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혁신시스템

Search Result 1,88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Framework for Measur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Innovation Systems: Focusing on the Korean Atomic Energy and Space Sectors (혁신시스템 국제화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 및 활용: 한국 원자력산업과 우주산업을 중심으로)

  • Park, Si-Hun;Cho, Hyung-Rae;Chung, Sunya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4 no.2
    • /
    • pp.115-141
    • /
    • 2016
  •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framework for measur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innovation systems. Through this, we try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tomic energy and space sector in Korea.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atomic energy sector has a higher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in its innovation system with technological level than the space sector.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internationalization of innovation system is an important factor for catching up a leader. The framework,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many case studies on an international leadership of innovation system. In addition, it could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technology management, especially in the sectors which fell into a strategic dilemma.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Bioenergy Technologies in the Systems Perspective (혁신 시스템 관점에서의 바이오에너지기술 개발과 확산)

  • Jung, Mi-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37.2-137.2
    • /
    • 2011
  • 본 연구는 바이오에너지 분야의 성장을 혁신 시스템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성을 논하고, 시스템 관점에서의 이론적 분석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의한 지역 및 국가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기술 혁신의 과정으로 이해할 때 혁신 시스템 관점은 기술 개발로부터 선별 및 확산에 이르기까지 관계되는 다양한 주체와 이들 간의 네트워크, 제도 관계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도록 한다. 특히 혁신 시스템에 대한 동학적 접근은 시스템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변화의 동인을 파악하는데 '시스템 기능'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면 복잡한 바이오에너지 성장 과정에 대한 시기별 접근과 기술 사례별 비교 분석이 용이해진다. 본 연구는 혁신 시스템 관점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 정리 및 바이오에너지 분야의 성장에 대한 기존 시스템 관점의 연구들을 검토하여 바이오에너지분야의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도출하고 우리나라 바이오에너지 분야에 적합한 시스템 분석틀을 제시한다.

  • PDF

사용자혁신 시스템과 정부정책 패러다임 수립

  • Cha, Min-Seok;Kim, Yeong-Bae;Bae, Jo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89-122
    • /
    • 2009
  • 기술혁신 시스템이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의 변환과정에 대해서는 일부 개념적 모형이나 탐색적 연구가 개념적으로만 제시되었을 뿐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연구가 부족하다. 한국이나 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들의 선진국 기술추격과 탈추격형 혁신시스템으로 진화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국가 차원의 제도 및 정책, 산학연의 연구역량과 협력체계, 외국기술의 도입 및 활용 등을 기술추격의 성공요인으로 들고 있을 뿐, 미시적인 관점에서 탈추격형 기술개발 성과의 사업화 추진 전략과 방법, 지원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Lee & Lim, 2001; Hobday et al., 2004; Kim, 1997).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의 변환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특히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사용자들의 혁신 과정에서의 역할에 대해 사례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선도적 혁신에서 제품 및 공정상에서 사용자혁신의 패턴을 밝혀내면, 이를 위한 제도적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선도적 혁신을 위한 기술혁신시스템에서 사용자로서의 기업과 선도사용자인 고객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음을 반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혁신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시사점을 개진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ERP System Innovation Acceptance Factors on the Innovation Diffusion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RP시스템의 혁신수용요인이 혁신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형(TAM)을 이용하여 -)

  • Shim Joung-Tak;Lee Sang-Ji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0 no.4
    • /
    • pp.65-77
    • /
    • 2005
  •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s for improving the applicability of ERP system in those companies which plan to introduce it or those which already introduced, but were not able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empirical study to find innovation acceptance factors effecting innovation diffusion of ERP system intensively and to search the best path of innovation diffusion. Thus, it was known that innovation characteristics factors, percie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and implementation of ERP system affected innovation diffusion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ath helping companies introduce information system successfully.

  • PDF

A Comparative Study on Public Research System in Korea, Germany and Japan (한·독·일 소재기술분야 공공연구시스템 비교연구)

  • Lee, Juseok;Lee, Kyongjae;Chae, Jae-Woo;Lee, Ja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89-121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술을 차원으로 한 국가소재기술혁신시스템을 개념틀로 하여 국가 간 비교분석을 추진하였음. 소재기술을 주된 차원으로 하고 관련 산업을 대상으로 소재기술과 제조업 강국인 독일과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의 혁신시스템을 공공연구시스템 차원에서 비교분석을 수행함. 동 분석의 강점은 소재기술을 둘러싼 혁신주체(산학연)와 산업 간에서 일어나는 학습활동, 연구개발, 상호작용, 기술의 생성과 확산, 네트워크 등 동태적인 기술혁신 활동을 공공연구시스템 차원에서 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다는 것임. 본 연구를 통하여 국가별 시스템의 장단점 분석과 함께 향후 바람직한 국가소재기술혁신시스템을 지향하기 위한 공공연구시스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PDF

Short Consideration on S&T and R&D Implementation System of Korea (우리나라 과학기술 R&D 추진 시스템에 관한 소고)

  • Lee, Sang Hyon;Jeong, Sa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569-589
    • /
    • 2017
  • 최근 정부는 변화하는 환경에 조응하기 위한 혁신적인 국가 R&D 시스템의 도입 및 성과평가 준거 틀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 중심의 "정부 R&D 혁신방안(2015)"을 제안하고 기존의 추격형 R&D체제에서 벗어나 질적 우수성 추구로 패러다임 전환과 창의 도전적 R&D에 초점을 맞춘 평가방식, 그리고 행정시스템 간소화 등을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로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제시한 지속적인 의견 등을 고려할 때, 변화 이슈에 대한 장기적인 R&D 시스템 전개방향은 공감되나, 실행단계에서 실효적 적용은 많은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특정 집단의 이해관계를 벗어나기 힘든 경우, 편향된 이슈 및 정책 제안이 제시되거나, 제안된 정책 간 일관성 있는 논리를 설정하기 어렵거나, 불특정 다수의 이해관계자 집단 간 이익 대변 혹은 현실을 벗어나는 이상적인 방향을 제안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해관계자를 넘어서는 통합적 관점에서 사회 전체적 여건을 고려하는 혁신적 국가 R&D 시스템에 대한 정책적 실행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혁신정책 및 R&D 성과, 주요국 관련 동향 등을 살펴보고 현행 R&D 추진 시스템을 사회 시스템 차원에서 바라보며, 제기되는 관련 이슈에 대한 비판적 담론과 쟁점을 정리 및 분석하였다. 또한, R&D 혁신주체 간 상호작용 및 추진 시스템 효율성 측면의 핵심 이슈를 분석하여 R&D 추진 시스템 중장기 구축방향과 한계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정리한 실행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Socio-technical Systems Approach and Innovation Policy (사회.기술시스템론과 과학기술혁신정책)

  • Song, Wich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1
    • /
    • pp.156-175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ach of socio-technical systems and strategic niche management. It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at approach such as multi-level perspectives, the views on technology, and policy orientation. It applies the approach to the long-term vision making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socio-technical planning, participatory R&D, and science communication in Innovation policy areas and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 PDF

The Effect of Cooperation Network in National Innovation System on Technological Innovation (국가혁신시스템 협력 네트워크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Ju, Seong-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5
    • /
    • pp.107-11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creative innovation systems. The effect that cooperation network factors of innovation system in telecommunications sector called typical knowledge industry have on technological innovation was examined. We used the Korea Corporate Innovation Survey (KIS) Data for this study, it has to apply the OECD NESTI-WPIA methodology for probit analysis. The analysis deriv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cooperation between the principal innovations in the telecommunication information generally have a positive impact on innovation. Second, cooperation with private institutions have an important role in technological innovation. Third, the various cooperation exerts a positive impact on innovation and has a greater impact on practical innovation in a low creativity level. With this result, it seems that our technological innovation policy should follow a direction of building corporatist-type system to establish cooperation promotion, privately led innovation, and a variety of opinions.

Living Lab as Transition Arena: Case Analysis and Implication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시사점)

  • Seong, Ji-Eun;Park, I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5.11a
    • /
    • pp.907-926
    • /
    • 2015
  • 현재 우리나라 혁신시스템은 기존의 성장 및 기술공급 위주의 발전전략이 한계를 노정하면서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에 새로운 혁신 경로 창출을 위한 과학기술 ICT 정책 패러다임 전환은 물론 지속가능한 에너지, 농업 농촌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시스템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 ICT와 에너지 환경 등 관련 분야 간의 연계 통합은 물론, 기술이 활용 확산되는 현장이나 사회, 사용자의 이해가 더욱 중요해진다. 리빙랩은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혁신모델이자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의 니치 실험으로서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ICT가 에너지 전환, 농업 농촌 시스템 전환, ICT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에 적용된 리빙랩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유럽의 SusLab 프로젝트, C@R 프로그램, 대만의 리빙랩 사례 모두 사전기획 단계부터 지역 사용자의 배경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사용자 주도의 혁신활동을 개발프로세스 전반에서 유지함으로써 적실성있는 문제해결은 물론 다양한 전환 실험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R&D사업에서 각각 리빙랩의 도입을 검토하는 우리나라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리빙랩은 국가 또는 지역 전반의 사회 기술시스템의 전환을 위한 전략적 니치 실험, 정책 간 연계통합의 수단, 새로운 지역혁신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혁신정책 패러다임에서 강조하고 있는 사용자 및 수요 측면을 반영한 정책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 될 수 있다.

  • PDF

Innovation System of a Theme Park: A Case Study of Everland in Yongin, Korea (테마파크 에버랜드의 혁신시스템)

  • 최정수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277-29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system of a theme park,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a theme park through looking at Everland in Yongin, Korea. Everland had relatively the strong networks with in-house, customers, and suppliers, while it had the weak networks with competitors and universities. The innovation information network is constructed among in-house innovation actors; while, the level of interactive learning is low. So the innovation barriers exist; namely, the insufficiency of information exchange, the lack of roles of intermediate organizations, and the gap of R&D and practices. The cooperation and trust should be accumulated to overcome the barriers of innovations. Therefore, Everland should strengthen the networks with in-house innovation actors, and diffuse the cooperation and trust outwards. To maximize the synergies, Everland should construct the networks of innovation actors in a region (Regional Innovation System). To construct Regional Innovation System, first, Everland should construct the close and horizontal cooperation relationship with related firms, and intensify the innovation capacity through learning by interacting. Second, Everland should diffuse the principle of win-win through cooperation and compet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