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미경관찰법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31초

공초점반사현미경을 이용한 소나무 유연벽공의 초미세구조 연구 (Investigation of Bordered Pit Ultrastructure in Tracheid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by Confocal Reflection Microscopy)

  • 권오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346-355
    • /
    • 2014
  • 소나무의 가도관과 유연벽공의 미세구조를 연구하는데 공초점반사현미경법을 이용하여 획득한 3차원 화상을 사용하였다. 가도관 유연벽공의 토러스, 마르고, 벽공연의 미세구조가 명확하게 관찰되었으며, 교분야벽공의 미세구조로 가도관과 방사유세포 사이의 연결구조 및 방사유세포 내의 역학적 지지구조도 관찰할 수 있었다. 가도관 세포벽의 3차원 화상에서는 S1, S2, S3층과 이 층들의 사이에 있는 이행층의 존재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3층과 S2층의 마이크로 피브릴 배향의 관찰이 가능하였고, 유연벽공 주변의 복잡한 마이크로피브릴 배향 특성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공초점반사현미경법은 소나무 가도관의 세포벽, 유연벽공, 교분야벽공의 미세구조를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현미경 기법으로 여겨졌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상전이형 광디스크의 미세조직 관찰 (Microstructural Observation of Phase Change Optical Disk by TEM)

  • 김수철;김긍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93-498
    • /
    • 1999
  • 기억저장매체로서 광디스크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의 레이저 기술의 발전, 제조기술의 발전에 따른 기억밀도의 증가로서 기존의 자기기록매체와 경쟁을 하고 있다. 기록밀도의 증대와 신뢰성의 향상을 위하여 다층박막 구조를 가지는 광디스크의 미세구조는 더욱 복잡하며 소형화되고 있다. 이종의 물질로 구성된 다층박막형 광디스크의 미세구조 관찰 및 분석을 위해서는 투과전자현미경과 같은 미소영역 분석법이 필수적이며 비교적 간단하고 신뢰성 높은 시편준비법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을 위한 광디스크의 평면 및 단면시료 제작법을 제시하고 제조된 시편으로부터 얻어진 광디스크의 미세구조 분석결과를 보고한다.

  • PDF

바이오센서 응용을 위한 그래핀 전극 표면의 결함준위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 박민정;황숙현;임기홍;최현광;전민현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86.2-386.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센서 응용을 위해 그래핀을 전극으로 제작하여 그래핀 표면 결함준위에 따른 센서의 민감도를 전기화학 실험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래핀은 니켈/구리촉매를 이용한 저 진공 화학 기상 증착 장비(Low-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와 Photo-lithography로 제작한 것과 탄소 산화물을 환원시켜 만든 환원-그래핀, 두 가지를 사용하였다. 전기화학 실험에서 그래핀 전극 및 Silver/Silver chloride (Ag/AgCl), Fluorine doped Tin Oxide (FTO)은 작업 전극 및 기준 전극, 상대 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였고, 반응용액은 potassium hexacyanoferrate (III)를 농도를 다르게 하여 사용하였다. 그래핀의 표면 상태, 층수, 결함 정도 등 구조적인 특성은 원자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 주사 전자 현미경(Secondary Electron Microscopy; SEM)과 Raman spectroscopy를 각각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그래핀의 결함준위에 따른 반응면적 및 센서 감도 의존성을 전류모드-원자력현미경(Current-Atomic Force Microscopy; I-AFM)과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를 통해 그래핀 전극의 성능을 분석하고, 그래핀 결함 준위에 따른 센서 감도 의존성은 순환전위 분광법 (Cyclic Voltammetry; CV)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농도가 다른 반응용액은 센서의 민감도를 관찰하는데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LP-CVD로 성장한 그래핀과 환원-그래핀의 결함준위에 따른 센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 결과와 반응용액 농도에 따른 센서의 민감도 결과는 그래핀 바이오센서에 대한 응용 및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 PDF

Toad bladder의 상피수송(上皮輸送)에 관한 동결치환(凍結置換) 및 동결절단법(凍結切斷法) 연구(硏究) (Freeze-Substitution and Freeze-Fracture Studies on Epithelial Transport of Toad Bladder)

  • 전진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20권2호
    • /
    • pp.81-101
    • /
    • 1990
  • Toad bladder의 상피수송(上皮輸送)을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동결치환(凍結置換) 및 동결절단법(凍結切斷法)을 적용(適用)하여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 관찰(觀察)을 실시하였다. 방광(膀胱)의 점막층(粘膜層)은 과립성세포(顆粒性細胞),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한 세포, 점막분필세포(粘膜分泌細胞) 및 기저세포(基底細胞)등 4가지 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과립성세포(顆粒性細胞)는 점막표면적의 대부분을 점유하며 $Na^+$ 수송(輸送)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정단부(頂端部)의 세포질에는 다수의 과립이 분포하며 정단세포막(頂端細胞膜)은 microvilli type I로 배열되어 있고, 표면에 glycoprotein을 함유하는 세포외막(細胞外膜)이 관찰되었다. 대조적으로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한 세포는 세포질 전역에 걸쳐 다수의 미토콘드리아가 분포해 있으며 주요 기능은 $H^{+},\;K^{+}$$HCO_{3}^{-}$ 분필수송(分泌輸送)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 수송상피(輸送上皮)는 정단부가 견고연접(堅固連接)으로 둘러 싸이고 기저세포막(基底細胞膜)은 인접세포와 서로 분리되므로 상피세포의 극성이 유지되며 정단부(頂端部) 세포막과 기저세포막의 수송특성(輸送特性)은 각기 다르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두꺼비 방광(膀胱)에서 상피수송(上皮輸送)은 세포 통과수송 및 세포간 분류수송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세포막 투과성(透過性)의 조절과 관련하여 동결절단(凍結切斷)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forskolin에 촉진된 정단부(頂端部)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는 세포막내(細胞膜內) 입자(粒子)의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과립성세포(顆粒性細胞)에서 집단으로 관찰되는 세포막내(細胞膜內) 입자(粒子)는 forskolin에 유도된 정단세포막(頂端細胞膜) 투과성의 변화를 나타내주는 것으로 사료되나 이의 기능적 의미에 대하여는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 PDF

PVT 법으로 성장된 AlN 단결정의 열처리 공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treatment process for AlN single crystals grown by PVT method)

  • 강승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5-69
    • /
    • 2017
  • AlN 단결정을 $1600{\sim}1800^{\circ}C$의 온도에서 100 torr 이하의 진공하에서 $100^{\circ}C$ 간격으로 열처리하였다. AlN 단결정은 고주파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되는 성장부를 갖는 성장장치를 사용하여 PVT법으로 얻어내었다. 단결정 시편들의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성장된 압력 하에서 온도에 따라 형상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의 열에칭이 나타났는데, 이는 작은 에치핏의 형성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도핑이 FALC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Effect of Doping on FALC)

  • 안지수;주승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1
    • /
    • pp.195-19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MILC 및 FALC를 도핑 타입에 따른 온도별 패턴별 인가 전압별로 진행하여 현미경 및 FESEM 관찰을 함으로써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LPCVD를 이용하여 $1000\;{\AA}$ a-Si 을 glass에 입힌 후 photolithography법 또는 Hard Mask법으로 Ni $200\;{\AA}$ 을 선택적으로 증착하였으며 Pt 전극을 Sputtering법으로 제작하였다. $33\;{\sim}\;200\;V/cm$의 전기장 하에서 MILC 속도가 2배 정도 증가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또한 인접패턴에 의해 FALC 속도가 영향을 받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전자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MILC 선단영역 전후에 Void가 발생하는 영역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FESEM 분석을 통하여 FALC 영역 및 Void 영역을 관찰한 결과 도핑 종류에 따라 결정화 양상이 다른 것이 관찰되었으며 Void 분석결과 Charged vacancy가 어닐링시 결집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분석전자현미경용 다층박막 디스크의 시편준비법 (TEM sample preparation of thin film multilayer disks for analytical electron microscopy)

  • 김명룡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8권4호
    • /
    • pp.464-471
    • /
    • 1995
  • 메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제작한 고밀도 다층박막($Co_75{{Pt_12}{Cr_13}}$합금) 디스크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단면 및 평면의 미세조직의 조사 혹은 미소부위 성분분석을 할 경우, 선행되어야하는 시편준비 경로와 각 단계별 구체적방법 및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Ion밀링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시료가 얇게 되는과정에서 스퍼터링된 물질이 관찰될 시편부위의 다른 표면에 증착되므로써 미세조직의 선명도를 해칠 수 있고, 이로인한 해석상의 오류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자기박막 디스크와 같이 다층으로 구성된 단면분석용 시료에서는 서로 맞붙인 실리콘 단결정 접착면을 따라 밀링속도가 선택적으로 커서 우선축이 생김으로써 양질의 시편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같은 문제를 포함한 전자현미경 시료준비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와 이를 이용해 수행한 전자현미경 분석결과 및 효과적인 시편준비방법이 본 논문에서 언급되었다.

  • PDF

세르톨리세포 관찰을 위한 PA-TCH-SP-PD 염색의 적용 (Application of Periodic Acid Thiocarbohydrazide Silver Proteinate Physical Development ( PA-TCH-SP-PD) Stain to Observation of Sertoli Cell)

  • 박영석;이성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1-339
    • /
    • 1998
  • 본 연구는 Sertoli 세포 column 과 Sertoli 세포돌기 미세구조의 연구를 위해 당질검출을 위한 PA-TCH-SP, -PD 투과전자현미경용 특수염색을 정세관에 적용한 후 각 정세포와 Sertoli 세포를 관찰하고 비교하여 이 분야 연구에 본염색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PA-TCH-SP, -PD 특수염색을 개의 정세관에 적용하여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던 바, Sertoli 세포 column 과 돌기 부위에 수많은 반응과립이 관찰되었으며 정세관 기저부의 정조세포질에서도 약간의 반응과립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반응과립은 각 정세포의 핵, 정모세포질, 정자세포질 및 잔류체에는 존재하지 않아 반응과립이 존재하는 Sertoli 세포 colunm 과 돌기 및 정자세포질에 침투된 돌기들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었다. 따라서 PA-TCH-SP, -PD 염색법은 투과전자현미경하에서 Sertoli 세포 colunm 과 돌기의 형태학적 및 기능학적 연구에 대단히 유용한 염색법으로 사료된다.

  • PDF

마이크로/나노구조를 이용한 초발수 표면 특성 연구 (Development of Micro/nanostructured Superhydrophobic Surface)

  • 이주영;문성모;정용수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7-187
    • /
    • 2013
  • 알루미늄 표면에 산/알칼리 에칭법을 이용하여 복합구조를 형성시키고 소수성 물질을 코팅한 후 접촉각과 구름각을 측정하여 초발수 특성을 확인하였다. 표면의 복합구조는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관찰되었고 표면의 구조 및 잔류물에 따른 초발수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는 향후 다양한 기능성 코팅 소재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납착 방법이 치과용 금속의 성상(性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soldering metho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Cr alloy)

  • 김철형;송영균;이종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3-60
    • /
    • 2012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치과영역에서 많이 사용되는 비귀금속 합금인 니켈-크롬 합금을 산소-아세틸렌 불꽃 납착법과 적외선 용접법을 이용해 용접하고 용접부 및 그 주변을 광학 현미경과 EPMA (Electron Probe Micro Analyzer, 전자미세현미분석기)를 통해 관찰하여 용접방법이 금속의 성상(性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니켈-크롬 합금을 이용하여 3.0 mm 직경, 30 mm 길이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은 산소-아세틸렌 불꽃 납착법, 적외선 용접법의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n=4). 시편을 low-speed disc로 자른 후 각각을 산소-아세틸렌 토치와 적외선 용접기를 이용해 용접하였다. 용접과 마무리 후에 시편을 광학현미경으로 용접부, 5 mm 떨어진 지점, 10 mm 떨어진 지점의 3개 부위에서 관찰하고EPM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광학 현미경 관찰 결과 용접부에서는 두 방법 모두 다수의 파절선이 관찰되었고, 10.0 mm 떨어진 거리에서는 두 방법 모두 시편의 표면에서 파절선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5.0 mm 떨어진 거리에서는 적외선 용접법에서는 시편의 표면이 다소 거칠기는 했으나 파절선은 발견되지 않았고 산소-아세틸렌 불꽃 납착 표면에서는 다수의 파절선이 관찰되었다. EPMA분석에서 적외선 용접법에 의한 방법에서는 용접부위, 5.0 mm 떨어진 부위, 10.0 mm 떨어진 부위 모두에서 시편 금속의 구성성분 비율이 제조사의 구성성분 비율과 10.0%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고, 산소-아세틸렌 불꽃 납착법에서는 5.0, 10.0 mm에서는 시편금속의 구성성분이 10.0%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으나, 납착 부위에서는 Ni만이 검출되어 적외선 용접법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살펴 볼 때 적외선 용접을 시행한 시편의 구성 성분이 모금속의 성분과 유사한 것 을알수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산소-아세틸렌 불꽃 납착법보다 적외선 용접법을 이용할 때, 금속의 결함 및 성분의 변화가 적어서 좀 더 우수한 금속 보철물의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