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혁신수행력

Search Result 18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haracteristics of Firms Related to the Products for the Elderly: Sectoral and Spatial Policy Implications with the Exploration of the Types of Firms (고령친화용품산업의 현황과 특성: 기업 유형별 탐색을 통한 산업 및 공간 정책에의 시사점)

  • Park, Sam-Ock;Koo, Yang-Mi;Jin, Jong-H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1
    • /
    • pp.1-18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related to products for the elderly. The data are based on statistics,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s related to the industry. Firms are classified into $3\times3$ matrix with the indexes of innovation performance and network participation. The former is measured with the number of patents and the latter is evaluated by the degree centrality of firms' network in the industries. Combining the previous indexes with other properties, the 9 categories are merged into 5 types: 'High Performance-High Centrality' (HP-HC), 'Network Leader-Low Technology Manufacturer' (NL-LTM), 'Network Leader-Distributor' (NL-D), 'High Performance-Network Outsider' (HP-NO), 'Low Performance-Isolated' (LP-I). Finally, sectoral and spatial policy implications are explored with the results of analysis.

  • PDF

An Establishment of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for Sports R&D (전주기 개념의 스포츠산업 기술혁신체계 구축 방안)

  • Rim, Myung-Hwan;Koh, So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93-194
    • /
    • 2015
  • 스포츠에 과학기술 적용이 확산되고 경기력 향상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스포츠산업 기술혁신체계는 단계별 연계성 부족, 전담기관 부재 등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전 기술기획으로 스포츠산업 기술정책비전, 메가트렌드 및 기술수준격차 분석 등을 수행하는 기술기회탐색과정을 추가하고 기술기획, 선정평가, 수행관리, 결과평가, 활용관리에 이르는 전주기 개념의 기술혁신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방향

  • Lee, Seong-Gwon
    • LOGISTICS
    • /
    • s.16
    • /
    • pp.37-39
    • /
    • 2006
  • 지난 3월 25일 제5회 한국로지스틱스 대상 수상식에서 건설교통부 물류혁신본부는 국가 물류혁신에 기여한 공을 인정 받아 대상을 수상했다. 건설교통부 물류혁신본부(본부장 이성권)는 지난해 9월 발족 이후 건교부가 주로 담당해온 물류인프라의 확충 등 하드웨어적인 시책뿐 아니라, 물류산업 육성, 물류인력 양성 등 소프트웨어적인 시책을 집중적으로 추진, 국제 · 국내 물류, 민 · 관 · 학 분야를 포괄하는 물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종합적 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물류혁신본부는 물류기업 경쟁력 향상과 제3자 물류 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종합물류기업인증제를 도입,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으며 현재 부처별로 분산되어 있는 물류정책을 통합조정하기 위하여 물류정책기본법, 물류시설법 제정을 추진 중에 있다. 물류혁신본부의 수장인 이성권 물류혁신본부장은 지난 4월 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조찬간담회에 연사로 참석하여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하였다. 이에 그 내용을 요약 게재한다.

  • PDF

해양수산 투자연계사업 및 민간 VC 등의 투자활성화를 위한 투자용 기술력평가 모형 개발

  • Kim, Kwanghoon;Ahn, Minho;Seo, Juhwan;Kim, Sang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73-18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해양 및 수산 분야의 투자용 기술력평가모형 개발을 위하여 민간 VC투자 활성화를 위한 평가기법 선행조사를 수행하며, 국내 관련 전문기관 등의 기술투자 관련 기술력평가 모형개발과 활용수준 등을 조사하고, 해외 관련 전문기관의 기술평가모형 현황에 대한 조사·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투자용 기술력평가 모형의 용도와 방향 설정을 위하여 국내 기술투자 관련 전문가 그룹을 활용하여 기술공급자와 수요자 관점에서의 견해를 반영한 투자모형의 용도와 방향설정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술투자 목적의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기술투자자 입장의 평가결과 유효성 검증을 통해 평가결과의 실무적 활용성을 제고시키고자 한다. 기술보증기금에서 개발한 기존의 투자용 기술력평가 모형이 많은 타 기관에 파급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활용수준이 미미한 점을 검토하여 VC의 투자의사결정 요소에 관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해양수산분야 투자용 기술력평가 신규모형을 설계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imulation-based technology evaluation model reflecting the specificity and uncertainty of marine fisheries industry and its case study (해양수산 산업의 특수성과 불확실성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기술력평가 모형개발과 시범사례 연구)

  • Ahn, Minho;Kim, Kwanghoon;Seo, Juhwan;Kim, Sang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289-303
    • /
    • 2017
  • 기술력평가는 기술사업화 주체가 기술을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기술성 평가기관들이 각자 독자적인 평가 모형을 활용하여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개발된 해양 및 수산 산업 분야의 기술력 평가모형은 타 산업 대비 열악한 기술개발 환경과 연구개발 성과를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해오면서 기존의 평가체계 내에서는 많은 평가대상 기술들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오고 있었다. 이러한 것은 기존 평가체계가 타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공통적인 평가지표와 평가척도를 유사 또는 동일하게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인식되었고, 또한 해양 및 수산 산업의 특수성이 반영되지 않은 평가체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존 평가체계를 해양수산 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체계로 개선하여 해당 산업에 특화될 수 있는 평가체계를 새롭게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기존 평가지표의 개선, 시뮬레이션 기반의 평가척도의 재설정 방법과 평가등급 산출방법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선된 기술력평가 체계를 활용하여 시범사례평가를 수행하여 기존 평가체계를 통한 평가결과의 Gap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PDF

전문성을 심화하는 기술혁신시스템

  • 노환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87-302
    • /
    • 2003
  • 우리나라의 산·학·연 기술혁신시스템을 점검하고 문제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대학의 문제점으로는 교수인력의 유동성부족과 비경쟁체제를 지적하였다. 출연연은 기능을 공공문제해결로 전환해야 하며, 연구원신분의 안정을 지적하였다. 산업계의 R&D 능력의 제고를 위하여, 정부의 유인책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과학기술 담당부처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공공부문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하며, 종합조정의 범위확대, 평가시스템의 투명화, 연구관리의 전문성 보강, 기술분류를 통한 연구관리 그리고 과학산업의 육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일들이 제대로 수행되려면 공무원의 전문성이 보강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산·학·연 및 공무원의 전문성제고가 우리 경쟁력제고의 가장 중요한 방향이라고 제기하였다.

  • PDF

한국디자인진흥원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82
    • /
    • pp.18-19
    • /
    • 2005
  • 디자인 진흥을 통한 수출 구조의 개선을 목표로 설립된 한국디자인진흥원은 책임과 신뢰를 바탕으로 국내 디자인 산업 발전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를 맞아 감성과 문화가 중요한 국가 경쟁력이 되고 있는 가운데 벤처기업의 디자인 혁신에 힘을 실어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 PDF

R&D Process Improvement based on ISO 9001:2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에 기반한 R&D 프로세스 혁신)

  • Hwang Young-Ha;Park Sa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308-316
    • /
    • 20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은 2002년에 국제표준으로 널리 통용되어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여 현재까지 유지하여 오고 있다. ETRI의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 도입 목적은 대외적으로는 연구개발 경쟁력 향상과 고객만족 증진이고, 대내적으로는 연구개발 업무 수행의 체계적이고 공통된 틀을 제공하는 R&D 표준프로세스의 정립과 이의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한 연구개발 수행 활동의 효과 성과 효율성을 제고하여 최종적으로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연구개발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ETRI가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을 R&D 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기반시스템으로 활용한 접근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를 위해 연구개발 업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의한 R&D 프로세스 모델 및 그 활용체계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Impact of Innovation Cluster Activating Factors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ing on the SMEs Case of Daedeok Innopolis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덕연구개발특구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Park, Hwogeun;Bae, Kwanpy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4
    • /
    • pp.149-163
    • /
    • 2023
  • The policy of promoting innovation clusters aim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es by strengthening the linkages between industry sectors and research sectors in specific regions. In Korea, after the concept of innovation clusters was introduced by the OECD in 1997, Korean government actively pursued policies based on this concept in the fields of industry, reg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Previous policies and research on the activation of innovation clusters have tended to focus on the exchange and collaboration among members.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es and regions, in other words,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which is the fundamental reason for fostering innovative cluster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factors activating innovation cluster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Es located in the Daedeok Innopolis. To achieve this, based on the essential concept of innovation clusters such as industrial agglomeration factors, networking factors, innovation generation factors, the study derived factors for activating innovation clusters and verified hypotheses using the survey results of 175 companies. Among the factors activating innovation clusters,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innovation gener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However, networking factors were analyze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This study differentiates itself by addressing the factors for activating innovation clusters through empirical analysis, unlike previous case-based studies. Furthermore,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intuitive judgments on networking factors in innovation clusters and their actual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study raise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conducting a comprehensive examin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socially and culturally embedded structures in the region,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industries, and the needs of cluster members, to develop more effective policies for innovation clusters.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ore Competencies and Value Innovation Strategies on Business Performanc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제조기업의 핵심역량 및 가치혁신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ho, Hyung-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4
    • /
    • pp.155-16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impa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when it pursues resource based production strategies, nurtures core competency, develops core product lines and innovate its business models as part of a strategy of value innovation and to validate how the nurturing core competency can have an impact on the execution of the value innovation strategies. This paper confirms that there is a structural relationship, which is logically and conceptually valid, among the core competence, value innovation strategie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companies. In order to maximize the business performance which is the eventual objective of a company, it must strategically nurture its core competence, which will be a main driver of the future competitiveness and diversify its management based on the value innovation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