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미

검색결과 3,949건 처리시간 0.044초

숯 포장재가 백미, 현미, 흑미 저장 중 물리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rcoal Packaging Material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ite, Brown and Black Rice During Storage)

  • 정남용;최성숙;최순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53-560
    • /
    • 2004
  • 백미, 현미, 흑미를 각각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에 일정기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여 곡류저장에 대한 숯포장재의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장 중 무게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쌀의 종류 및 포장재간의 차이에 상관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에 따라 $100.0\%$에서 백미군은 각각 $97.0,\;97.0\%$, 현미군은 각각 $97.5,\;97.6\%$, 흑미군은 각각 $97.6,\;97.8\%$로 나타났고 포장재간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저장 쌀의 발아율을 측정한 결과 백미군의 경우 모두 $0.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고, 저장 4주 후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에 따라 현미군에서 각각 $71.0,\;70.0\%$, 흑미군에서는 각각 $70.0,\;70.5\%$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저장 10주 후에는 현미군에서 각각 $10.3,\;10.9\%$, 흑미군에서는 각각 $11.8,\;12.1\%$이었고 저장 16주 후에는 모든 군에서 $0.0\%$이었고 포장재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수화양상 실험결과 실험 초기에 백미는 4시간, 현미는 8시간, 흑미는 12시간 이후에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여 백미는 $26.4\%$, 현미는 $25.9\%$, 흑미는 $37.8\%$의 수분증가량을 보였다. 실험군 모두 저장기간이 길수록 수화정도는 증가하였으며 포장재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저장기간에 따른 경도는 실험 초기 백미 5.430, 현미 7.448, 흑미 7.822 kg이었으나 저장 16주 후에는 흑미 숯포장재군이 가장 적게 변하여 실험초기와 실험 후 경도의 차이는 1.790 kg, 백미 일반포장재군은 가장 많이 변하여 2.702 kg으로 각군마다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또한 포장재간에 따른 경도는 16주 경과 시료의 경우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군에 따라 백미에서는 각각 8.132, 8.114, 현미에서는 9.696, 9.347, 흑미는 10.026, 9.612 kg로 일반포장재군 시료보다 숯포장재군 시료의 경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4. 지방산도는 모든군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01), 일반포장재군보다 숯포장재군의 지방산도가 유의적(백미, 현미군 p<0.001, 흑미군 p<0.01)으로 낮았으나 숯포장재군 시료의 경우에서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방산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원료 상태 시료의 총균수는 g당 $10^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큰 변화가 없다가 16주 후에는 현미 숯포장재군을 제외하고는 총균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포장재군와 숯포장재군의 시료에서 총균수가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숯포장재가 물리화학적 성질에 있어 일반 종이포장재보다 우수한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숯포장재 제조 시 숯의 기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 및 제조 방법 등을 개선함으로써 숯의 기능성과 친환경적 특성을 최대한 살린 포장재의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지질을 이용한 쌀과 현미의 생산연도 판별 분석 (Discrimination Analysis of Production Year of Rice and Brown Rice based on Phospholipids)

  • 홍지화;안종성;김용경;최경후;이민휘;박영준;김현태;이재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05-112
    • /
    • 2017
  • 본 연구는 쌀과 현미의 연산 또는 신 구곡 판별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쌀의 저장기간 동안 변화되는 지방의 일종인 인지질 성분을 지표물질로 이용하여 쌀과 현미의 신 구곡 판별식을 작성하였고 미지의 시료를 이용하여 판별식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벼의 저장 온도와 시기에 따른 인지질 지표의 판별정확도를 분석함으로써 인지질 지표의 실용적인 활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지질 지표를 이용하여 쌀에 대한 판별식을 작성한 결과 쌀의 연산별 분류적중률은 90%, 신 구곡의 분류적중률은 97%로 나타나 연산 판별식보다 신 구곡 판별식의 적중률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신 구곡 판별식을 쌀의 판별식으로 확립하였고 연산을 알고 있는 미지의 시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판별식의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판별식 정확도는 1차 분석에서는 82%, 2차 분석에서는 80%로 나타났다. 2. 현미에 대한 인지질 지표의 신 구곡 분류적중률은 96%로 나타나 95%이상의 적중률을 보여주었으므로 현미의 신 구곡 판별식을 확립하였다. 미지의 시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판별식의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93%로 나타나 판별 정확도가 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현미는 백미에 비해 지방 함량이 많기 때문에 신곡과 구곡 간의 인지질 함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3. 저장온도와 시기에 따른 쌀의 판별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벼 보관창고에서 동일한 시료를 수집하여 기확립된 쌀의 신 구곡 판별식에 대입하였을 때 상온 보관된 쌀의 정확도는 57.9~92.1%로 나타났고, 저온 보관된 쌀의 정확도는 86.8~94.7%의 범위로 나타났다. 쌀의 경우 저장 온도와 시기에 따라 판별되는 정확도가 달라졌고 저온 보관된 시료가 상온 보관된 시료에 비해 시기별 판별 정확도의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현미의 저장온도 및 시기에 따른 판별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벼 보관창고에서 동일한 시료를 수집하여 기 확립된 현미의 신 구곡 판별식에 대입하였을 때 상온 보관된 현미의 정확도는 94.7~100%로 나타났고, 저온 보관된 현미의 정확도는 92.1~100%의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의 경우 쌀에 비해 지방함량이 많고 강층의 존재로 산패가 더디게 진행되기 때문에 저장온도 및 시기에 상관없이 92%이상의 판별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등숙기 온도변이가 중만생종 벼의 쌀 품질과 식미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Stage on Grain Quality and Taste of Cooked Rice in Mid-late Maturing Rice Varieties)

  • 최경진;박태식;이춘기;김정태;김준환;하기용;양운호;이충근;곽강수;박홍규;남정권;김정일;한귀정;조용식;박영희;한상욱;김재록;이상영;최현구;조승현;박흥규;안덕종;정완규;한상익;김상열;장기창;오성환;서우덕;나지은;김준영;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04-412
    • /
    • 2011
  • 2006~2007년까지 2개년에 걸쳐 전국 8개도 27개 지역 28개 시험구에서 재배한 시료를 바탕으로 등숙기 온도가 벼의 등숙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식미치 향상에 적합한 등숙온도를 추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의 평균기온이 출수 후 40일까지의 평균기온 보다 벼의 등숙정도를 나타내는 현미 천립중과 식미치 변이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었다. 2. 시험에 사용된 중만생종 벼 품종들은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의 평균기온이 $21^{\circ}C$ 이하일 경우에는 저온으로 등숙이 불량하였고 $22^{\circ}C$ 전후에서 현미천립중이 최고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현미천립중이 감소하였다. 3. 현미천립중이 최대가 되는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 평균기온은 $22.2^{\circ}C$, 식미치가 가장 높았던 평균기온도 $22.2^{\circ}C$로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 평균기온이 증가할수록 현미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고 현미천립중이 증가할수록 현미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현미천립중이 증가하면 식미치가 증가하였고 현미단백질이 증가하면 식미치가 감소하였다. 5. 식미치가 최고를 나타내는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의 평균기온은 남평벼에서 $22.1^{\circ}C$, 일품벼와 주남벼에서는 $22.5^{\circ}C$였지만 동진1호는 $23.1^{\circ}C$로 다소 높았다. 6.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 평균기온이 $21^{\circ}C$ 이상인 경우 온도가 높아질수록 현미단백질 함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현미천립중과 현미단백질 함량과의 관계는 부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7. 식미치는 현미천립중과 정의 유의성을 보였고 현미단백질 함량과는 부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동일비료(同一肥料) 장기연용(長期連用) 토양(土壤) 및 현미중(玄米中)의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 (Content of Heavy Metal in Paddy Soil and Brown Rice under Long-Term Fertilization)

  • 정구복;김복영;소규호;이종식;연병열;정이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0-157
    • /
    • 1996
  • 동일비료(同一肥料) 및 퇴비(堆肥), 석회(石灰),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등(等)의 장기연용(長期連用)이 논 토양(土壤) 및 현미중(玄米中)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에 미치는 토양개량효과(土壤改良效果)를 밝힐 목적(目的)에서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황산(黃酸)암모늄, 요소(尿素), 3요소(要素) 등(等) 비료(肥料)의 장기연용(長期連用)으로 토양중(土壤中) Cu, Zn(0.1N-HCl 침출)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한 반면 현미중(玄米中) Cu, Zn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고 Cd, Pb함량(含量)은 토양(土壤) 및 현미(玄米)에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석회(石灰)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장기연용(長期連用)으로 토양중(土壤中) Cu, Zn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한 반면 현미중(玄米中) Cu, Zn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였고 Cd, Pb함량(含量)은 토양(土壤) 및 현미(玄米)에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3. 퇴비장기(堆肥長期) 연용(連用)으로 토양중(土壤中) Cu 및 Zu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Cd, Pb함량(含量)은 토양(土壤) 및 현미(玄米)에서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한국산 현미 및 율무 추출물에 의한 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415-14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양질의 영양소를 가진 현미 및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Ames test를 이용한 돌연변이 억제 실험에서 $AFB_1$ (0.6 mg/plate)에 대해 현미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증가하여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70% 및 76%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60% 및 76%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도 현미 및 율무 메탄올 추출물들은 첨가농도 5 mg/plate에서 각각 79% 및 69%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체 위암세포(AGS)에 현미 메탄올 추출물을 5, 10, 20 mg/ml의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현미 메탄올 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첨가농도 20 mg/ml일 때 77%의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 볼 수가 있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에서도 이들 현미 및 율무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부터 그 억제효과가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현미중(玄米中) 중금속(重金屬) 함량예측(含量豫測)을 위한 토양침출액(土壤浸出液)의 비교(比較) II. 토양분석(土壤分析)에 의(依)한 현미중(玄米中)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 예측(豫測) (Comparison of Soil Extractants for Estimation of Cadmium, Zinc and Lead in Brown Rice Collected from Paddy Soils near Old Zinc-Mining Sites II. A prediction Model for Cadmium, Zinc and Lead Contents in Brown Rice Based on Some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 유순호;박무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36
    • /
    • 1985
  • 현미중(玄米中) 카드뮴, 아연(亞鉛) 및 연(鉛)의 함량추정(含量推定)에 적합(適合)한 토양침출액(土壤浸出液)을 선발(選拔)하여 토양분석치(土壤分析置)를 이용(利用)한 예측모형식(豫測模型式)을 다단계식(多段階式)나으로 분석(分析) 유도(誘導)해 본 결과(結果), 공시(公試)된 침출액(浸出液) 0.1M HCl, 0.1 M $HNO_3$, 0.001M 2Na-EDTA 및 0.1 M $NH_4-oxalate$ 중(中) 현미중(玄米中) 카드뮴과 가장 높은 상관(相關)을 나타낸 침출액(浸出液)은 0.001M 2Na-EDTA였고, 아연(亞鉛)은 0.1N HCl, 연(鉛)은 0.1 M $NH_4-oxalate$였으며 3종김속(種金屬) 모두와 높은 상관정도(相關程度)를 나타낸 침출액(浸出液)은 0.1M $NH_4-oxalate$였다. 또 토양특성(土壤特性)을 이용(利用)한 다중회귀분석결과(多重回歸分析結果) 현미중(玄米中) 카드뮴함양추정(含量推定)에는 pH와 Ca 함양(含量)이 가장 중요(重要)한 변수(變數)로 작용(作用)하였고, 현미중(玄米中) 아은(亞銀)은 CEC 및 Mg 함양(含量)이였으며, 현미중(玄米中) 연함양(鉛含量)은 Na함양(含量)을 제외(除外)한 Ca, CEC, pH, Mg, OM, K등 모든 특성(特性)이 중요(重要)한 변수(變數)였다.

  • PDF

발아현미죽 제조조건의 최적화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for Preparation Conditions of Germinated Brown Rice Gruel)

  • 한경희;오종철;유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35-1741
    • /
    • 2004
  • 발아현미를 이용한 죽의 관능적 특성을 바탕으로 최적 제조조건을 구하고자 중심합성 계획 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 과 능선분석을 행하였다. 4요인중 발아현미죽의 관능특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발아현미에 대한 물의 비율이었으며(p<0.01),다음은 우유의 비율로써 죽의 색상, 풍미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향상되었다(p<0.05). 실험결과 색상에 대한 최적조건은 발아현미에 대한 물의 비율이 7.76배, 조리시간이 56.53분, 조리온도가 96.87$^{\circ}C$,그리고 첨가되는 우유량의 비율이 0.50배이었다. 점성에 대한 최적조건은 발아현미에 대한 물의 비율이 8.62배, 조리시간이 39.07분, 조리온도가 95.93$^{\circ}C$, 그리고 첨가되는 우유량의 비율이 0.54배이었다. 풍미에 대한 최적조건은 발아현미에 대한 물의 비율이 8.49배, 조리시간이 35.55분, 조리온도가 95.81$^{\circ}C$, 그리고 첨가되는 우유량의 비율이 0.54배 이었다. 또한 입안에서의 질감에 대한 최적조건은 발아현미에 대한 물의 비율이 8.58배, 조리시간이 37.98분, 조리온도가 93.95$^{\circ}C$, 그리고 첨가되는 우유량의 비율이 0.55배이었고, 전반적 기호도에 대한 최적조건은 발아현미에 대한 물의 비율이 8.26배, 조리시간이 31.98분, 조리 온도가 95.71$^{\circ}C$, 그리고 첨가되는 우유량의 비율이 0.54배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발아현미죽의 관능검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는 점성, 향미, 입안에서의 질감 등이 기여도가 높고 색상의 영향은 적었다.

미질향상(米質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1. 현미중(玄米中) 화학성분(化學成分)의 영향(影響)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ice Quality -1. Effect of Chemical Composition in Brown Rice)

  • 김유섭;황선웅;연병열;박영대;김동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7-363
    • /
    • 1992
  • 본(本) 시험(試驗)은 1954년(年)부터 동일비료연용(同一肥料連用)이 토양(土壤)의 양분변동(養分變動) 양상(樣相) 및 생산력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실시(實施)한 시험(試驗)에서 생산된 현미중(玄米中)의 화학성분(化學成分)을 분석(分析)하고 이들 성분(成分)과 미질(米質)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것으로 이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유형별(窒素類型別) 현미중(玄米中)의 복백미(腹白米) 생성량(生成量)은 질소(窒素)를 유안(硫安)으로 시용(施用)한 삼요소구(三要素區)에서 가장 많았고 유안단용구(柳安單用區), 요소단용구(尿素單用區), 완전무비구(完全無肥區)의 순(順)으로 낮았다. 2. 삼요소(三要素)를 시용(施用)하고 규산(珪酸) 또는 석회(石灰)를 각각(各各) 시용(施用)하였거나 이들 규산(珪酸) 및 석회(石灰)를 혼용(混用)하였을 때에는 삼요소(三要素)만을 시용(施用)하였을 때보다 복백미(腹白米) 생성량(生成量)이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그 정도(程度)는 석회시용구(石灰施用區)보다 규산시용구(珪酸施用區)에서 유의(有意)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3. 삼요소(三要素)를 동일(同一)하게 시용(施用)한 후(後) 퇴비(堆肥)를 시용(施用)하였거나 각(各) 개량제(改良劑)를 퇴비(堆肥)와 혼합(混合) 처리(處理) 하였을 때에는 삼요소(三要素) 단용구(單用區)에 비(比)하여 현미중(玄米中)의 복백미(腹白米) 생성량(生成量)이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특(特)히 삼요소(三要素)+석회(石灰)+퇴비구(堆肥區)에서는 삼요소(三要素) 단용구(單用區)에 비(比)하여 2배이상(培以上)의 높은 복백미(腹白米)가 생성(生成)되었다. 4. 복백미(腹白米) 생성량(生成量)이 적은 구(區)에서는 질소유형별(窒素類型別) 및 삼요소처리구(三要素處理區) 공(共)히 현미중(玄米中)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이 낮았으며 이들 각(各) 처리중(處理中)에서도 복백미(腹白米) 생성량(生成量)이 많았던 구(區)에서는 현미중(玄米中)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도 높았다. 5. 현미중(玄米中) Mg/K비율(比率)이 낮을 수록 복백미(腹白米) 생성량(生成量)은 많아지는 경향(傾向)이었으며, $Mg/K{\cdot}N$비율(比率) 역시(亦是) 낮은 구(區)에서 복백미(腹白米) 생성량(生成量)이 많았다.

  • PDF

누룩 및 조효소제가 정치배양 현미식초의 유리아미노산과 휘발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uks and Crude Amylolytic Enzyme on Free Amino Acid and Volatile Components of Brown Rice Vinegar Prepared by Static Culture)

  • 이수원;윤성란;김귀란;경현규;정용진;여수환;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70-57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누룩 및 조효소제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현미식초의 유리아미노산 및 휘발성 성분에 관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AV에서는 130.06 mg%로 가장 낮았고, BV, CV, DV, EV는 190 mg% 전후로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효소제를 일부 첨가하여 제조한 현미식초(BV, CV, DV, EV)가 누룩만 첨가하여 제조한 현미식초(AV)에 비하여 필수아미노산 및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코분석 결과 발효 24일째 누룩 및 조효소제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발효시킨 AV 및 EV에서 뚜렷한 향기 패턴 차이를 보였고, 누룩 및 조효소제 혼합 비율로 발효시킨 BV, CV 및 DV가 유사한 향기 패턴으로 보였다. 누룩 및 조효소제의 첨가비율에 따른 현미 식초의 주된 휘발성분은 acetic acid, 3-methyl butyl acetate, acetoin, isomayl alcohol 등의 20종으로 검출되어졌다. Alcohol류는 phenylethyl alcohol, isoamyl alcohol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ster류는 ethyl acetate, 3-methyl butyl acetate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제로 누룩 및 조효소제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조효소제를 일부 첨가하여 제조한 현미식초(BV, CV, DV, EV)가 누룩만 첨가하여 제조한 현미식초(AV)에 비하여 초산향의 상대적 농도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관능적으로 좋은 향의 상대적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조효소제만으로 발효시 이취성분들도 감소되어지거나 검출되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배아를 제거한 현미립내의 일반성분의 분포 (Distribution of Protein, Fat and Ash with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 송보현;김동연;김성곤;김용두;최갑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1-6
    • /
    • 1988
  • 일반계(천마벼, 서남벼 및 섬진벼) 및 다수계(가야벼, 원풍벼 및 이리 362호) 현미의 배아를 제거한 다음 Satake시험 도정기로 무게비로 도정율이 평균 4.4%(분획 I), 4.7%(분획 II). 5.9%(분회 III)씩 도정하여 전체 도감율이 15%정도가 되도록 하고, 현미립내의 단백질, 지방질 및 회분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지방질 및 회분 모두 분획 I 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분획 II, 분획 III 및 잔유립의 순서로 함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들 성분는 품종에 관계없이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단백질 함량은 분획 I 이 현미 (평균 9.0%)에 비하여 평균 1.98배, 분획 II가 평균 1.88배, 분획 III이 평균 1.59배 높았으며, 잔유립은 현미에 비하여 0.81배이었다. 지방질 함량의 경우에는 분획 I 은 현미(평균 2.1%)에 비하여 평균11.4배, 분획 II는 평균 8.7배 높았으나, 분회 III은 평균 0.70배, 잔유립은 평균 0.06배이었다. 회분의 함량은 분획 I 이 현미(평균 1.0%)에 비하여 평균 5.73배, 분획 II는 평균 4.09배, 분획 III은 평균 2.49배 높았으나, 잔유립은 평균 0.48배이었다. 단백질의 분포비율은 분획 I 및 II 가 각각 8.7%, 분획 III이 9.3%, 잔유립은 전체 단백질의 68.7%를 차지하였다. 지방질은 분획 I 및 II가 전체 지방질의 91.1%를 차지하였으며 분획 III과 잔유립은 $4{\sim}5%$정도이었다. 회분은 분획 I 이 25%, 분획 II가 19.1%, 분획 III이 1.45% 잔유립이 41.8%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