 공간분포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각 가뭄지수 및 기후변수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각 가뭄지수 및 기후변수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ROC space 상의 검정통계량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PN(Percent of Normal)이 실제 가뭄의 현상을 가장 잘 표현했으며, 강수량, SPI 3, 강수량 십분위 등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SPI12, PDSI, PN, 강수량십분위 등이 행정구역에 따른 산포정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전 지역 가뭄의 시 공간적인 가뭄변동특성을 파악하고,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가뭄지수의 적합도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가뭄특성을 가장 잘 반영한 가뭄지수의 선정과 각종 기후특성을 잘 반영하는 좀 더 향상된 가뭄지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가뭄의 시 공간적인 예측에 대해 적합한 가뭄지수 선택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