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헤어미용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8초

모던걸 헤어스타일의 구성요소와 사회적 여성성과의 상관성 연구 - 미용학 전공 여대생 관점으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Modern Girl Hair Style and Social Feminine Performance)

  • 박장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45-350
    • /
    • 2020
  •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타인과 경쟁 시 우위를 점하는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사회생활에서 간과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정보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현대사회는 당당하고 독립적인 인생 설계를 위한 진취적 자조론(自助論)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역량을 겸비한 여성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1920, 30년대 봉건적 사회 분위기 속에서도 독립적이며 자주성을 표출한 모던걸이 구사하던 헤어스타일의 앞머리 커트, 아웃라인 표출, 층 단차, 질감 변화 등 구성요소들과 사회적 여성성(女性性)과의 상관성을 미용학 전공 여대생들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현대 여성의 자립과 사회적 역할을 견고히 확립할 수 있는 참신하고 혁신적인 헤어 트렌드의 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현대사회 여성리더의 사고(事故)와 심리에 대한 표준화를 도출하며, 창조적인 미(美)의 발현을 통해 개인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는 사회 주체로서 자주적 여성성의 정립을 위한 초석(礎石)을 다질 것으로 사료된다.

헤어숍 브랜드신뢰가 충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인지정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Hair Shop Brand Trust on Loyalty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Brand Awareness)

  • 김영희;양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519-528
    • /
    • 2020
  • 본 연구는 미용업체에 대한 브랜드 신뢰가 소비자 충성행동으로 이어지는 관계에 관한 연구로 브랜드신뢰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브랜드 인지정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설문대상은 헤어미용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이며, 2019년 12월 15일부터 2019년 12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288부의 응답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1.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헤어숍 브랜드 신뢰는 전문성, 호의성, 정직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분석결과 전문성은 경제적 충성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직성은 경제적 충성행동과 사회적 충성행동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호의성은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브랜드 인지정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전문성과 정직성은 사회적 충성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쟁 환경 속에서 헤어숍의 브랜드 신뢰와 고객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년 탈모 여성의 헤어 증모술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ddle-aged Hair Loss Women's Hair increased Techniques on Quality of Life)

  • 최묘선;장창곡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75-183
    • /
    • 2020
  • 탈모인들은 자신의 이미지 개선과 자신감 극복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중 탈모를 위해 착용하는 가발에 대한 수요와 인식의 변화는 좋아지고 있으나 가발 자체의 탈모, 탈색, 엉킴 현상이 발생하고 부자연스러운 헤어 스타일링과 가발 착용에 드는 소요 시간 등 불편한 부분들이 있어 이를 개선한 새로운 시술방법으로 헤어 증모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자신의 모발에 인모 가닥을 엮어 증모시키는 헤어 증모술을 통해 중년 여성 탈모인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자는 중년 탈모여성으로 증모 전, 후 삶의 질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헤어 증모술이 중년 탈모 여성의 경제적 만족도, 신체적 만족도, 정신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헤어 증모술이 중년 탈모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증모 후 만족도와 재시술 의향도 높아 뷰티 시장의 블루오션인 헤어 증모술을 통해 고부가 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우리나라 미용 정보화에 대한 분석과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and Analysis of Beauty Information in KOREA)

  • 박대우;강남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3-2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2004년 7월 31일 우리나라의 미용정보화 실태에 대해 조사 분석한다. 미용의 3대 주체에 대한 웹 서비스 조사에서, 교육기관 363개 중 정규교육기관은 100%, 사설 직업교육기관은 15.5%, 재료상 767개 중 8.74 %, 미용실 77,546개 중 0.38% 이었다. 소프트웨어는 12개의 미용고객관리 프로그램업체와 3개의 헤어기술 프로그램이 있었다. 미용기술을 보유한 전임교수의 부족으로 미용기술 정보화 자료 및 부가가치의 창출은 낮았다. 따라서 미용장협회와 보건복지부가 미용정보화 협의체를 구성하여, 미용주체별로 홈페이지를 연결하고 미용기술 자료의 웹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미용정보 시스템의 통합화 및 공유화는 우리나라 미용에 대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 PDF

미용업 종사자의 사고재해 경험 및 사용제품의 안전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eri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Level for Beauty Product Safety of Beauty Industry Employee)

  • 최순영;허국강;박동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2년 추계학술대회
    • /
    • pp.385-392
    • /
    • 2012
  • 본 연구는 미용업 분야를 헤어, 네일, 피부, 메이크업으로 나누어 사고재해 실태와 사용 제품에 대한 안전 인식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근무하는 사업장의 작업 시 발생하는 유해요인으로는 분진, 근골격계, 화학물질 함유 제품의 유기용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난 1년 동안의 사고 및 재해는 26.3%가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고나 재해의 종류로는 베임, 인대 늘어남, 하지정맥류 등의 근골격계 이상이 가장 많았다. 미용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품의 화학물질 함유에 대한 인지도는 77.2%, 중금속 함유에 대하여 인지도는 59.1%로 나타났으며, 미용업 관련 제품의 표시사항(성분, 주의사항 등)에 대한 확인 여부는 '중요한 내용만 확인'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화학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인지여부는 88.8%가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대한 인식도 및 사업장의 비치 여부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안전교육의 필요성은 73.6%로 높게 나타나 안전 교육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미용업 전반에 대한 사고재해 실태 및 안전의식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미용업 근로자의 안전의식 고취와 정책적 안전관리 방안, 근로자 건강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 황선아;황선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45
    • /
    • 2001
  • 다양해지는 소비자들의 패션에 대한 개성적 표현 욕구에 따라 우리나라 미용산업은 헤어, 메이크업과 피부미용, 네일케어 분야로 전문화.세분화되면서 토탈 패션산업의 주요영역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 한 토탈 패션의 등장으로 미용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로 양적으로는 상당히 그 규모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버스 품질에 대해서는 고객들에게 확실한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국내 미용업계가 미용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에서 일방적인 서비스를 창출하여 왔고, 고객이 바라는 서비스의 내용과 품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실의 서비스품질의 구성 요인을 확인하고. 미용실의 서비스품질과 소비자 만 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ulcorner 둘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 중 소비자 만족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중요한 서비스 품질 결정요인은 무엇인가\ulcorner 본 연구를 위한 예비조사에서는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결과 프랜차이즈 미용실, 시내중심가 미용실 그리고 집.직장 근처 미용실의 3가지 유형의 미용실은 그 규모나 소비 자 인식이 상이하여 미용실의 서비스품질 차원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조사에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대상은 서울 지역의 3가지 유형의 미용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중 2 20-30대의 주요 고객층으로 정하였고 편의 표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s 외 alpha값을 활용하였고, 미용실의 서비스품질 차원의 개념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LISREL을 이용한 확인 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용실의 유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one-way ANDV A)을 실시하였으며, 서비스품질 속성들 중 소비자 만족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는 물리적 서비스(유형성, 접근성, 청결성), 판매원 관련 서비스(감정배려, 능력), 정책관련 서비스(점포운영, 명성, 신용카드) , 미용기술관련 서비스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들에 있어서 점포 유형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응답자들은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서버스 품질에 가장 만족했으며, 시내중심가 미용실과 집근처 미용 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실의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일을 살펴보면, 프랜차이즈 미용 실은 청결성($\beta$ =.30), 감정배려($\beta$ =.54), 명성($\beta$ =.60),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beta$ =.68)이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시내중심가 미용실은 청결성($\beta$ =.39), 직원의 능력($\beta$ =.49), 명성($\beta$ =.59),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beta$ =.68)가 서비스 결정 요인이었고, 집근처 미용실은 청결성($\beta$ =.27), 감정배려 ($\beta$ =.57), 명성($\beta$ =.73),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 ($\beta$ =.60)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미용실의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인은 청결성, 감정배려, 명성, 상품관련 서비스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적 의미는 그 동안 개발된 소매점이나 패션점포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기척도를 우리나라 미용실에 적용해 봄으로써 미용실의 특성인 유행성, 청결성, 미용실의 명성, 직원과의 친분 등을 포함한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 차원과 그 신뢰성 과 유용성을 입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실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각 미용실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인들을 통해서 좀 더 나은 미용서비스를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전략 을 수립할 수 있다는데 실질적 의미를 지닌다.

  • PDF

빅데이터와 딥페이크 기반의 헤어스타일 추천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Hair Styl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and Deepfakes)

  • 김태국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3-19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와 딥페이크 기반의 헤어스타일 추천 시스템 구현에 관해 연구하였다. 제안한 헤어스타일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사진(이미지)을 바탕으로 얼굴형을 인식한다. 얼굴형은 타원형, 둥근형, 장방형으로 구분하며, 얼굴형에 잘 어울리는 헤어스타일을 딥페이크를 통해 합성하여 동영상으로 제공한다. 헤어스타일은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신 트랜드(trend)와 얼굴형에 어울리는 스타일을 적용하여 추천한다. 이미지의 분할 맵과 Motion supervised Co-Part Segmentation 알고리즘으로 같은 카테고리(머리, 얼굴 등)를 가지는 이미지들 간 요소를 합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헤어스타일이 합성된 이미지와 미리 지정해둔 동영상을 Motion Representations for Articulated Animation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동영상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가상 피팅 등 전반적인 미용산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거울에 사물인터넷 기능 등을 적용하여 헤어스타일등을 추천해주는 스마트 거울을 연구할 예정이다.

헤어미용 실무자들의 자기 기술력 인식정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Beauty Artists' Perception Degree about Self-Technic)

  • 이계숙;나영순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6-56
    • /
    • 2004
  •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research regarding Beauty Artists' perception degree about self-Technic. Therefore by grasping the field which the beauty artists recognize the insufficiency while they perform their task, the result which executed a question investigation for 430 workers at the beauty shops which are located in the Jeollabuk-do area is the same following. As a result on the subject, after the beauty artists receive a fundamental beauty care education, and when they are engaged in a real beauty care shop, in order not for them to have difficulties in business accomplishment, more realistic and active curriculum has to be made up. To do like this, more researches and more efforts in the center of the beauty care group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re demanded. In addition, so as to grow as the expert of the beauty care artist, the systemic and intern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which considers the curriculum contents, a time and the place must be provided, by developing as levels and steps of the beauty artists.

  • PDF

미용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ployment Stress on Cosmetology Students Occupation Decision and Job Hunting Behavior)

  • 문소희;공차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5-33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to cosmetology student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career decision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s. Overall 214 parts were empirically analyzed as final samples. Collected data and statistical processing are based on SPSS v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21.0 program.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job stress on career decision showed that employment anxiety (β= .206, p<.05), job anxiety(β=.824, p<.05), and anxiety in career search(β=.118, p<.05)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However, employment concerns(β=-.312, p<.001) in career determination and employment concerns(β=-.223, p<.01) in career sear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s(-).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employment stres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und that employment anxiety(β=.364, p<.05)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use preparation, It was foun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 affects employment anxiety(β=-.188, p<.01). The study found that the more anxious cosmetology students are about employment, the more they plan and explore career options, and make information-based preparations for employment.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re will be lively discussions among cosmetology students on career adaptability,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anxiety.

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 여성들의 헤어커트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Haircut Preference of Korean Women in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손광현;박장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11-316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여성들의 헤어 트랜드 정립화에 기여하고자 연령, 학력, 결혼 여부, 직업군, 월평균 소득, 거주지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요인들에 따른 헤어커트의 선호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 배포 후 수합된 305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그레쥬에이션 형태를 많이 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각각 상이(相異)하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성 헤어커트의 형태와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 여성들의 세련되고 혁신적인 헤어 트랜드 정립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여성 본인에게 부합되는 가장 이상적인 헤어스타일을 찾을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하고 창조적인 뉴 모드의 헤어스타일에 대한 개발의 시발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헤어미용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여성의 개성을 뚜렷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로 적극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