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행동 유도성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4초

Capsaicin이나 Bradykinin으로 유발된 통증에 대한 봉독의 억제 효과 (Anti-nociceptive Effect of Bee Venom on Capsaicin or Bradykinin-induced Pain)

  • 양창열;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39-49
    • /
    • 2007
  • 목적 : 봉독으로 유발된 통각수용의 강도와 봉독으로 나타나는 항통각수용(통각억제성)의 강도를 쥐의 포르말린 테스트를 통해 상호관련됨을 확인하고 capsaicin과 bradykinin으로 통증 유발된 쥐의 자발적인 통증행동(핥기횟수측정; LN), 꼬리경타시험(TFL)과 열판시험(HPL)을 통해 봉독의 항통각수용(통각억제)작용을 재확인 하고자 하였다. 방법 : 쥐의 뒷다리에 통증유도 물질인 Capsaicin 또는 Bradykinin을 20${\mu}l$를 주사하여 동통을 유발하고 자발적 통증행동인 핥기횟수측정(LN), 꼬리경타기간(TFL)과 열판 위에서의 온도자극에 쥐가 반응하는 시간을 측정(HPL)하는 실험을 봉독을 주입하거나, 몰핀을 주입하거나, 아무것도 주입하지 않고 통증유발만 시킨 이후에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1. Capsaicin 또는 Bradykinin으로 동통유발 후 LN은 두드러증가를 보임, HPL은 감소를 TFL은 두드러진 감소를 나타내었다. 2. 봉독이나 몰핀 주입 30분 후에 Capsaicin으로 동통유발 이후 LN은 봉독과 몰핀에서 모두 현격한 감소를, HPL은 봉침은 현격한 증가를, 몰핀에서는 감소를, TFL은 봉침과 몰핀에서 모두 현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봉독과 몰핀주입 30분후에 Bradykinin으로 동통유발 이후 LN은 봉독은 증가 몰핀은 현격한 감소를, HPL은 봉침은 증가 몰핀에서는 현격한 증가를, TFL은 봉침과 볼핀에서 모두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봉독은 Capsaicin 또는 Bradykinin으로 동통유발된 통각수용행동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기존의 연구결과들에서의 봉독의 항통각수용(통각억제성)의 효과를 입증하였고 봉약침은 염증의 개선이나 암과 관련된 동통에 유효한 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대규모 판매시설의 방화관리자의 측면에서 본 피난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f Egress Behavior in Respect of the Fire Prevention Manager in the Large-scale Shopping Mall)

  • 박재성;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08-113
    • /
    • 2004
  • 백화점, 할인매장과 같이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대규모 판매시설은 화재시 방화관리 담당자의 비상대응능력 및 방화관리의 적절성이 내부 공간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의 피난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대규모 판매시설의 경우 대부분의 피난계단 등 안전한 피난출구가 평상시 고객이 접근할 수 없는 백스페이스(Back space)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객의 안전한 피난을 위해서는 방화관리자에 의한 신속한 피난개시 및 적절한 피난유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과 할인매장 방화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방화관리측면에서 피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화재 시 방화관리자의 대응행동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명령문에 대한 행동의도와 기억에 있어서 나이와 명령문 유형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ge and Type of Imperative Statemen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Recall)

  • 민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53-58
    • /
    • 2020
  • 광고나 세일즈 등 마케팅 현장에서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거나 목표 달성을 위한 절차를 알려 주고 특정 행동의 유도 또는 금지의 내용을 담기 위해 명령문을 자주 사용한다. 본 연구는 특히 지시적 명령문과 설명적 명령문에 대해 시간 지평 관점에 따른 행동의도와 기억의 양상에 주목하였다. 실험 결과, 생의 남은 시간을 짧게 느끼는 노년층이 보다 정서적인 측면에서 정보를 접근하기 때문에 부정의 감정을 더 느낄 수 있는 지시적(vs. 설명적) 명령문에 대해서 거부감을 느끼고 이에 따른 행동의도 저하가 왔다. 그런데 지시적 명령문이 유발하는 부정적인 정서는 노년층에게 있어 이러한 정서를 유발하는 정보의 현저성을 높여 오히려 기억은 상승시켰다. PROCESS 분석 결과, 명령문에 노출되었을 때의 감정이 이 같은 결과들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명령문의 진행에 있어 행동적 반응과/또는 정보처리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용자의 나이를 심도 깊게 고민해야 하며, 또한 어떤 방식으로 명령문을 구성할 지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미토콘드리아 활성화를 통한 양파(Allium Cepa L.) 과육 및 과피의 Amyloid-β 유도성 인지손상에 대한 개선효과 (Ameliorative effect of onion (Allium Cepa L.) flesh and peel on amyloid-β-induced cognitive dysfunction via mitochondrial activation)

  • 박선경;이욱;강진용;김종민;신은진;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63-27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양파(Allium Cepa L.) 과육과 과피를 이용하여 in vitro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Aβ로 유도된 인지기능 장애 마우스 모델에서의 개선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양파 과육 분획물(EOF)과 과피 분획물(EOP) 모두 PC-12 세포에서 Aβ로 유도된 세포 독성에 대하여 신경세포 보호효과(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세포 생존율 및 세포막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Aβ로 유도된 인지장애 마우스 모델에서의 행동실험(Y-미로, 수동회피 및 Morris 수중 미로 시험) 결과 또한 양파 과육 분획물(EOF)과 과피 분획물(EOP) 모두 효과적인으로 학습 및 기억능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실험 후 마우스 뇌조직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생체 방어 기작의 일종인 SOD 함량의 증가, oxidized GSH/총 GSH 및 MDA 함량 감소를 나타냄에 따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우수한 항산화효과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뇌조직으로부터 분리한 미토콘드리아에 대하여 막 전위(MMP) 보호 및 ATP 함량 증가를 나타냈으며,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된 apoptosis 경로에서 BAX의 감소 및 cytochrome c 방출 억제를 통해 caspase 3/7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결국, 양파 과육 분획물(EOF)과 과피 분획물(EOP)은 AChE의 활성 억제 및 ACh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콜린성 시스템 보호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Aβ로 유도된 인지기능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표준화된 치위생학과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Standardized Oral Health Care Program by Dental Hygiene School Students)

  • 노희진;김미나;안용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7-294
    • /
    • 2012
  • 본 연구는 경기도지역 일개 치위생학과의 표준화된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과 구강건강상태를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치면착색제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 관리능력검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SAS 9.2(SAS Institute Inc., Cary, NC.USA)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학생의 인구사회경제적특성에 따른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과 구강건강상태 및 자가구강위생관리능력을 살펴본 결과 관련성이 검토되지 않았다. 2. 대상자의 인구사회경제적특성에 따른 구강보건행태 중 하루 칫솔질 횟수는 가정의 월수입과 의미있는 관련성이 검토되었다(p<.05). 3. 구강보건행동은 대상자의 DMFT, 보조구강위생용품의 사용과 의미있는 관령성이 검토되었다(p<.05). 4. 표준화된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교양수업으로 구강건강관련 교육을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모두에서 구강보건지식, 행동, 태도와 자가구강위생관리능력의 긍정적 변화가 유도되었다(p<.05).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동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 사례 (A Case Study of Synchronization-Based Group Music Therapy for Promoting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김지윤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1호
    • /
    • pp.97-125
    • /
    • 2020
  •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ASD)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동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 사례연구이다. 중재 프로그램은 ASD 아동의 사회기술 발달에 있어 운동조절이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선행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구성되었다. 총 5명의 ASD 아동이 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중재는 주 2회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결과분석을 위해 중재 안에서 관찰된 공동 행동 참여, 동시적 움직임, 눈맞춤 시도, 상호작용 시도 행동의 발생률과 중재 과정에서 나타난 의미 있는 음악행동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세션 내 관찰행동의 변화가 외부 환경에서도 유사하게 관찰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부모에게 사전·사후 부모용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P)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에 참여한 대상자 모두 또래 간 동기화된 움직임 및 또래에 대한 자발적인 상호작용 시도 행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 점수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SD 아동의 지각-운동 연합에 있어서의 문제를 반영한 동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가 ASD 아동 간 동기화된 움직임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동기화에 기반을 둔 음악치료적 개입이 어떻게 ASD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지 임상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선형 TPNCA의 0-트리의 0이 아닌 상태를 여원벡터로 갖는 여원 TPNICA의 행동분석 (Analysis of the behavior of complemented TPNCA with complement vector as nonzero state in the 0-tree of the linear TPNCA)

  • 조성진;김한두;최언숙;허성훈;고귀자;황윤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하)
    • /
    • pp.1127-1132
    • /
    • 2002
  • LFSR보다 CA가 랜덤성이 우수한 패턴들을 효율적으로 생성함이 알려지면서 그 응용분야가 점차적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Nongroup CA는 해쉬함수의 생성, 암호알고리즘, 이미지 압축 등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CA가 생성하는 패턴의 분석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 nongroup CA의 일반적인 성질과 여원 벡터가 선형 nongroup CA의 0-트리의 0이 아닌 상태인 경우 이로부터 유도되는 여원 TPNCA의 상태들의 행동을 분석하였다.

  • PDF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정책 준수행동에 대한 연구 : 수정된 Triandis 모델의 적용 (A Study on Employee's Compliance Behavior towards Information Security Policy : A Modified Triandis Model)

  • 김대진;황인호;김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209-220
    • /
    • 2016
  • 조직은 정보보안정책을 제공하고 이를 준수하기 위한 교육 및 지원 등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나, 조직 구성원의 보안 미준수에 따른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정책 준수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Triandis 모델을 적용하여 규명하였으며, 요인들간의 영향 관계를 구조방정식모델링 기법인 PLS(Partial Least Squares)를 통해 살펴보았다. 가설검증 결과 조직은 정보보안정책과 이를 지원하는 촉진조건을 통해 구성원의 정보보안정책 준수의도 및 행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조직의 정보보안정책에 대한 구성원의 기대가치, 습관 및 감정이 중요함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Triandis 모델을 정보보안 분야에 적용하여 분석하고, 구성원의 정보보안 행동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조직의 정보보안정책 수립 및 구성원의 준수행동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비접촉식 제스처 기반 3D 조형 태스크를 위한 다중 모달리티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Multi - Modal Interface Design for Non - Touch Gesture Based 3D Sculpting Task)

  • 손민지;유승헌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177-190
    • /
    • 2017
  • 본 연구는 비접촉식 제스처 기반 조형 태스크의 직관성 향상을 위한 다중 모달리티 인터페이스 디자인 GSS를 제안하였다. 디자인 조형 과정 및 조형 형태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조사한 후, 기술 발전에 따른 세대별 조형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또, 비접촉 3D 조형 시스템상에서의 조형 제작 프로세스, 조형 제작 환경, 제스처와 조형 태스크 간의 관계성, 자연스러운 손 조합 패턴과 사용자 손동작 요소들을 정의하였다. 이후, 기존 비접촉 3D 조형 시스템상에서 비접촉식 제스처 인터랙션을 관찰하고 자연스러운 조형 제작을 위해 조형 작성자의 행동체계가 반영된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메타포와 자연스러운 제스처 인터랙션을 유도할 수 있는 행동적 메타포를 도출하였다.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후, 제안된 주요 조형 태스크별 제스처 세트의 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 조형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제안된 GSS 시스템의 제스처는 이해도, 기억성, 오류율에서 우수성을 보였다. 제스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시각적/행동적 메타포를 바탕으로 시각적 모달리티가 함께 사용된 제스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Design of Action Game Using Three-Dimensional Map and Interactions between In-Game Objects

  • Kim, Jin-Woong;Hur, Jee-Sic;Lee, Hyeong-Geun;Kwak, Ho-Young;Kim, Soo K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85-9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증가시키는 액션 게임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게임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게임의 특징을 분석, 각 특징을 참고하여 게임의 시스템적, 시각적 특징을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제안 방법은 유니티 3D를 이용하여 게임 개체 간 상호작용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사용자가 게임에 몰입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하였다. 게임의 시각적 요소를 통한 몰입을 유도하기 위해 2차원 오브젝트 및 플레이어를 3차원 공간에 배치하였고, 공간 내 개체와 사물이 광원에 실시간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2차원 동적 광원 셰이더를 추가하여 몬스터와 플레이어간 전투 규칙과 몬스터의 행동 패턴 충돌 감지, 이벤트 감지로 구성하였다. 제안 방법은 구현 논문으로 사용자 경험을 반영하였고, 사용자의 행동 유도성을 이끌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