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핸들러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3초

DEA와 Tobit 모형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장비 효율성 결정요인 (The Efficiency Determinants to Port Cargo Equipment on Container Terminals to DEA & Tobit Model)

  • 박홍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7
    • /
    • 2010
  • 항만하역시설은 효율화는 항만 경쟁력의 핵심요소이다. 항만하역서비스강화를 위하여 주요항만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야드장비의 운영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효율과 비용절감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에 있어서 다양한 야드장비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투입요소는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에서 4가지의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며 산출요소는 환적물동량이다. 컨테이너야드 운용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Tobit분석을 이용하여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형1은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두 변수가 투입된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은 Tobit I 과 Tobit II 두 모형에서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며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이 겐트리크레인보다 효율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모형2와 모형 3은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이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모형 4는 Tobit II에서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의 증가가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환적량에 의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모형 5와 모형6은 야드트랙터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 상승요인이다. 모형7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는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의 증가가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환적량에 의한 효율성에 영향을 준다 모형 8과 모형 9는 야드트랙터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 상승요인이다.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계수가 야드트랙터 계수보다 커서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환적량을 이용하여 도출한 효율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모형 10에서 겐트리크레인은 5%에서 유의하지 않은데 비해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은 Tobit I에서 5%, Tobit 2에서 8% 수준에서 음의 부호로 유의하다. 모형 11와 모형 12는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iOS 애플리케이션 GUI 테스팅을 위한 영향 관계 기반 커버리지 및 테스트 케이스 생성 (Effect Relation-based Coverage and Test Case Generation for GUI Testing of iOS Applications)

  • 서용진;문대건;김현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3호
    • /
    • pp.151-160
    • /
    • 2013
  • iOS 애플리케이션은 애플에서 개발한 모바일용 운영체제인 iOS 위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iOS가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iOS 애플리케이션은 대부분 GUI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 iOS 애플리케이션에서 GUI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GUI 테스트에 대한 중요성도 높아지게 된다. GUI의 기능은 이벤트 핸들러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이벤트 핸들러 자체에 결함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곧 GUI의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벤트 핸들러 자체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iOS 애플리케이션의 GUI 테스트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이벤트 핸들러의 입력 도메인을 재정의하고 이로부터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SyncML 자료 동기화 클라이언트를 위한 세션 핸들러 모듈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ession Handler Module for SyncML Data Synchronization Clients)

  • 하병훈;박기현;주홍택;우종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5호
    • /
    • pp.741-748
    • /
    • 2005
  • SyncML은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제안된 개방적 표준 자료 동기화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SyncML 자료 동기화 클라이언트 개발을 위해서 필요한 세션 핸들러(Session Handler) 모듈과 사용자 환경 설정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세션 핸들러는 통신 세션을 제어하고 교환되는 메시지의 헤더 부분을 생성하고 적합성을 판단하는 모듈로서, SyncML 자료 동기화 시스템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세션 핸들러 모듈과 사용자 환경 설정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리눅스를 운영체제로 하는 자우루스 PDA에 포팅한 후, 무선인터넷 국제표준화 포럼인 OMA의 인증을 받은 Synthesis 서버와 연동하여 자료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DDoS 공격에 대한 탐지 및 추적시스템 제안 (A Proposal for Detection and Traceback System against DDoS Attack)

  • 이근수;박지현;장진용;송주석;유동영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1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9-42
    • /
    • 2001
  • 인터넷 기술자 시장의 급성장으로 인터넷통신은 우리 생활속에 크게 자리잡고 있다. 그런 만큼 인터넷으로부터 얻는 정보는 가히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런 환경에서 최근 웹사이트의 정상적인 서비스를 방해하는 DDoS 공격은 공격방법과 은닉기법이 날로 첨단화·다양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탐지와 근원지 추적이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DoS 공격의 중간 계층인 핸들러와 에이전트를 추적하기 위해, 핸들러·에이전트간의 통신 취약점을 이용, 이를 탐지하고 역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리턴 스택 버퍼를 이용한 마이크로아키텍처 데이터 샘플링 공격

  • 김태현;신영주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9
    • /
    • 2021
  • 마이크로아키텍처 데이터 샘플링 공격 중 하나인 Zombieload 공격은 마이크로코드 어시스트를 이용하여 물리 코어를 공유하는 다른 논리 코어가 접근하는 데이터를 읽는 공격이다. 마이크로코드 어시스트는 페이지 폴트 과정에서 로드 명령어를 수행할 때 발생하므로, Zombieload 공격은 시그널 핸들러 또는 TSX로 페이지 폴트를 처리 또는 억제한다. 그러나 시그널 핸들러에서 발생하는 잡음과 TSX를 지원하는 프로세서 수의 부족이 Zombieload 공격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페이지 폴트를 RSB를 이용한 잘못된 추측 실행으로 처리하여, 기존의 한계점을 개선한 새로운 Zombieload 공격을 제안한다. 제안한 공격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을 통해 기존의 Zombieload 공격과 성능을 비교한다. 끝으로 제안한 공격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방어 기법을 제시한다.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 픽커 검사장비 프레임에 대한 구조 및 피로해석 (Structure and Fatigue Analyses of the Inspection Equipment Frame of a Semiconductor Test Handler Picker)

  • 김영춘;김영진;국정한;조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5906-5911
    • /
    • 2014
  • 요즈음 생산되는 반도체의 제품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낮은 습도 또는 높은 온도에서 잘 견디는가를 검사하는 패키지 조립 및 검사 공정이 현장에 많이 있다. 또한 검사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 픽커 검사장비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CATI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D 모델링하였으며, ANSY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 픽커 검사장비 프레임의 모델에 대하여 3가지 피로하중에 대한 해석을 하였다. 해석 결과로서 Case 1과 Case 2 모두 프레임의 가운데에서 최대 변형량이 발생하고 불규칙 피로 하중들 중에서 가장 하중의 변동이 심한 'SAE bracket history'가 가장 불안정하고 'Sample history'가 가장 안정함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피로 해석 결과는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 픽커 검사장비 프레임의 파손방지 및 내구성을 검토함으로서 그 프레임의 설계에 효율적으로 활용이 될 수 있다.

로봇팔 직접 교시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Robot Arm Direct Teaching System)

  • 현웅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85-92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로봇팔의 선단을 잡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작업을 직접 교시하는 직감적인 교시 및 제어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로봇팔 선단부의 위치 방향 및 자세 방향 힘을 측정하는 6축힘 센서, 선단부에서 측정된 힘에 의한 로봇팔 관절 속도제어 명령어 생성 알고리즘, 자체 제작한 6축 로봇팔 및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선단부 핸들러에 부착된 힘센서를 통해 로봇팔 조작자가 핸들러를 조종하는 위치 자세의 6차원의 힘/토크를 감지하고 이를 선단부 조종속도 명령으로 변환하여 6축 로봇팔을 제어한다. 연구 방법의 검증은 자체 제작된 6축 로봇으로 실행하였으며, 조종자의 핸들러 조정을 통한 작업교시에 의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힘 센서기반 로봇 선단 제어 방법이 성공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메모리 모듈 핸들러의 효율적인 알람코드 생성에 관한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Efficient Alarm Code Generation Algorithm in Memory Module Handler)

  • 김동수;박구락;김준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1호
    • /
    • pp.45-46
    • /
    • 2018
  • 메모리 모듈 핸들러가 동작을 할 때에는 정상적인 동작을 주로 하지만, 모터나 실린더 혹은 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알람이 발생할 때가 있다. 이때 해당 알람에 대한 고유의 알람 코드가 있어야 하며, 기존 방식은 알람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작성하거나, 모터나 IO를 기준으로 하여 알람 코드를 작성하였다. 그러나 모터나 IO수가 늘어남에 따라 알람코드를 생성하는 일이 매우 큰 일이 되었다. 또한 작성자에 따라서 일관성도 없어서 알람코드가 추가되지 않은 알람에 대해서는 소스 없이 알람 코드만 보고 어떤 알람인지 판단하기가 어려워져, 알람 발생에 대해 신속한 대응을 할 수가 없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터와 IO에 대한 알람은 알람코드에 일정한 규칙을 만들어 신속히 생성하고, 소스에도 바로 추가시킬 수 있으며, 작성자가 다르더라도 일관성 있는 알람 코드가 추가되어 어떤 장비라도 어느 알람인지 알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ISO/IEEE 11073 표준 프로토콜 기반의 산소포화도 전송 에이전트 설계 (Design of an $SpO_2$ Transmission Agent based on ISO/IEEE 11073 Standard Protocol)

  • 박주건;임승현;박기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62-465
    • /
    • 2011
  • 맥박산소측정기는 비침습적으로 사용자의 혈중 산소포화도(percentage oxygen saturation of haemoglobin: SpO2)를 측정 및 모니터링 하는 기기이다. 맥박산소측정기를 포함한 대부분의 개인건강기기 (Personal Health Device: PHD) 들은 데스크톱 컴퓨터에 비해 제한된 리소스를 가지므로, 측정한 데이터를 근거리의 매니저 (스마트폰, PC)에 전송하고, 매니저를 통해 원격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개인건강기기와 매니저 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상호호환성의 관점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인건강기기에 관한 국제 표준인 ISO/IEEE 11073 (X73) 프로토콜 기반 산소포화도 전송 에이전트의 설계 결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의 에이전트는 맥박산소측정기가 측정한 사용자의 산소포화도 및 맥박 수를 X73 메시지로 생성하여 매니저에게 전송하는 임베디드 프로그램으로 세션핸들러, 메시지 핸들러, 그리고 메모리 핸들러로 구성된다. 세션 핸들러는 원격 모니터링 서버와의 통신 세션 연결, 해제를 담당하고, 메시지 핸들러는 X73 메시지의 생성 및 해석을 담당한다. 메모리 핸들러는 맥박산소측정기 메모리에 저장된 맥박 및 산소포화도를 추출한다. 본 논문의 산소포화도 전송 에이전트를 사용함으로써, 맥박산소측정기는 x73 표준을 따르는 여러 매니저들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맥박산소측정기와 매니저 간 상호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