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향 연상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ecurity Requirements Analysis for construction of Secure Cloud Data Center (안전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보안요구사항 분석)

  • Byun, Yun-Sang;Kwak,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931-933
    • /
    • 2012
  • IT기술 및 인터넷의 발전으로 시 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및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융합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전환하여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Private Cloud Service)나 외부 기업 등에게 아웃소싱 하여 공개형 클라우드 서비스(Public Cloud Service)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환경은 기존의 IT환경에서 발생한 악성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해킹 및 유출과 같은 보안 위협이 존재하며, 새로운 보안 위협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보안요구사항에 대해서 분석한다.

Design of Context Information based Access Control Model in Cloud Environment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한 컨텍스트 정보 기반의 접근제어 모델 설계)

  • Byun, Yun Sang;Kwak,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723-726
    • /
    • 2013
  • 최근 IT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도래됨과 동시에 다양한 분야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융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데이터센터에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접목시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각기 다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데이터센터에 접근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되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게 된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시 공간에 관계없이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황이 자주 변경되며, 이에 따라 무분별한 데이터의 접근으로 인해 다양한 보안 위협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보안 위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그 상황에 따라 접근 여부를 결정하는 상황 인식 기반의 접근제어 모델을 제안한다.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with Improved Security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안전성이 향상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 Byun, Yun Sang;Kwak,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595-598
    • /
    • 2013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다양한 IT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수많은 사용자들이 같은 인프라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환경이다. 이렇게 수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악성코드 유포, 개인정보 탈취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이 많이 연구되고 있지만,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ee 등은 2-factor 인증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Lee 등이 제안한 인증 기법은 무결성, 기밀성을 보장하지 못하며, 도청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A New Design Method for the GBAM (General Bidirectional Associative Memory) Model (GBAM 모델을 위한 새로운 설계방법)

  • 박주영;임채환;김혜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4
    • /
    • pp.340-346
    • /
    • 2001
  • This paper proposes a new design method for the GBAM: (general bidirectional associative memory) model. Based on theoretical investigations on the GBAM: model, it is shown that the design of the GBAM:-based bidirectional associative memeories can be formulated as optimization problems called GEVPs (generalized eigenvalue problems). Since the GEVPs arising in the procedure can be efficiently solved within a given tolerance by the recently developed interior point methods, the design procedure established in this paper is very useful in practic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design procedure is demonstrated by simple design examples considered in related studies.

  • PDF

Design of BAM using an Optimization approach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BAM의 설계)

  • 권철희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0 no.2
    • /
    • pp.161-167
    • /
    • 200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method for BAMs(bidirectiona1 associative memories) which can perform the function of bidirectional association efficiently. Based on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about the properties of BAMs, we first formulate the problem of finding a BAM that can store the given pattern pairs as stable states with high error correction ratio in the form of a 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 Next, we transform the 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 into a GEVP(genera1ized eigenvalue problem), which can be solved by recently developed interior point method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illustrated via design examples.

  • PDF

Study on the Utilizing Methods of Spatial Information Education Based on the GIS Contents (신설도로건설 구간의 지형분석에서의 위성영상 적용실험)

  • Yeon Sang-Ho;Kim Joo-Il;Lee Jin-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138-14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으로부터 정사투영 영상을 제작하고, 지상의 기준점 측량을 GCP를 이용하여 실시하여 경도, 위도 고도의 참조좌표를 정확히 수집하였다. 1:5,000 지형도를 디지타이징하여 만들어진 등고선도를 DEM으로 변환하여 고도별 RGB영상으로 화면에 보여지도록 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제작된 정사투영 영상에 중첩해 봄으로써 제작된 정사투영영상의 정확도를 점검하여 수치지형도를 대신할 수 있는 3차원 영상지도를 제작하였다. 대상지역의 입체지형분석을 위한 3차원 입체 영상지도를 제작과 더불어 DEM을 이용한 지형의 경사도 분석과 방향분석, 지형표고모델, 다방향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차 국토계획 및 건설분야에서의 지형분석과 각종 구조물의 배치 및 관리, 하천 수계의 분포에 대한 댐 건설 최적지 선정, 도로계획선에 따른 각 방향의 조감도 제작, 토지 피복분류에 의한 토지이용과 지역개발계획 등 지역환경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볼 수 있는 활용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적용실험을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Korean-Chinese Residential Spaces of Wu-lin Village in Jiao-he, China (중국 오림향 조선족 주거공간에 대한 연구)

  • Jung, Yun-Sang;Lin, Jin-Hua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24 no.2
    • /
    • pp.35-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ts residential spaces through the analysis of exterior space and interior space at Wu-lin Village(烏林屯) in Jiao-he, China.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documentation, interview, residents, make a survey of these villages about immigration history, surroundings, topographical keynotes, administration system, residential number, residential style, site composition, etc. The residents moved from Yen-bien and Jiao-he in China etc. The ancestor moved from North of Gyeong-Sang Province in South of Korea, North of Ham-Gyeong Province in North of Korea etc. The main road divides the village into two parts: the north quarter, Wu-lin Village, typified by the Chinese house, and the south quarter, You-Yi Village(友誼村), typified by the Korean-Chinese house. The houses is compose of main building and an accessory building. The main building looking south. The vegetable garden is around main buildings. The main building is compose of an On-dol room(a hot-floored room) and a kitchen, a corridor etc.

Decision Support System fur Arrival/Departure of Ships in Port by using Enhanced Genetic Programming (개선된 유전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선박 입출항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Lee, K. H.;Rhee, W.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83-389
    • /
    • 2001
  • 된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LG 정유 광양항 제품부두는 7 선석(Berth)에 재화중량(DWT) 300톤에서 48000 톤의 선박까지 다양한 선박이 이용하고 있으며, 해상의 기상상태에 따른 선박 입출향 통제 지침 설정이 어렵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침의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현재의 부두 운영이 비효율적이거나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합리적인 부두운영 제한조건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대상 부두의 특성, 대상 선박의 특성, 하중상태, 선박 운항자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해상/기상 상황(바람, 조류 및 파랑)에 따른 부두 입출항 가능 여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고, 안전성 향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의사결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5번, 7번 선석을 대상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여기서는 입출항 여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서 유전적 프로그래밍(Genetic Programming)을 이용한 기계학습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GP의 방대한 계산량을 줄이기 위한 가중 선형 연상 기억(Weighted Linear Associative Memory: WLAM) 방법의 도입 및 전역 최적점을 쉽게 찾기 위한 Group of Additive Genetic Programming Trees(GAGPT)를 도입함으로써 학습 성능을 개선하였다.

  • PDF

Beverage Taste Perception Influenced by Its Turbidity: Results from Twenties and Thirties (탁도에 따른 음료의 미각 인지: 20, 3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 Kim, Taesu;Choi, Kyungah;Suk, Hyeon-Jeo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0 no.2
    • /
    • pp.3-10
    • /
    • 2017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ross-modal correspondence between the turbidity and taste of beverages. For an empirical study, we employed two types of achromatic beverages: rice wine and a soft drink. The turbidity of each drink varied between 0.0625~32 g/L, and 0.0078~4 g/L, respectively, and the stimuli were prepared in ten levels according to cognitive turbidity. In the study, participants (N=35) rated each drink stimulus using a 3-point Likert scale with regard to five basic tastes: sweet, salty, bitter, sour, and preferred. In addition, six specific tastes were included that deliberately describe rice wine and the soft drink. Three were yeasty, alcoholic, and astringent for the rice wine, and the other three were creamy, bubbly, and syrupy for the soft drink. Based on participants' assessments, the turbidity of rice wine i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five basic tastes. In contrast, the turbidity of the soft drin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ur only. Concerning preference, the most preferred turbidity of rice wine was 4.6~20 g/L, which is close to the turbidity of existing products on the market. Furthermore, except for astringent and syrupy, all tastes were influenced by the turbidity, which implies the potential of turbidity as a new visual parameter to communicate the taste experience of beverages.

Flavor Components of the Needle Oils from Pinus rigida Mill and Pinus densiflora Sieb & Zucc (리기다송(Pinus rigida Mill)과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잎 정유의 향기성분)

  • Choi, Kyoung-Sook;Park, Hyoung-Kook;Kim, Jung-Han;Kim, Yong-Taik;Kwon, Ik-Bo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0 no.6
    • /
    • pp.769-773
    • /
    • 1988
  • The needle oils of Pious rigida Mill and Pious densiflora Sieb & Zucc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major components of Pinus rigida were ${\alpha}-pinene$, 1-hexen-3-ol formate, sabinene, ${\beta}-pinene,\;{\alpha}-terpineol$ and ${\beta}-caryophyllene,\;{\alpha}-pinene$, bornyl acetate, ${\beta}-pinene$ and ${\beta}-hpellandrene$ were the major components fo Pious densiflora. Pious densiflora had sweeter and more greenish note than Pines rigida because the bornyl acetate content of Pious densiflora was about three times more than that of Pious rigid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