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허용응력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31초

숏크리트 거동에 대한 갱도모형실험과 수치해석의 비교

  • 유광호;이민호;박연준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2-121
    • /
    • 2007
  • 지보재의 파괴가 고려된 터널의 안전율을 산정하기 위해 허용응력 설계법에 기초하여 숏크리트 내에 발생하는 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면 숏크리트가 파괴된다고 가정하고, 전단강도 감소기법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적(2차원)으로 구하는 방법이 유광호 등(2005)에 의해 제시되었다. 하지만 허용응력 설계법에 근거한 방법은 숏크리트의 허용 휨응력을 과소평가하여 터널의 안정성 및 안전율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숏크리트의 파괴거동을 갱도모형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3차원 수치해석에 의해 검증하였다. 갱도모형실험에 사용된 터널은 실제 터널의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폭 3.3m, 높이 2.9m, 깊이 0.5m의 마제형으로 제작되었다. 지보재인 숏크리트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타설하고 28일간 양생하였고 7개의 실린더와 30cm의 모래 뒷채움을 이용하여 지보재에 최대한 등방하중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가압기 지지대 볼트 연결부의 건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The Assessment for Coupling Integrity of Pressurizer Support Bolting)

  • 조남진;김우창;김학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26-31
    • /
    • 2013
  • 원전의 가압기 지지대에 사용되는 볼트는 설계 시 안전율 측면에서 충분한 경도의 볼트를 사용하지만, 현장실사를 통해 허용 경도 범위를 초과하는 볼트가 일부 확인되었다. 이러한 높은 경도의 볼트는 응력부식 및 재료의 파괴인성이 취약하고, 가압기는 부식에 취약한 환경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사를 통해 원전 가압기 지지대에 사용되는 볼트의 경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통해 응력부식과 부재의 파괴인성에 의한 균열을 제한할 수 있는 최대 허용응력을 계산하였다. 또한 정상운전 및 사고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지지대 볼트의 응력을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사용하여 예측하였고, 이 응력이 응력부식을 제한할 수 있는 최대 허용응력 내에 있는 지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정상 및 사고운전 조건에서 볼트의 응력은 응력부식에 대해 허용응력 안전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가압기 지지대의 구조물 체결방법을 체결 절차에 반영하여 정비 시 가압기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검토가 필요하다.

터널 유지관리계측의 응력 관리기준치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tress limit values of management monitoring in tunnel)

  • 우종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5-32
    • /
    • 2015
  • 본 논문은 터널 유지관리계측의 응력 관리기준치 설정에 대한 연구로 계측 초기에 설정된 지하철계측 초기 관리기준치를 토대로 서울지하철 6,7,9호선 7개 대표단면의 콘크리트라이닝 응력, 콘크리트라이닝 철근응력, 콘크리트라이닝 내공변위에 대하여 약 5년에 걸친 계측 실적을 분석하고, 국외 계측관리기준을 비교하여 향후 터널 유지관리계측에 적용할 응력 계측관리기준치 설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향후에 터널에 적용할 유지관리계측의 응력 관리기준치는 국내적용 계측관리기준치와 국외적용 계측관리기준치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안전단계는 허용응력의 60%, 주의단계는 허용응력의 80%, 정밀분석단계는 허용응력의 100%로 실무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절대치에 의한 계측관리방법을 제안하였다.

국산 침엽수재의 육안 등급구분방법 및 허용응력설정에 관한 총설 (Review of Visual Grading and Allowable Stress Determination Methodologies for Domestic Softwood)

  • 공진혁;정기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25-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산 침엽수재의 육안 등급구분과 허용응력설정에 관한 국내의 학술논문을 정리하였다. 국립산림과학원 고시(KFRI 1995-27, KFRI 2000-39, KFRI 2007-3, KFRI 2009-1)를 활용하여 국산 낙엽송재의 육안 등급 구분한 연구를 비교한 결과 등급구분 비율이 연구자마다 상이했다.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등급구분 분류를 위해서 공증된 목재이용 기관에서 숙련된 연구자에 의한 등급구분을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허용응력설정에 관한 연구를 고찰한 결과, 연구자 마다 허용응력산출 방법이 ASTM D 245, KS F 2152, JAS 1990으로 모두 상이했다. 이는 침엽수 구조용재(KS F 3020)에서 기준허용응력을 제시하고 있지만 허용응력을 산출하는 명확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식적인 허용응력 결정방법이 제정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SSC 합성거더 교량의 비선형 거동 분석 및 신뢰도 해석 (Analysis of Nonlinear Behavior and Reliability of PSSC Composite Girder Bridge)

  • 황철성;백인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58-166
    • /
    • 2008
  • 프리스트레스하중이 작용되는 강합성교인 PSSC 교량에서 프리스트레스의 효과와 단면의 변형에 따른 텐돈의 변형의 영향을 밝히기 위해 사하중 및 활하중이 작용될 때 합성전 후에 발생하는 부재내의 변형도 및 응력변화와 허용응력 한계상태, 항복응력 한계상태 및 강도한계상태의 단면력과 부재내의 변형도 및 응력변화를 구한다. 또한 거더의 처짐 및 응력과 휨강도를 변수로 하는 한계상태들을 가정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수행한다. 허용응력에 맞추어 설계한 예제 단면의 응력에 대한 신뢰도 지수가 0 부근임에 비하여, 처짐 및 휨강도에 대한 신뢰도 지수는 높은 값을 주고 있어서 도로교설계기준의 허용응력에 대하여 설계한 PSSC 거더는 처짐 및 휨강도에 대하여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기철도 전차선로 지지물 강관주와 강관빔의 연결부 검토 (Consideration on joint steel poles and beams for cartenary lines)

  • 송중호;조근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4-1340
    • /
    • 2004
  • 종래의 앵글 조립재와 철주빔의 연결방법을 검토하고 강관주와 강관빔의 연결시 종래의 앵글보다 우수한 점들을 열거하며 연결부분의 모멘트 등을 검토하여 경제적인면 등의 우수성을 보여줘 장래에는 조립빔보다 강관빔으로 교체하는 것이 철도의 경제적인 면이나 유지보수적인 측면에서 유리함을 보여준다. 종래의 수계산에 의존하거나 외주에 의거하여 계산되어졌으나 마이다스아이티사의 CIVIL프로그램을 응용하여 계산한다면 충분히 자체적으로도 강도계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단력과 허용인장응력, 허용휨압축응력, 허용전단응력등을 검토하고 이에따라 합성응력을 검토하여 강관주의 안전성을 보여준다. 또한 연결부의 사용볼트 및 볼트 허용인장강도, 전단강도, 축력, 전단력, 모멘트등도 검토하고 나아가 전철주 기초의 base plate 연결부위도 검토한다.

  • PDF

LNG 연료 선박용 FGSS의 고압 기화기와 출입구 배관에 대한 구조 건전성 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of the HP vaporizer and pipes of LNG fuel gas supply system)

  • 김창수;윤주환;이창준;하만영;조종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9호
    • /
    • pp.780-785
    • /
    • 2016
  • 선박의 연료로 이용되는 중유는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유해가스를 배출한다. 이를 저감하기 위해 친환경선박으로 표현되고 있는 녹색선박이 등장하게 되었고,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선박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 논문에서는 LNG 선박에 사용되는 극저온 환경에서 고압 하중을 받는 기화기와 출입구 배관의 구조 건전성을 ASME 코드에 따라 평가하고 실용화한 최초의 사례이다. 기화기와 배관은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기화기는 등가응력을 바탕으로 ASME Section VIII Division 2에 제시된 허용응력과 비교하여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배관은 성분별 응력을 조합하여 ASME B31.3에 제시된 허용응력과 비교 및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하중에 대한 구조물들의 응력 결과는 허용응력 범위 이내에 있으므로 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운행 중인 2-Arch 터널의 피난연결통로 신설을 위한 중앙벽체 굴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cavation of the Center Wall for the Evacuation Passageway in the Operating 2-Arch Tunnel)

  • 이종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54-464
    • /
    • 2021
  • 연구목적: 기시공되어 현재 운행 중인 2-Arch 터널에 대하여 피난연결통로 신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벽체 굴착에 따른 터널 및 벽체 거동 분석과 안정성 분석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2-Arch 터널과 피난연결통로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3차원의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통하여 터널 및 벽체의 거동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양한 지반 조건을 변수로 하여 암반 등급에 따른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중앙벽체의 변위와 응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앙벽체 굴착 시 개구부 중앙에서 가장 큰 침하량을 보였으며, 응력은 첫 번째 굴착 시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개구부 양 상단에서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으며, 허용응력 개념을 고려한 안정성 검토 결과 허용응력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터널의 천단변위는 허용기준치 내로 안정성을 확보하였지만, 발생응력은 허용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공 시 적절한 보강공법을 적용하여 갑작스런 응력 해방에 대한 방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SME B&PV Code Section III NB-3200의 규정에 따른 응력해석 결과 후처리 통합 Program

  • 남궁인;김인용;조충희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995-1000
    • /
    • 1995
  • ASME B&PV Code Section III NB-3200의 규정은 원자로 관련 1등급 부품의 설계시 지켜야할 사항이다. 이 규정은 운전조건별로 허용응력에 대한 분류를 하여 허용한도를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응력해석시 이 규정을 적용하기 위해 해석결과의 검색, 추출정리, 추가계산 등 응력해석 후속작업을 위한 통합 program을 awk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이 통합 Program은 ASME에 규정된 응력별로 여러 개의 awk program module로 작성하였고 각각의 모듈을 통합하는 UNIX script file로 구성되어있다. 각각의 모듈은 독립된 batch 작업이 가능하고, 이것을 모두 연계한 batch 작업 역시 가능하도록 하였다. 문서작성시 도표작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처리결과가 하나의 디렉토리에 저장되도록 하였다.

  • PDF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에 대한 프레스식 관이음쇠의 내진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ismic Protection Performance of Press Fittings for Light Gauge Stainless Steel Pipes)

  • 백열선;남준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65-70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수계소화설비 배관에 적용되고 있는 스테인리스 강관용 프레스식 관이음쇠에 대한 내진성능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를 위한 설비의 구성은 NFPA 13의 배관연결방법으로 하였다. 배관의 허용변위량은 건축구조기준에서 제시한 허용량으로 하였고, 반복회수는 10회로 하였다. 실험 후 배관의 Von-mises 응력은 허용응력의 2.48, 1.25배로 NPPs Allowable Stress for Level D service loading의 "허용응력의 3배"인 기준 보다는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프레스식 관이음쇠는 내진성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