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행동 조절

검색결과 1,280건 처리시간 0.027초

어린이집에서 실시된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n Emotion Regulation Training Program on the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Behavior of 5-year-olds)

  • 김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1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emotion regulation of 5-year-old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ir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behavior.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6 5-year-olds from two day care center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of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n=28)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comparative group (n=28) did not. This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deal with peer relationships, and consists of activities designed to cover all domains of the Korean National Early Education Standard. The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behavio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data were analyzed making use of ANCOVA. Our results indicate that this program ha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behavior on the part of 5-year-olds.

아동의 정서조절 동기 및 정서조절 능력과 행동문제 (Children′s Motive and Competence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 Problems)

  • 한유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65-77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emotional regulation, motive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64 boys and 58 girls in fourth grade and their mothers were selected for the subject. The children were interviewed about eight interpersonal conflict situations, while their mothers completed the CBCL(Child Behavior Check List).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emotional regulation, motive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 problems differed according to the children's gender. Girls used more appropriate display rules for managing negative emotions, and more often, prosocial motives than boys. While girls displayed greater immature behavior, boys displayed more hyperactive and aggressive behavior.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wa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for boy's behavior problems. Pos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prosocial motiv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girl's behavior problems. These findings implicate that emotional regulation and motive for emotional regul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preventing behavior problems of school-age children.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환아의 증례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CASE REPORT)

  • 소정원;라지영;이광희;안소연;김윤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2-487
    • /
    • 2010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학령기 어린이의 가장 흔한 정신장애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ADHD 어린이들은 자극에 선택적으로 오래 집중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말이 많거나 허락 없이 자리에서 일어나고 뛰어다니며, 팔과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는 등 활동 수준이 높다. 또한 충동적인 성향이 있어서 넘어지거나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치과치료 시 행동조절, 구강위생, 외상 등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는 바, 치과의사의 관심이 증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증례는 ADHD로 진단받은 만 8세 여아로 약물진정 및 심리적인 행동조절법을 이용해 치과적 주소를 해결해 주었고, 문헌고찰을 통해 다소의 지견을 얻었다.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교사 배경변인과 교사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eacher Efficac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in Student-Participatory Class)

  • 김도형;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1-58
    • /
    • 2020
  • 본 연구는 교사 배경변인과 교사효능감이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G 지역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사의 수업행동 중 수업지식과 수업동기유발에 대해서는 자기조절효능감이 과제난이도 선호보다 더욱 높은 영향을 미쳤고, 수업의사소통에 대해서는 과제난이도 선호가 자기조절효능감 보다 영향력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초등교사의 바람직한 수업행동이 나타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윤리적 리더십과 종업원의 행동 간의 관계-종업원의 자기효능감과 리더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roles of employees' self-efficacy and trust in lea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employees' behaviors)

  • 김영형;김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71-81
    • /
    • 2016
  •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행동(일탈행동과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과 윤리적 리더십과 종업원의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과 리더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4개의 가설을 개발하고 개발된 가설은 단순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윤리적 리더십은 종업원의 일탈행동에는 부(-)의 영향을 그리고 자기 주도성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업원의 자기 효능감과 리더에 대한 신뢰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과 미래 연구 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조직정치지각에 따른 반응 행동: 냉소주의의 매개효과와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Response to Organizational Political Percep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ynicis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itment)

  • 허병준;이형용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3호
    • /
    • pp.107-127
    • /
    • 2021
  • 한국 기업 내에 만연하고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조직정치에 대한 일반 기업 재직자의 지각이 반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고, 특히 조직정치지각과 반응 행동 간의 관계에서 냉소주의의 매개효과 및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정치지각은 냉소주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냉소주의는 이탈, 충성, 태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몰입이 냉소주의와 이탈, 태만 행동간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정치지각이 높을수록 냉소주의를 높이고 부정적인 반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실증하였고, 조직몰입과 냉소주의가 부정적 반응 행동에 상호 작용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기업경쟁력 유지를 위해 건전한 조직제도 개선과 이를 통한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 시대의 대학생 진로장벽이 취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병렬매개효과와 매개된 조절효과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COVID-19: Focusing on Multi-parallel Medi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Ego-resilience)

  • 윤일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30-137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취업준비행동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병렬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대학교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장벽, 진로적응성, 자아탄력성, 취업준비행동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진로장벽과 취업준비행동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조절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제언과 후속연구를 위한 논의를 하였다.

브랜드 애착이 제품 사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속성 정렬 가능성의 조절적 역할: 스마트폰 사용자 중심으로 (The Moderate Effect of the Attribute Alignability on the Relations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Product Usage Behavior: Focus on Smartphone Users)

  • 조재욱;박승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1-147
    • /
    • 2020
  • 본 연구는 브랜드 애착이 제품의 내형 변형 행동과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제품 속성 정렬가능성(attribute alignability)의 조절적 역할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 브랜드 애착이 높을수록 제품 내형변형행동과 제품 사용상황 확장행동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애착이 높은 소비자는 브랜드 애착이 낮은 소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성 정렬 가능 차별점이 높을수록 제품의 내형변형행동이 크고, 속성 정렬 불가능한 차별점이 클수록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에서 소비자의 제품 내형변형행동에 있어, 제품에 대한 속성정렬 가능 차별점을 높임으로써,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충성고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품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있어서는 제품에 대한 속성정렬 불가능 차별점을 통해 경쟁제품 속성과 차별화하여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자사 제품에 있어 차별적 경쟁우위로 활용할 수 있다.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사내기업가정신 및 혁신행동의 관계 : 성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유준;박재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191-202
    • /
    • 2020
  • 본 연구는 제조산업에 재직 중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사내기업가정신 및 혁신행동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내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사내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전국 제조산업의 노동자 1,037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사내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내기업가정신은 부분매개역할을20200907 하였다. 즉,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사내기업가정신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넷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사내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즉, 여성은 남성에 비해,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높을수록 사내기업가정신이 더욱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사내기업가정신과 혁신행동 강화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방임된 아동의 공격성과 분노 감소를 위한 분노조절 음악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the Anger-Control Music Program for Decrease in Aggressiveness and Anger of Neglected Children)

  • 이주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5권2호
    • /
    • pp.17-39
    • /
    • 2008
  • 본 연구는 방임된 아동의 공격성과 분노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방임된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분노조절 음악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30분씩 총 15회기로 진행되었다. 분노조절 음악 프로그램은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자가 각 단계별 목표에 따라 노래 만들기, 악기 연주 등의 음악활동으로 재구성하였다. 대상자의 공격성과 분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척도 검사를 통한 양적인 자료와 음악활동에서 보인 대상자의 행동을 분석한 질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분노조절 음악 프로그램에 참여한 방임아동의 공격성과 분노는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이 음악 활동에서 보인 공격성과 분노표현도 아동의 음악행동을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활동을 통해 불안정도가 높고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방임 아동들이 자신의 분노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하여 해결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