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혁신적

Search Result 7,02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Effects of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On Fashion Innovative Behavior (인지된 혁신속성이 패션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박경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3
    • /
    • pp.393-400
    • /
    • 2000
  • 기술적 혁신과는 달리 상징적 혁신(symbolic innovation)은 기존 제품에 부가된 사회적 의미가 변화함으로서 창조된다. 따라서, 상징적 혁신에서 새로운 사회적 의미와 관련된 속성은 기능적 속성만큼이나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상징적 혁신의 대표적인 의류제품을 이용, 패션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된 혁신속성(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을 구별하고, 패션혁신행동의 두 유형(구매와 사용)에 미치는 이러한 속성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대학생 집단을 표본으로 이용,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515부의 응답지가 분석되었다. 인지된 혁신 속성은 유사성(compatibility), 기능적 상대적 잇점, 사회적 상대적 잇점, 인지된 위험으로 구분되었다. 의복흥미가 구매와 사용 두 측면의 패션혁신행동에 영향을 주었으나 인지된 혁신속성은 사용측면에만 영향을 주었다. 유사성과 기능적 상대적 잇점이 사용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인지된 위험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혁신속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의류소비정도가 구매혁신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는 구매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보다 혁신속성의 평가에 더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The Impact of Non-technological Innovation on the Performance of Product Innovation (비기술적 혁신이 제품혁신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Mun, Sung-Ba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1 no.1
    • /
    • pp.331-353
    • /
    • 2018
  • Using data from 2008 and 2010 Korean Innovation Survey, this study estimates the impacts of non-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study estimates the effects of the two types of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The estimation results suggest that both organizational and marketing innova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uccess of innovative products. In particular, non-technological innova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the share of sales with market novelties. Among individual practices in organizational innovation, only the introduction of new business practices contributes positively to the sales of innovative products. In case of marketing innovation, new marketing methods in product design, product promotion and pricing increase the share of sales from new products.

IS 인적자원 혁신의 영향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 김승윤;고영호;남기찬;이재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26-329
    • /
    • 2001
  • 정보기술의 발전은 기업이 혁신적으로 비용을 감축하거나, 고객에게 전혀 다른 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과거에 갖지 못했던 새로운 능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에게 요구되는 정보 시스템 (Information System : IS)의 새로운 능력들이 성공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 IS 자체의 혁신이 선행적으로 요구된다. 최근에 이러한 IS 혁신 및 IS를 통한 경쟁적 우위의 확보를 위해서 IS 인적자원 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IS 인적자원 혁신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어 IS 인적자원 혁신을 위한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혁신, IS 혁신, 인적자원 혁신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IS 인적자원 혁신의 영향 요인을 환경적 요인, 전략적 요인, 조직적 요인, 개인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IS 인적자원 혁신의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영향 요인들이 IS 인적자원 혁신과정에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나타낸다.

  • PDF

국가간에 기술혁신수검속도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 권성혁;조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5.10a
    • /
    • pp.184-198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볼 때, 중요한 국가 간에 기술혁신의 수렴존재와 기술혁신의 수렴기간에 관한 실증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형적인 기술혁신의 확산을 가정한 결과로 볼 때, 분석대상국가간에 분석대산 국가 간에 기술혁신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둘째, 보다 직접적인 기술혁신존재 및 확산기간을 측정한 결과 선형을 가정한 AR(1)모형에서 추정한 계수 값이 일본과 한국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상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모수적 추정과 선형의 경우가 비모수적 추정과 비선형의 경우보다 기술혁신에 따른 수렴기간이 길게 나타났다. 특히 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선형을 가정하는 경우에는 기술혁신에 따른 수렴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비선형인 경우에는 수렴현상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술혁신에 따른 수렴기간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기술혁신에 따른 수렴기간보다 길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술혁신확산 및 수렴기간이 장기적인 경우 선형적인 기술혁신존재검증을 어렵게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구결과 정책적 시사점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우에 기술혁신수준이 중국이 쉽게 모방할 수 있는 정도로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에 대한 중국의 기술혁신 모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우리나라 기술혁신의 주기가 짧으면서 자주 일어나야한다.

  • PDF

The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과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전문적 지식이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Kim, Young-Kyu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7 no.7
    • /
    • pp.187-198
    • /
    • 2012
  • Consumer innovativeness is a force that leads to innovative behavior of consumer and it is crucial for companies to understand the innovativeness in association with the new innovative product adop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s the influence of Consumer's inherent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consumers's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model has been set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1) consumer innovativeness would not influence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2) vicarious innovativeness had affect on adoptive innovativeness 3) product involvement had a affect on both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4) product expertise had a affect on vicarious innovativeness and yet had no affect on adoptive innovativeness.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Review (전환적 지역혁신정책: 리뷰)

  • Wichin Song;Jieun Seo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30 no.4
    • /
    • pp.29-56
    • /
    • 2022
  • This study is a review paper on the contents and policy direction of the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The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is a policy that develops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crisis, aging, and polarization with a vision of system trans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residents.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theory, which is distinguished from existing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Next, studies related to major elements of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types of system transformation, and industrial formation are reviewed. The elements that differentiate the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from existing policies are summarized and issues to be addressed in order to develop future discussions are drawn.

How does Product Innovation Enhance Firm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기업의 재무적 성과 향상을 위한 제품혁신 메커니즘 분석: 공정혁신, 조직혁신, 마케팅혁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Oh, Shin-Ho;Han, Sang-Yun;Bae, Sung Jo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4
    • /
    • pp.1006-1031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product innovation is associated with firm performance, and how this effect is moderated by other type of innovation efforts.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1)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oduct innovation on firm performance; (2)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that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activities each h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The analytical sample comprises a total of 816 Korean manufacturing firms from the 2010 KIS (Korean Innovation Survey) data and merged with financial data from KIS Info for acquiring the objectivity. The results show that product innov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firm performance. Product innovation when combined with higher levels of process, organizational and marketing innovation activities resulted in higher firm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product innovation is a decisive factor of firm performance. More importantly, process, organizational and marketing innovation activities support product innovation and thus impact firm performance indirectl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novation activities on firm performance by different firm size and R&D intensity,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details of this study.

  • PDF

기업규모, 네트워크, 그리고 기술혁신 : 우리나라 제조업에 대한 실증적 연구

  • Seong, Tae-Gyeong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22-4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결정요인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발표한 KIS(Korean Innovation Survey) 200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혁신활동에 있어서 기업규모와 네트워크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술혁신활동을 제품혁신, 제품개선, 그리고 공정혁신으로 구분하였으며, 기술혁신활동의 결정요인으로 이윤율, 수출비율, 해외지분, 기업연령, 시장집중도, R&D활동 착수여부, 그리고 산업별 R&D집약도 등이 추가로 고려되었다. 분석된 표본은 제조업에 속한 1,124개 기업으로 정성적 분석방법인 로지스틱 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결정요인은 혁신유형에 따라서 다르게 분석되었다. 예를 들어, 기업규모와 기술혁신활동에 관한 슘페터 가설은 제품혁신에서는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품개선 및 공정혁신에 대해서는 성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측한 대로 소기업과 대기업간 기술혁신활동의 결정요인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차이는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에서 현격하게 나타났다. 셋째, 기업규모 및 혁신유형에 관계없이 외부적 네트워크는 기술혁신활동에 대해 정(正)(+)의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어, 혁신활동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었다. 그러나 협력대상별 네트워크효과는 기업규모와 혁신유형에 따라서 많은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 PDF

외부 유기적 혁신모델(External Organic Innovation Models)의 성공-실패 사례 분석

  • Jeong, Dae-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75-1075
    • /
    • 2017
  • 기업의 성장동력 전략으로 내부 개발역량에 의존하는 자생적/유기적(Organic Growth) 방식과 전략적 제휴나 인수/합병을 통해 외부 자원을 활용하는 비유기적 성장(Inorganic Growth) 방식을 나눌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혁신전략 안에는 성공과 실패가 공존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조직내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및 개발,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혁신 과정을 개방하여, 외부 자원을 적극활용함으로써 혁신의 비용을 줄이고 성공가능성을 높여 부가가치 창출을 극대화하는 혁신활동중 하나로 개방형혁신(Open innovation)을 많이 활용 하고 있다. 하지만 더 나아가 사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External Organic Innovation을 같이 활용하는 새로운 혁신전략 활동 전개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혁신 전략들의 성공-실패 사례분석을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혁신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novative Structure to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혁신적 조직 구조 확립이 사내 기업가정신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Jin-soo;Hwang, Inho
    •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 /
    • v.42 no.3
    • /
    • pp.245-274
    • /
    • 2020
  •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ly changing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enterprises are required to accelerate various innovative activities for sustainable competitiveness. Recently corporate entrepreneurship is widely spread to organization for establishing innovative corporate culture and stimulating corporate ventures. However, many enterprises are not successful and productive due to lack of readiness of corporate entrepreneruship. Therefore, finding the factors influencing corporate entreprensurship, innovative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is a very important research issues.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re developed by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positive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to corporate performance and influential effects of factors such as innovation-based effor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vision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innovative operating system to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 of Entrepreneurship Survey with Corporates conducted by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in 2017 is used for the research sample. Hypothesis test used 1,326 sample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applied. The results show that corporate entrepreneurship improves innovative idea activity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establishing innovative vision and strategies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enhances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novative operational system has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s the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ve idea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previous research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Korea by 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multilateral relationships between innovativ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