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행동억제체계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4초

전전두엽의 비대칭성에 의존하는 감성 (Emotion depending on the prefrontal cortex asymmetry)

  • 김원식;장승진;장학영;최형민;이상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5-96
    • /
    • 2009
  • 행동활성화 및 억제체계의 민감성에 따라 4 개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에 대하여 뇌파를 측정하여 전전두엽의 비대칭성을 평가하였다. 이들 각 집단에 대하여 긍정적 감성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음향(명상음악)과 부정적 감성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음향(소음)을 제시하여 그 반응을 분석한 결과, 명상음악 청취에 대한 주관적 감성평가는 4 개 집단 모두 비슷한 수준의 긍정적 감성을 나타냈지만, 전전두엽의 비대칭성은 행동억제체계가 민감한 집단에 비하여 행동활성화체계가 민감한 집단일수록 좌측 전전두엽이 더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Davidson 의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체계의 단일차원을 지지한다. 소음청취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는 4개 집단 모두 비슷한 수준의 부정적 감성을 나타낸 반면에, 전전두엽의 비대칭성은 행동활성화 또는 억제체계의 민감성이 어느 하나라도 높은 3 개 집단 모두에서 우측 전전두엽이 더 활성화 되었지만, 민감성이 모두 낮은 나머지 1 개 집단에서는 좌측 전전두엽이 더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Gray의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체계의 독립차원을 지지한다.

  • PDF

행동활성화체계와 억제체계의 민감도가 음향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nsitivities in Behavioral Activation and Inhibition Systems on Sound-induced Affects)

  • 김원식;이지혜;조문재;박봉수;김교헌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9-22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이 소리자극에 의하여 유도되는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학생 450명(남자: 210명)을 대상으로 행동활성화체계(BAS)와 행동억제체계(BIS) 민감성의 고저에 따라 두 집단을 추출하여 안정상태에서 전전두엽(PFC)의 비대칭적 활성화를 측정한 뒤, 긍정감성과 부정감성을 각각 유발하는 소리들을 제시하여 느끼는 감성에 대한 심리반응 변화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전전두엽의 비대칭적 활성화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긍정감성과 부정감성을 유도하는 소리는 명상음악과 소음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안정상태와 음향청취상태에서의 전전두엽 영역 활성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F7와 F8 부위에서 EEG의 알파밴드(8-13 Hz)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 PDF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 및 행동활성화체계와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of Behavioral Inhibition/Ac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to Self-efficacy)

  • 임성만;홍은주;양일호;임재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58-769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학습 동기체계를 알아보기 위한 SL-BIS/BAS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496명, 중학교 2학년 425명이 과학학습 행동억제/활성화체계 검사 도구(SL-BIS/BAS)와 자기효능감 검사지를 수행하였으며, 회수된 검사지를 바탕으로 집단별 과학학습 행동억제/활성화체계를 파악하고 두 체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에 대한 민감성은 4학년보다 8학년이 더 높았으나 과학학습 행동활성화체계에 대한 민감성과 자기효능감은 8학년보다 4학년이 더 높았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와 낮은 부적상관이 있으며, 과학학습 행동활성화 체계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자기효능감에 대한 두 체계의 설명력은 41%로 나타나, 자기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과학학습 행동억제/활성화체계의 분석을 통해 학습자 변인에 따른 동기의 차이, 그리고 동기와 관련변인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동기와 관련변인을 근본적으로 이해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지도 계획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전두엽의 비대칭성과 심장박동율변동성에 기초한 음향감성 평가 (Evaluation of Sound-induced Affects based on Prefrontal Cortex Asymmetry and Heart Rate Variability)

  • 김원식;이지혜;조문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8-14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생환공간에서의 음향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긍정감성을 유발하는 음환경으로서 '명상음악'과 부정감성을 유발하는 음환경으로서 '헬리콥터소음'과 '마루가 삐거덕거리는 소음'을 제시하였을 때 행동활성화체계(BAS)와 행동억제체계(BIS)의 민감성이 서로 다른 집단들을 대상으로 전전두엽의(PFC) 비대칭성과 심장박동율변동성(HRV)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명상음악을 청취시에는 안정상태에 비하여 좌측전두엽이 더 활성화되고 HRV의 LF/HF는 감소된 반면에 소음환경에서는 우측전두엽이 더 활성화되고 LF/HF는 더 증가하였다.

  • PDF

청각적 분노 자극 유도 전/후의 행동활성화체계/행동억제체계 분석 (BAS/BIS analysis before/after inducing acoustic anger arousal)

  • 장승진;강지윤;김원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7-218
    • /
    • 2009
  • 총 19 명 (male=9, female=10)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일주일 간격으로 2 회 수행한 후 double blind 방식과 실험 목적/프로토콜을 피검자에게 알려주지 않은 상태로 EEG 검사를 수행하여 행동활성화체계/행동억제체계(BAS/BIS)를 분석하였다. 안정기를 거친 후 갑자기 불유쾌한 청각적 자극(1Hz, 110dB, 15초간)을 2 회 실시하여 BAS/BIS 수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노활성화 음성자극에 대한 BAS/BIS 성향 대상자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그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긍/부정 감성자극에 대한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 민감도에 따른 뇌파의 LORETA 분석 (LORETA analysis of EEG responding to positive/negative emotional stimuli for different sensitivities of behavioral activation and inhibition systems)

  • 김원식;진승현
    • 감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403-41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긍정 또는 부정 시각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행동활성화체계(Behavioral Activation System : BAS) 민감 집단과 행동억제 체계(Behavioral Inhibition System : BIS) 민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은 8명씩의 BAS와 BIS 민감 성향을 가진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안정 상태와 국제정서사진체계(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의 긍정/부정 사진자극이 제시되는 동안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뇌파의 분석은 뇌 신호원 국소화를 위해, 뇌파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류밀도에 대한 3차원적인 접근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LORETA(Low-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긍정자극제시의 경우, BAS 민감 집단이 BIS민감 집단에 비해 알파 대역에서 변연계에 포함되는 cingulate gyrus와 전전두엽이 더 활성화되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BAS 민감집단이 BIS 민감집단에 비해 긍정자극에 대한 반응이 더 민감하고, BAS 또는 BIS라는 인간의 동기체계가 감성자극의 인지와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에 대한 뇌전도와 뇌자도 신호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EG and MEG signals in BAS/BIS)

  • 장승진;신명근;류권규;권혁찬;김원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72
    • /
    • 2009
  •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는 서로 독립적이고 구분되는 신경 기저와 작용 방식을 가졌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 두 체계에서 각기 독립적인 민감성을 보이리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개인의 기질이나 성격 특성 및 광범위한 전반적 정서 경험 경향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가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뇌자도(MEG)에서 취득한 신호를 가지고 EEG에서 얻은 신호 및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한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9명 (male=6, female=3)을 대상으로 EEG/MEG를 수행한 후 BIS/BAS 질문지를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기 보고식 질문지와 EEG/MEG와의 상관관계 및 통계분석을 통하여 EEG와 MEG에서 일치성 및 상관성을 살펴보고 향후 성격 및 감성성향 판단 및 분류에 있어서 MEG의 효용성 측면을 살펴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 및 행동활성화체계와 과학성취도의 관계 (Relations of Behavioral Inhibition/Ac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 남지연;양일호;홍은주;임성만;김은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59-67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학습 동기체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과학 성취도 검사를 위해 TIMSS 2007을 선정하고 번역하였다. 이후, 초등학교 4학년 496명, 중학교 2학년 425명이 과학학습행동억제/활성화체계(SL-BIS/BAS)와 과학 성취도 검사지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성취도는 SL-BIS와 부적상관이 있으며, SL-BAS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과학 성취도에 대한 두 체계의 설명력은 12%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에서 SL-BIS/BAS의 분석을 통해 동기와 관련변인을 근본적으로 이해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지도 계획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청년층과 노인층의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 민감도에 따른 뇌파의 1/f 스케일링 분석 (1/f scaling exponent of EEG depending on different sensitivities of behavioral activation and inhibition systems for young and elderly groups)

  • 진승현;김원식;노기용
    • 감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415-42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행동활성화체계(Behavioral Activation System : BAS)와 행동억제 체계(Behavioral Inhibition System : BIS)의 성향이 청년층과 노인층의 뇌파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은 19명의 청년층과 31명의 노인층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고, 안정 상태의 양측 전전두엽 뇌파를 측정하였다. 분석은 비선형 지수 중 하나인 1/f스케일링 지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BAS 성향에서 1/f스케일 지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좌측 전전두엽(Fpl)에서는 청년층의 1/f스케일 지수가 노인층의 1/f스케일 지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고, 우측 전전두엽(Fp2)에서도 청년층이 노인층에 비해 높은 1/f스케일 지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1/f 스케일 지수가 클수록 복잡도는 감소하고, 반면 확률분포에 관련된 정보의 양은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해, 주관적 평가 결과로서 행동 활성화체계가 강한 성향을 가진 경우, 노인층은 청년층에 비해 양측 전전두엽의 복잡도가 높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BAS성향과 연령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