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향토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7초

포항 향토음식의 인지도 및 섭취빈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Intake Frequency of Pohang's Local Foods)

  • 백서영;장순옥;이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14-230
    • /
    • 2016
  • 본 연구는 포항시민들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적 특성과 섭취빈도 및 기호도를 조사 연구함으로써 향토음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마련하고, 앞으로의 효과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포항시민들의 포항향토음식에 대한 관심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고, 향토 음식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맛과 영양으로 나타났으며, 포항향토음식 발전에 가장 필요한 것은 조리법의 표준화 및 단순화로 나타났다. 또한, 포항향토음식에 대한 가치 인식은 건강과 관련된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고, 50대 이상과 거주연한 이 26년 이상으로 오래된 집단이 가장 높은 인지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포항향토음식의 섭취빈도 및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과메기", "물회", "구룡포대게", "회국수", "모리국수", "피데기오징어", "물곰탕", "홍치밥식해", "제사밥식해", "고래고기", "개복치", "두치찜", "문어회", "물가자미무침회", "물가자미조림", "물가자미튀김", "군수 소라산적", "생미역무침", "미역귀요리", "시금장", "부추요리", "부추달걀말이", "곡강시금치", "송이요리", "노란콩잎무침", "푸른콩잎장아찌", "푸른콩잎물김치", "포항해맞이빵", "검은돌장어요리", "고추찜", "고추잎나물무침", "산나물비빔밥", "도토리묵무침", "오이미역찬국", "동동주" 등 거의 모든 항목에서 50대 이상, 26년 거주이상 집단이 가장 높은 기호도와 섭취빈도를 나타내었고, 대체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연한이 길수록 높은 기호도와 섭취빈도를 나타내었다. 향후 포항향토음식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홍보에 힘써야 할 것이며, 전문 판매점을 보급시킴과 동시에 전통의 맛을 유지하면서 현대감각에 맞게 개발하고 보편화시켜 세계적인 음식으로 만들고, 신세대의 입맛에 맞게 조리법의 변형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인지와 고객 행동에 관한 연구 - 제주 방문 관광객의 고객 만족, 재방문, 구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stomer Behavior and Recognition of Jeju Regional Cuisine - Focusing on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 among the Tourists in Jeju -)

  • 안학영;전효진;양태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107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도에 찾아 온 관광객을 대상으로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홍보의 정도와 인지를 파악하여 고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이다. 조사한 자료에 대한 분석 방법은 SPSS+/WIN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분석(frequncy analysis) 및 기술 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향토음식 메뉴 중 인지도도 낮고 만족도도 낮은 것은 지속적인 홍보와 조리 방법의 변화 그리고 이를 통한 신메뉴 개발을 통해서 인지도 만족도를 높이도록 관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만족도가 높은 것은 조리방식에 있어서 구이, 조림, 회 등을 주로 만족하는 메뉴로 나타나 이에 대한 조리법의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홍보는 고객 만족과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고, 인지는 고객 만족, 재방문, 구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인지할 수 있는 교육 체험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바탕으로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정보의 취득은 주변 사람의 추천이나 소문이 가장 크므로 홍보를 제주를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도민을 상대로 한 홍보도 많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차후의 연구과제로 도민을 대상으로 한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인지 및 홍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지역의 음식문화를 관광 상품화와 축제로 발전하기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제주도 향토자원을 활용한 스파산업 육성방향 (Promotion Directions of Spa Industry Using Local Resources in Jeju Island, Korea)

  • 윤혜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69-78
    • /
    • 2013
  • 세계적인 월빙 및 웰니스 붐에 따른 건강 치유를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정착과 21세기 최고의 유망 서비스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의료관광 및 웰니스관광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제주도의 향토자원을 활용한 스파산업 육성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스파산업 육성에 활용할 수 있는 제주도의 향토자원은 자연환경, 광물자원, 수자원, 생물자원, 농산물, 민간요법의 6 종류의 자원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제주 향토자원을 활용 가능한 여러 가지 스파 트리트먼트 중에서도 제주를 상징할 수 있는 차별화된 스파 트리트먼트 즉, '제주 특화 스파 트리트먼트'로 개발이 가능한 것은 12가지로 판단되었다. 즉, 자연환경을 활용한 딸라소테라피, 광물자원을 활용한 스톤테라피 검은 모래찜질 화산회토를 이용한 온돌요법, 수자원을 활용한 탈라소테라피 음용요법 하이드로 테라피, 생물자원을 활용한 약초/한약재 찜질 삼림치유, 농산물을 활용한 스파퀴진, 민간요법을 활용한 얼굴미용 질병치유 및 건강증진 식이요법이다. 상기와 같은 12가지 스파 트리트먼트를 '제주 특화 스파 트리트먼트' 개발 활용하기 위해서는 향토자원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와 더불어 제품화 연구와 임상시험을 통화 효능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개발된 스파 트리트먼트를 고객의 성향과 요구와 스파유형 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표준화 및 매뉴얼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제주 스파산업이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관광 및 웰니스관광과 연계와 더불어 창업 및 경영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향토음식점의 운영 형태와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 전주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s of Local Restaurant Management and the Activation of Food Tourism - Focused on Jeonju Area -)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58
    • /
    • 2009
  • 최근 생활수준의 상승에 따라 여행관광객들은 지역음식 문화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향토음식을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전주지역 향토음식을 음식관광으로서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주지역에서 향토음식점을 운영하고 있는 경영자들에 대한 향토음식점 운영 실태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는 10만원 미만의 일별 매출액과 음식점의 홍보는 팜플랫과 브로셔 등의 통해 홍보를 하였다. 음식점의 음식개발은 대부분 음식점의 경영자가 하고, 음식점의 경영형태는 단독경영으로 나타났다. 전주지역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으로는 명소로서의 전주지역 대표 향토음식점 개발, 전문적인 음식체험시설 조성, 테마를 가진 음식관광 마을과 농가 레스토랑 조성, 새로운 음식축제 개발, 지역별 음식관광 코스 개발, 각종 음식재료 및 양념장 패키지 상품 개발이 필요하겠다.

  • PDF

향토성에 의한 울산덧배기춤의 형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ts Formation of the Ulsan Dutbeki Dance: Focusing on Local Features in the Ulsan District.)

  • 최흥기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187-218
    • /
    • 2020
  • 덧배기는 경상도에서 풍속으로 전래된 향토춤이다. 이 연구는 울산지역의 덧배기춤이 향토성에 의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진행으로 첫 장은 울산지역의 향토성에 의한 풍속을 지역적으로 한반도 동남부 해안지역의 풍속, 역사적으로 군사문화에서 전래된 풍속, 그리고 사회적으로 마을 동제와 들놀음에서 전래된 풍속, 울산사람들이 가진 말투와 몸짓에서 본 풍속 등에서 고찰하였다. 다음 장은 지역적 풍속에 의한 울산덧배기춤의 형상화를 환경적으로 군사 문화적인 풍속에서 무예의 숭상과 군사훈련과 연관된 울산덧배기의 형상, 지리적으로 경상도 해안지역의 특성에 의한 울산덧배기 춤의 형상, 그리고 사회적으로 울산마을축제에서 주민들의 몸짓에서 본 울산덧배기의 형상으로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 경상도 지역 간의 향토성과 덧배기 춤 유산의 비교는 차후 연구에서 연계한다. 연구 성과는 울산덧배기 춤의 형상화를 지역 향토성에서 전래된 풍속으로 고찰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