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향료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Technique of Manufacturing Korean Traditional Ink Sticks (한국(韓國) 전통(傳統) 묵(墨)의 제조법(製造法)에 관한 연구(硏究))

  • Park, Moon-Year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9 no.3
    • /
    • pp.457-47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analyze the techniques of producing the traditional Korean ink sticks, in order to restore the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Korean traditional ink is a name which people generically calls a block of ink mass made from soots and pine pitch, and it can be classified into pine-pitch ink and oil-pitch ink according to the type of soot. (2) Pine-pitch ink is made from soot of burnt pine trees, and oil-pitch ink is made from soot of burnt plant, animal or mineral oil. Both are mixed with glue made from resin, and hardened into block form. (3) Raw materials of ink include soot, glue made from resin, and spices, and the techniques of making Korean traditional inks were documented in etc. (4) The techniques of making Korean traditional inks have not been handed down, but some craftsmen in modern Korea have restored those traditional techniques.

  • PDF

Synthesis of Damascones and Related Flavoring Compound : ${\bdta}$-Damascone (다마스콘 및 관련 향료물질의 합성 : 베타다마스콘)

  • Lee Woo Young;Jung Mee Park;Ki Hong Nam;Se Young Jang;Oee Sook Park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0 no.5
    • /
    • pp.483-487
    • /
    • 1986
  • The synthesis of $\beta-damascone$ (I), an odoriferous natural product, was investigated from 2,2,6-trimethylcyclohexanone (II); (II) was ethynylated by the action of monoacetylide anion prepared from acetylene and sec-butyllithium at -78${\circ}C$, to give an ethynylcarbinol(III), which was isomerized to an acetylcyclohexene(IV) by refluxing in aqueous oxalic or formic acid. (IV) was treated with sec-butyllithium, the enolate was reacted with freshly dried acetaldehyde, and the resultant $\beta-hydroxyketone$ (V) was dehydrated by TsOH to ${\beta}$-damascone, trans-2,6,6-trimethyl-1-crotonyl-1-cyclohexene(I).

  • PDF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Yield and Quality of Extracts in Astragalas manbranaceus Bunge, Angelica gigas Nakai (황기, 당귀 추출물의 추출조건이 추출물의 수율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이미숙;이근보;한명규;박상순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4 no.6
    • /
    • pp.543-547
    • /
    • 2001
  • The hot water extraction(HWE) has many problems such as a low extract yield and a reduced flagrance by excessive heating during concentration process notwithstanding it has been the general method to get the extract from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Astragalas manbranaceus Bunge and Angelica gigas Nakai. For that reason, adopted the alcohol extraction In this research and got the good results of the 65% and 75% extract yield of Astragalas manbranaceus Bunge and Angelica gigas Nakai respectively, 15% and 36% increased compare with 50% and 39% (w/w) of HWE. The differences of extraction process between the HWE and alcohol extraction is substituting alcohol for water of extraction were concentrated at the relatively low temperature 90$\^{C}$ compare with the thermal extraction temperature 104$\^{C}$ . This alcohol extract, has the outstanding effect collecting the original fragrance at the low temperature. Applying this extract to starch syrup and beverage, expected that those contain a sufficient flavor as well as fragrance without artificial spices.

  • PDF

Taxonomic reality of the Plants in Mahāyāna Buddhist scriptures-3.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法華經) (대승경전에 수록된 식물의 분류학적 실체-3. 법화경 (法華經))

  • MIN, Tae-Young;KO, 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53-53
    • /
    • 2018
  • 본 연구는 대승 경전에 나타난 식물의 수록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는 연구의 세 번째 과정이다. 법화경은 천태종(天台宗)의 소의 경전(所依慶典)으로 우리나라에서 유통된 경전 가운데 최다 간행된 경전이며 화엄경과 함께 한국 교학의 중심이 된 경전이다. 연구 대상은 현존하는 법화경의 판본 가운데 구마라집(鳩摩羅什) 역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이하 법화경, 7권으로 구성)에 수록된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분류학적 실체는 물론 이 경의 중심 논지와 연관성이 큰 천화(天華, 하늘의 꽃)의 실체를 별도로 구명하여 식물수록의 특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구명하고자 하였다. 1. 법화경에 나타난 식물의 수록 횟수와 식물의 종 수는 다음과 같았다. 법화경에는 총 27종의 식물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이 가운데 목본은 16종(59.3%)이고 초본은 11종(40.7%)이었다. 식물수록 양상에 있어 특이점은 목본이 초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심사상의 전달방식에 있어 비교 대상이 되는 다른 대승 경전과 차이가 있다는 점과도 무관하지 않았다. 실제로 비교 대상인 화엄경의 목본과 초본 비율은 각각 17종(48.6%)과 18종(51.4%)이었고 열반경은 각각 36종(45.6%)과 43종(54.4%)으로 목본과 초본의 수록 비율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2. 법화경에 나타난 식물 27종은 총 20개 과에 분포되어 있었다. 수련과 3종, 콩과 3종, 물푸레나무과 2종, 뽕나무과 2종, 벼과 2종의 순이었다. 다수 과에 분포된 식물은 대부분 중심사상 전달의 매개체인 천화(하늘의 꽃)에 속하는 식물이었다. 3. '하늘의 꽃' 이라고 신성시되면서 이 경의 내용 전개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천화(天華)'는 연꽃과 수련 종류를 지칭하는 식물이 중심이 되었으며 유용한 관상 및 조경, 향료 자원 및 목재 자원 식물이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d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ooker Effluent for Making a Natural Crab-like Flavorant (천연 게 향료 제조를 위한 농축 붉은 대게 가공 자숙액의 특성)

  • Ahn, Jun-Suck;Kim, Hun;Cho, Woo-Jin;Jeong, Eun-Jeong;Lee, Hee-Young;Cha, Yong-Ju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9 no.6
    • /
    • pp.431-436
    • /
    • 2006
  • This study was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ooker effluent (RSCCE) for making a natural crab-like flavorant. The RSCCE ($1\;^{\circ}Brix$ in the initial state) was concentrated up to $40^{\circ}Brix$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making a natural flavorant. During concentration, the amino-N content and total acidity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time, while the pH was maintained in range 7.94-8.78. In the acceptance test and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QDA), $20^{\circ}Brix$ RSCCE had the best quality in terms of taste (5.87), odor (6.00), and overall acceptance (5.80). Of the taste compounds analyzed in $20^{\circ}Brix$ RSCCE, lactic acid was an abundant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the nucleotide 5'-inosine monophosphate (IMP) was present, as were four free amino acids: tyrosine, glutamic acid, alanine and glycine. The taste and odor of boiled crabmeat were retained in $20^{\circ}Brix$ RSCCE based on the QDA.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Edible Por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냉이의 식용부위별 휘발성 향기성분)

  • Lee, Mie-Soon;Choi, Hyang-Soo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8 no.5
    • /
    • pp.822-826
    • /
    • 1996
  •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various edible por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were colle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SDE) method using diethyl ether as solvent. Essential oil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combine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irty four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cluding 12 hydrocarbons, 2 aldehydes, 2 ketones, 5 alcohols, 1 ester, 10 acids and 2 miscellaneous ones were confirmed in whole samples. Thirty one components, including 11 hydrocarbons, 5 aldehydes, 4 ketones, 5 alcohols, 1 esters and 5 miscellaneous ones were confirmed in leaves. Twenty four components, including 5 hydrocarbons, 1 aldehyde, 2 ketones, 6 alcohols, 2 esters, 1 acid and 7 miscellaneous ones were confirmed in roots. The kinds and amount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revealed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upon various edible portions. Relatively greater number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leaves compared with roots of these wild plants. The characteristic aroma of Capsella bursa-pastoris appeared to be due to combination of C6 alcohol and acids, terpene alcohol and sulfur containing compounds.

  • PDF

자원식물의 연구동향과 실용화 현황

  • Park, Ho-Gi;Yang, Min-Ho;Lee, B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3-3
    • /
    • 2012
  • 자원식물은 인간의 천연물에 대한 관심 고조와 미래 생물자원으로서의 경제적 가치가 재인식되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오래전부터 유용한 식물자원 보존과 이를 이용한 산업화에 정부가 앞장서 추진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에 비해 많은 식물종이 분포하고 뚜렷한 4계절과 다양한 토양특성으로 우수한 기능성식물자원이 많으며 이들 식물자원의 이용과 효능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전통적으로 이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자원식물에 대한 보존과 이용이 과학화 체계화되지 못하여 세계적인 품종이나 제품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토종자원에 대한 관심과 꾸준한 연구개발로 농촌진흥청 보존 농업유전자원은 세계 6위 수준('10년말 291천점) 이며, 멀티기능 유용물질 함유 작물 개발 및 실용화 기술수준도 기술력 지수 세계7위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자원식물로부터 유용물질을 이용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천연물신약, 건강기능성식품, 한방화장품, 천연 색소 및 향료 등의 제품개발은 미흡하여 앞으로 유망 자원식물을 이용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고부가 산업 육성을 위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자원식물을 이용한 천연물 신약개발은 고부가가치 제품과 산업재산권 확보가 가능하므로 수입 대체와 기술 및 제품수출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여 현재 연구개발 중인 신약후보 도출 및 임상개발 과제의 수요를 반영한 후 단계별 대규모 신약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건강기능 식품 개발은 고령사회 진입과 노령인구 증가로 노화억제 및 고령자 건강유지용 식품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어 약용식물을 소재로 개인 맞춤형 나노바이오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을 통한 다양한 제품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나라 화장품분야의 전반적인 기술수준은 세계최고 기술의 62% 수준이나 화장품 소재의 자원식물 발굴과 나노기술 접목을 통한 효능의 극대화는 소비자의 웰빙 트랜드와 외국화장품과의 차별화 전략에 맞물려 국내 한방화장품의 세계화가 가능한 품목 중 하나이다. 식용 및 염색용 색소도 자원식물이 풍부하고 천연색소 시장이 크게 확장되고 있어 자원식물 중 경제성과 기술적 개발 가능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우리의 식물자원, 전통지식, 과학기술이 통합되어 효능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천연물신약, 건강보조식품, 화장품 등이 개발된다면 세계시장을 선도할 날도 멀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Industrization of Natural Plant Resources (자원식물의 산업화)

  • Lee,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8-8
    • /
    • 2010
  • 자원식물을 소재로 이용하는 생물산업은 21세기 경제성장을 주도할 핵심기간산업이며, 미래형 고부가가치산업이다. 현재 지구상에는 약 55만종의 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천연 강우림 등의 미개척지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어 더욱 많은 종들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자원식물들 중에는 작물로의 개발이 가능하거나, 개발할 필요성이 높은 식물들이 많이 있다. 자원식물들은 예로부터 식용, 약용, 관상용, 유지용, 기호용, 밀원용, 섬유용, 향신료용, 향료용, 당료용, 호료용, 염색용, 수지용, 탄닌용 등으로 구분되어 이용되어 왔다. 자원식물은 종에 따라 꽃,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등 부위별로 다양하게 산업적 소재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건강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다양한 건강 기능성 상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자원식물 등 천연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자원식물을 대상으로 이들의 활용가치를 분석하여 상품화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주 5일제 실시 및 여가활용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농촌 경관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농촌 경관산업은 국민의 여가선용 및 복지향상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관광산업으로써 지역 이미지 강화를 통한 지역 홍보,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및 경관산업에 사용된 생물소재를 이용한 바이오산업의 활성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농촌 경관산업은 자연과 농촌을 활용한 자연 친화형 관광단지를 조성하여 친환경, 고부가가치형 종합산업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경관산업 및 이를 활용한 바이오산업의 소재로써 자원식물의 역할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각 지역에 자생하는 고유의 자원식물을 활용하면 지역 특화 경관산업 및 바이오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친환경 건강 기능성 상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친환경 건강 기능성 소재 개발과 농촌 경관산업을 활용한 생물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산업적 가치가 우수한 자원식물의 다양한 기능을 분석하고, 각 자원식물별로 특성에 맞는 개발 방안을 구축하여 다양한 산업화의 소재로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Volatile Components Analysis using SPME in Traditional Aromatic Plant Resources,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and Z. piperitum DC (SPME법을 이용한 전통 향료 유전자원 산초 및 초피의 정유성분 분석)

  • Cho, Min-Gu;Chae, Young-Am;Song, Ji-Sook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9 no.3
    • /
    • pp.192-197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ME fiber for volatile component analysis in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 piperitum. PDMS, PDMS/DVB and CAR/PDMS were better for single standard absorption analysis. PDMS and PDMS/DVB showed similar results in comparison between direct injection and the mixture of 24 single standards as well as the mixture of 10 single standards. PDMS and PDMS/DVB were not different each other in absorption patterns between direct injection and headspace SPME regardless of split ratio of GC injection port. However PDMS/DVB rather than PDMS was effective in absorbing the sesquiterpenes within 30-40 minutes as using the SDE extracts from Z. schinifolium and Z. piperitum.

  • PDF

Essential Oil Content and Composition of Aromatic Constituents in Leaf of Saururus chinensis, Angelica dahurica and Cnidium officinale (삼백초, 구릿대, 천궁의 잎 향기성분 조성과 정유함량)

  • Kim, Sang-Kuk;Kim, Young-Hyo;Kang, Dong-Kyoon;Chung, Sang-Hwan;Lee, Seong-Phil;Lee, Sang-Chul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6 no.4
    • /
    • pp.299-304
    • /
    • 199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ssential oil content and the aromatic constituents in the leave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Angelica dahurica Fischer and Cnidium officinale Makino. Volatile aromatic compounds in three aromatic medicinal plants were extracted with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nd identified by GC/MS. Major aromatic compounds in Saururus chinensis Baill were 1,6-octadien-3-ol, 1, 3-benzodioxole, myristicin, ${\alpha}-cadinol$ and patchouene. Major aromatic compounds in Angelica dahurica Fischer were terpinolene, 3-carene, ${\beta}-caryophyllene$, ${\beta}-cubebene$, butylated hydroxy toluene, caryophyllene oxide, piperonal, and in Cnidium officinale Makino were aristolene, benzocycloheptene, ylangene, valencene, ${\beta}-cedrene$, satene, and menthofuran. Essential oil content was highest in Saururus chinensis pl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