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향상

검색결과 70,482건 처리시간 0.08초

의료진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의무기록의 질 향상 (Medical Record Quality Improvement By Developing Program For The Doctors)

  • 이신애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3-120
    • /
    • 2009
  • 문제: 의무기록 질 관리의 어려움 목적: 의무기록의 질 향상 의료기관: 고려대학교 의료원 안암병원 의료정보팀 질 향상 활동: 의무기록의 질 향상을 위해 입퇴원기록지 24시간 이내 작성율 향상, 입원기록지 24시간 이내 작성율 향상, 외과계 N-C 기재율 감소, 경과기록지 작성율 향상, 일일입퇴원기록지 작성율 향상, STAFF 서명 완성일 단축 활동을 하였다. 개선효과: 의무기록 작성에서 같은 내용을 반복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였고, 작성자(의료진) 중심의 프로그램 개선과 개발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의무기록의 질이 향상되었다.

  • PDF

인지향상 융합기술 (Converging Technologies for the Cognitive Enhancement of Human)

  • 서정대;송기봉;정명애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6권3호
    • /
    • pp.1-13
    • /
    • 2011
  • IT 디바이스, 컴퓨터 등의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의 혁신적인 발전과 사용으로 현대인간의 인지능력은 수백 년 전 인간에 비하여 크게 확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지향상 기기들은 아직까지는 대부분 인간의 몸에 휴대한 상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인간의 신체와 일체화되거나 스며들어 자연스럽게 융합접속되어 있지 않다. 만일 인지향상 기능을 갖는 정보통신 전자기기들이 인간의 몸과 일체화되어 활용할 수 있다면 인간의 인지능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향상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인간인지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인지향상 융합기술 개념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인지향상 융합기술의 사례와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척도화 향상도에 근거한 처방 선택 (Order selection based on scaled lift)

  • 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2호
    • /
    • pp.227-234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척도화 향상도에 근거한 처방 선택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Park과 Kim(2010)에 의해 사용된 향상도가 특정 범위에 국한되지 않아 얼마나 커야 (혹은 작아야) 큰 (혹은 작은) 값인지 알기 힘든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제안된 첫 번째 척도화 향상도는 향상도를 바로 척도화 시켜 0과 1사이의 값을 취하도록 하였으며, 두 번째 척도화 향상도는 향상도-1을 척도화 시켜 -1과 1사의의 값을 취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척도화는 향상도를 척도화만 시킨 형태이고, 두 번째 척도화는 향상도를 중심화와 동시에 척도화 시킨 형태이다. 이 척도화 향상도에 근거한 처방 선택 방법들을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에 적용하여 향상도에 근거한 처방 선택 결과와 비교하였다.

자동차분야 상생협력의 필요성 및 성과

  • 김강호
    • 기계저널
    • /
    • 제50권10호
    • /
    • pp.33-36
    • /
    • 2010
  • 2만 7,000개 자동차 부품소재의 품질 향상이 완성차 성능향상과 연동되듯 부품소재 기업의 경쟁력 향상은 한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며, 이러한 경쟁력 향상의 핵심동력은 상생협력이다.

  • PDF

지역 명암 대비 향상을 통한 영상의 명암대비 개선 기법 (The Enhancement Scheme of the Image Contrast Using the Improvement of Local Contrast)

  • 김광현;한영준;한헌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7권 제1호
    • /
    • pp.139-142
    • /
    • 2007
  • 본 논문은 지역 명암대비 향상을 통한 영상의 명암대비 개선 기법을 제안한다. 전역 대비 향상 기법은 영상 전체를 고려하여 대비를 향상시키므로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이 뿌옇게 되거나 원하지 않는 인공적인 산물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역 대비 향상 기법은 블록화 및 영상의 화질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안하는 기법은 다양한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지역 대비를 향상시켜 지역 대비가 가장 많이 향상된 영상의 히스토그램 평활화 함수를 이용하여 전체 영상의 명암대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명암대비가 낮은 다양한 영상의 실험을 통해서 제안하는 명암대비 향상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인간의 시각 특성과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칼라영상의 향상 (Color Image Enhancement Using Human Visual Properties and Neural Network)

  • 신현욱;조석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12호
    • /
    • pp.3265-327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칼랄 인식 특성인 명도, 채도 및 색조의 관계를 학습시킨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열화된 영상의 채도 부분을 향상하는 칼라영상향상법으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우선 표준영상으로부터 여러 단계 열화된 영상들로부터 얻은 다양한 명도, 채도 및 색조의 관계를 신경회로망의 입력으로 하고 표준영상의 채도를 목표차로 해서 신경회로망을 학습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학습된 신경회로망에 열화된 영상의 명도, 채도, 색조 그리고 향상시킨 명도를 입력하면 향상된 채도를 얻을 수 있는 칼라영상향상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칼라영상향상법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영상 향상 시 칼라범위를 초과하는 문제와 채도 향상비의 인위적 선택문제를 해결하고 채도의 대비를 향상시켜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임을 밝혔다.

  • PDF

공공병원 의료 질 관리 전담자의 의료 질 향상 활동 경험연구 (Quality Improvement Nurses' Experiences of Working for Healthcare Quality in Public Hospitals)

  • 황정해;박성희;최윤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9-29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병원 질 관리 전담자들의 병원 진료부문과 전반적 질 향상 활동의 경험 탐색을 통해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 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공공병원의 질 관리 전담자 10명을 대상으로 질 향상 활동 경험에 대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수행하였다. 질 향상 경험 면담을 통해 '진료 부문과 전반적 의료질 향상 활동에 대한 성공과 실패', '현재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 정도',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의 특성' 그리고 '향후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들'의 범주화를 통해, '공공병원 고유의 특성에 따른 질 향상 활동의 성공', '리더십과 역량강화를 통한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 '공공병원의 지역 중점 병원의 역할 재정립'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공공병원 진료 부문의 질 향상 활동은 의사의 참여가 중요하며 이러한 의사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의사의 질 향상 활동의 성공적 경험을 공유하고 질 향상 활동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여 질 향상 전문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지원들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병원의 질 관리 전담자는 국가 의료 질 향상을 위한 핵심위치에서 질 향상 활동의 견인역할을 하고 지역 의료기관간 협력적 소통을 통해 의료 질 향상 활동을 이끌어가야 한다.

精密計測 에 利용되는 센서 (II)

  • 한응교
    • 기계저널
    • /
    • 제22권6호
    • /
    • pp.424-433
    • /
    • 1982
  • 근년의 각종 센서의 발전은 급속히 측정기의 성능향상을 가져왔다. 즉 전출감도의 향상, 변환률의 향상, 소형화, 응답성의 향상, 신뢰성의 향상등이다. 더욱이 이들의 뛰어난 자동화와 마이콘의 적극적인 활용에 의해 계측의 자동화를 지향하고 있는 것이 많다. 이하에 설명하는 것은 소제 목으로한 측정에 포함되는 센서를 전부 망라한 것은 아니고 구래의 것과 대비하여 독자적인 것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 PDF

미생물 활성 촉진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효율 평가에 있어서의 제한성에 관한 연구 (Constraints of Bio-augmentation in Improving Performances of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 박종안;허준무;손부순;장봉기;이종화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1호
    • /
    • pp.103-115
    • /
    • 1999
  • 생물학적 처리공정내 미생물은 물리화학적, 생태학적으로 처리공정의 운전조건과 유입하·폐수 특성에 따라 존재량 및 반응조내 존재하는 우점종이 달라진다. 특히,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시 유입수내 존재하는 독성 및 저해물질은 생물반응조내 존재하는 미생물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미생물의 종류를 단순화시키거나 환경조건 및 폐수 특성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물능력향상(bio-augmentation)이 필요하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생물능력향상을 이룰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능력향상을 위하여 기존의 효소활성이 강한 미생물군을 투입함으로써 처리효율향상에 미치는 영향 및 제한성을 고찰하였다. 처리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생존성, 폐수에 대한 순응기간 및 미생물의 체류가 매우 중요하였으며, 특히 누입된 미생물군이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이상의 순응기간이 필요하였다. 한편, 토착미생물군인 UB-1의 경우 기존 생물능력향상 미생물군과 거의 동일한 처리효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사전에 순양기간을 거친 UB-2의 경우도 기존 생물능력향상 미생물군과 비슷한 처리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결과로 볼 때 생물능력향상 미생물군 투입에 의한 처리효율의 향상은 크지 않으며, 하·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적요하는데는 다소 제한성이 있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부부관계 향상프로그램 개발연구 (A Study on The Marital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

  • 유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205-218
    • /
    • 1994
  •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 가족의 중심체계인 부부 체계의 건전함과 잠재력을 지원하여 부부관계의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전체 가족관계를 건강하게 유지.발달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한국부부에 적합한 가족생활교육으로서의 부부관계 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 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및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자료를 근거로 프로그램의 이론적 체계를 마련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1) 선행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및 부부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분석 평가를 근거로 한국 부부관계향상에 적합한 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여, 2) 앞으로의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실시를 위한 단계적 지침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 등으로 구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