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햄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Sensory Properties for Chicken Meat Products i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여성의 닭고기 제품에 관한 관능평가 분석)

  • Kim, Gye-Woong;Km, Hack-Youn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43 no.3
    • /
    • pp.129-134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nsory properties of chicken meat products, such as color, flavor, tenderness, juiciness, taste, and so on, in multi-cultural familie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a total of 80 consumers. H-4, which contained 80.2% chicken meat ham out of the 5 hams was shown to score 7.00 of 10 points on the Likert scale compared to the others products (P<0.05). Loyalty purchasing of chicken ham showed the middle level, 6.50 points (P<0.05). Preferences for color, flavor, tenderness, juiciness and taste of chicken breast ham in South East-Asia showed higher values than those in Korea and Vietnam (P<0.05). The preferences of dakgalbi for sensory properties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 color preferences of chicken mixed press ham showed higher values in South East-Asia than those in Vietnam (P<0.05). The purchase intension of chicken press ham after manufacturing was the highest, 4.12 points, for chicken meat products.

쑥 첨가가 돈육제품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 Gang, Se-Ju;Hyeon, Jae-Seok;Jeong, In-Cheol;Mun, Y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23-126
    • /
    • 2004
  • 소시지의 구성아미노산 총량은 Bo 소시지가 Eo 소시지보다 많고, B+ 소시지가 E+ 소시지보다 많아서 원료육의 등급이 소시지의 구성아미노산 총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패티의 아미노산 함량은 Bo 패티가 Eo 패티보다 총량이 적었고, 쑥을 첨가한 패티가 첨가하지 않은 패티보다 많았다. 수육의 아미노산 총량은 Bo 수육이 Eo 수육보다 적어서 원료육의 등급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햄의 아미노산 총량은 Bo 햄이 Eo 햄보다 적어서 등급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네 종류의 육제품 모두에서 가장 많은 조성을 차지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의 순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은 5.45${\sim}$13.60% 사이었다. 돈육 소시지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34.44${\sim}$35.94%, 불포화지방산이 60.71${\sim}$63.72%로 등급이나 쑥의 첨가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패티의 지방산 조성은 전체적으로 포화지방산이 33.83${\sim}$37.14% 수준이고, 불포화지방산은 59.52${\sim}$63.09%로 Bo 패티가 Eo 패티보다 높았으며, 쑥의 첨가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았다. 수육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40.87${\sim}$45.73%로 Bo와 Eo 수육이 비슷하여 등급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그리고 쑥을 첨가한 B+와 E+수육이 쑥을 첨가하지 않은 Bo와 Eo 수육보다 포화지방산 조성비가 적제 나타났다. 햄의 포화지방산은 쑥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Bo 햄이 Eo 햄보다 다소 많았고, 쑥을 첨가하지 않은 햄이 쑥을 첨가한 햄보다 적었다.분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기를 단계별 복합처리로 저 allergy 처리는 단계별로 점차적으로 allergy가 감소되었다. 즉 단계별로 억제가 안되는 것부터 억제되는 처리를 복합적으로 처리한 것으로 그 단계는 천연효소처리에 인산염 처리, 여기에 초음파 처리, 마지막 단계로 3분 끓이면 억제율이 68%까지 억제되었다. 이는 단일처리시 전혀 억제를 못하는 처리를 단계별로 한 단계씩 더해가면 allergy 억제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초음파 처리도 역시 저 allergy 처리 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그 처리로 인해 새로운 알러젠이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합처리로 allergy를 감소시키면 연속적이고 동시적으로 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환경현안에 대한 정치경제적 접근을 외면하지 말고 교과서 저작의 소재로 삼을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환경관리주의'와 '녹색소비'에 머물러 있는 '환경 지식교육'과 실천을 한단계 진전시키는 작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후 10년의 환경교육은 바로 '생태적 합리성'과 '환경정의'라는 두 '화두'에 터하여 세워져야 한다.배액에서 약해를 보였으나,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50 ${\sim}$ 100배액 어디에서도 액해를 보이지 않았다. 별도로 적용한 시험에서, 토마토의 경우에도 25% 야자지방산 비누 50 ${\sim}$ 100배액 모두 약해를 발생하지 않았으나, 오이에서는 25% 야자지방산 비누 100배액에도 약해를 나타내었다. 12. 이상의 결과, 천연지방산을 이용하여 유기농업에 허용되는 각종의 살충비누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방제가 조사결과 진딧물, 응애 등 껍질이 연약한 곤충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된 살충비누를 활용하면 환경친화적인 해충방제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능을 충진시켜

  • PDF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s on Refrigerated Pork Hams Treated with Acetic Acid (초산으로 처리한 냉장 돼지고기 햄의 미생물 증식억제)

  • 이재일;신은하;김창렬;김광현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9 no.4
    • /
    • pp.484-489
    • /
    • 1996
  • The influence of acetic acid (AA) dips on aerobic plate counts (APC), gram-negative bacterial counts (GNC), pH, and sensory tests of pork hams was studied during storage at 4$^{\circ}C$. Pork hams were treated by dipping in 0.5~3.0%(v/v) AA for 0~3 min. Treatments of 1.0~3.0% AA for 3 min completely (P<0.05) inhibited the GNC for 12 days of storage. Treatments of 3.0% AA for 3 min completely (P<0.05) inhibited the APC for 12 days of storage. Treatments with 1.0~3.0% AA for 0~3 min prolonged the microbiological shelf-life to 12 days of storage. Sensory evaluations of pork hams treated with acetic acid were liked less than the fresh controls due to acidic odor and whitness.

  • PDF

The Study of Anti-mutagenic Activity of Various Additive Materials on Pot-stew (부재료 첨가에 따른 찌개의 항변이원성 검색)

  • 최은미;윤혜경;구성자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4 no.5
    • /
    • pp.475-481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mutagenicity of pork and ham pot-stew and the anti-mutagenicity of various additive materials on pot-stew by the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Boiled kimchi didn't show mutagenicity and effectively inhibited the mutagenicity induced by 4-NQO and Trp-p-1. But boiled pork and ham showed mutagenicity dose-responsively and pork's mutagenicity was higher than that of ham. On the mutagenicity of boiled pork and ham, the inhibition of kimchi was most effective and when scallion and galic was added with mushroom showed synergic effect. Boiled ham made in USA did not show mutagenicity different from ham made in Korea because of the addtion of ascorbic acid and when mutagen was added it's mutagenicity was lower than that of ham made in Korea.

  • PDF

식염첨가량에 따른 로인햄의 이화학적, 조직학적 및 관능적인 특성 평가

  • Lee, Hong-Cheol;Hwang, Ji-Suk;Jin, Gu-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182-185
    • /
    • 2005
  • 본 연구는 식염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로인 햄의 품질특성을 평가하고, 제조 가능한 최저식염첨가수준을 결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식염첨가량을 0, 0.5, 1.0, 1.5, 2.0%로 달리하여 염지액을 다침주사로 주입한 로인 햄의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 및 관능적 성상을 평가하였고, 고염처리구와 비교하였다. 제조한 로인 햄의 pH, 그리고 수분, 지방, 단백질 함량은 각각 5,8${\sim}$5.9, 66${\sim}$70%, 1${\sim}$l.3%, 21${\sim}$26%였다. 수분함량은 식염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반면에 단백질함량은 식염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명도에서만 고염 처리구 중 1.5%가 저염 처리구 0.5%이하와 차이를 보였다. 보수력은 식염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반면에 가열감량은 식염 무첨가구가 0.5%이상의 식염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조직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allo-kramer 전단력 측정 결과, 식염 무첨가처리구는 0.5${\sim}$1% 식염첨가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1.5${\sim}$2% 첨가처리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곁과에서 식염 무첨가구는 평가항목 전반에 걸쳐서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다즙성, 색도, 염도 및 총체적인 항목에서 매우 낮게 평가되어 제품으로서 가치를 상실하였다. 반면에 0.5% 이상의 식염 첨가구는 식염첨가량에 관계없이 유사한 관능적 특성을 보였으며, 2.0%의 고염 처리구는 오히려 염도에서 다른 평가항목보다 낮게 평가되었고, 1.0% 식염 첨가구는 오히려 조직감과 염도에서 매우 좋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 가능한 식염첨가최저수준은 0.5%이상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로인 햄의 제조에 필요로 되는 식염의 첨가량은 0.5${\sim}$1.5% 범위로 평가된다. 차후의 연구로는 저염 로인 햄의 경우 품질의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기능성 첨가물이나 가공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도살체중이 부위별 돈육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 Yang, Jong-Beom;Jeong, In-Cheol;Mun, Y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61-265
    • /
    • 2005
  • 본 연구는 도살체중이 돈육의 등심, 목살, 삼겹살 및 햄 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동결감량과 해동감량은 도살체중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등심 및 햄 부위가 목살 및 삼겹살보다 높았다. 팬에 의한 가열감량은 도살체중에 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등심, 목상 및 햄 부위가 삼겹살보다 높았다. 열탕 가열감량은 도살체중의 영향은 없었으나 등심이 가장 높고, 목살이 가장 낮았다. 돈육의 $L^{\ast}$, $a^{\ast}$$b^{\ast}$값은 도살체중의 영향이 없었다. Hardness와 springiness는 도살체중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W110인 등심과 삼겹살의 cohesiveness가 SW90보다 높았으며, gumminess, chewiness 및 전단력가는 삼겹살이 가장 높았으며, 대체로 도살체중이 높은 것이 높았다. 가열육의 맛은 SW110 삼겹살이 가장 높았고, 향기는 SW110 목살과 삼겹살이 가장 높았다.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도 삼겹살과 목살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돈육의 기호성은 도살체중과 부위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특수목적식품 제조용 프레스햄의 위생화를 위한 제조공정 단계별 감마선 조사기술 적용 : 미생물학적 평가

  • Byeon, Ui-Baek;Lee, Ju-Un;Kim, Jae-Hun;O, Sang-Hui;Seo, Ji-Hyeon;Kim, Jang-Ho;Byeon, M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82-284
    • /
    • 2005
  • 본 연구는 특수목적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대표적인 비가열 살균처리 기술인 방사선 살균기술을 이용하여 저장 중 프레스햄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감마선비조사구의 경우 제조공정 단계에 관계없이 $30^{\circ}C$ 저장 4일 째에 모두 미생물 생육이 활발해져 장기저장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마선을 조사할 경우 훈연후 및 살균전 시료의 경우 5 kGy, 살균후 시료의 경우 3 kGy의 감마선 조사로 $30^{\circ}C$ 저장 4일 까지 미생물의 생육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기술은 프레스햄의 살균방법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특히 장기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우주식, 환자식, 전투식량 등의 특수목적식품의 개발에 그 이용이 가능하다 할 수 있다.

  • PDF

Consumer Perception, Purchase Behavior and Demand on Ham and Sausage Products (햄.소시지제품에 대한 소비자 의식 및 구매 실태)

  • Cho, S. H.;Park, B. Y.;Chin, K. B.;Yoo, Y. M.;Chae, H. S.;Ahn, J. N.;Lee, J. M.;Yun, S. 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5 no.2
    • /
    • pp.273-282
    • /
    • 2003
  • Consumer survey(n=1,343)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perception, purchase behavior and demand on the processed meat products. Most consumers purchased the ham and sausage products once a month (40.73%). Consumers(47.19%) didn’t distinguish between ham and sausage products due to the similarity of meat contents and additives in products. Consumers(72.75%) considered the product label when they purchased whereas 27.25% of consumers were not interested in the product label. Consumers(47.65%) were not satisfied with ham and sausage products because there were too much additives other than meat, there were many similar processed products in kinds and appearance(27.70%) and they could hardly detect meat taste(11.62%). Consumers demanded to produce the ham and sausage products which contain high meat contents(64.04%). Consumers were favored with establishment of the price differential system depending on the quality based on meat contents in the product(83.54%). In conclusion, the establishment of the price differential system depending on quality as well as the quality grading system for processed meat products is needed not only to increase the processed meat market but also increase the pork consumption especially for non-preferred pork portions.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in Commercial Cured Products 2. The effect of cooking methods on N-Nitrosamine formation in commercial Ham and Sausages (시판 식육제품 중 N-Nitrosamine의 생성 제2보. 조리방법이 햄 및 소시지의 N-Nitrosamine 생성에 미치는 영향)

  • 박계란;이수정;신정혜;성낙주;임상선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13 no.4
    • /
    • pp.406-411
    • /
    • 1998
  • Representive cured products such as ham and sausage produced in Korea were purchased at retail and cooked using heating tools such as a gas range (GR), an electric range (ER) and electric range after boiled (BE). Changes of N-nitrosamine (NA), nitrate and nitrite in the cured meats containing< $2.0\;\mu\textrm{g}/kg$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were checked and analyzed during their cooking process.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in ham products prior to cooking were 2.0 and 1.8 mg/kg, respectively; their contents in regular hams were slightly increased, but those of nitrate in press hams were decreased while those of nitrite were increased during its cooking process. Their contents in sausage products were 1.8 and 0.9 mg/kg; those of nitrate were decreased, while nitrite were slightly increased during its cooking process. NDMA detected only NA in all the collected cured products. Changes of NDMA, regardless of cooking methods, tend to drastically increase in all samples after their cooking; Its contents were increased by average 6.0~70.7 times in the GR samples, by average 2.4~39.2 times in the ER samples and by average 7.0~56.3 times in the BE samples. Virtually, the fact that all of this nitrosamine appeared to arise by the action of precursor such as NOx was produced during the cooking of cured produ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