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핵연료 봉

Search Result 26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ANFLEX-NU 핵연료봉 봉단마개 부위에서의 열.기계적 거동 해석

  • 심기섭;박광석;정창준;석호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65-70
    • /
    • 1996
  • 중수로용 핵연료봉의 봉단마개 부위는 열.기계적 작용에 의해 핵연료봉 파손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취약 부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핵연료봉 설계시 봉단마개 부위의 열.기계적 거동을 해석하고, 이 결과를 설계에 반영하여 파손 가능성이 없음을 확인하여야 한다. 여기에서는 중수로용 개량 핵연료인 CANFLEX-NU 핵연료봉 봉단마개에서의 열.기계적 거동을 해석하였는데, 이 결과 CANFLEX-NU 핵연료봉은 출력이 매우 낮아서 열중성자속 집중을 고려하더라도 봉단마개 부위 건전성을 충분히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ANFLEX핵연료다발의 압력강하특성

  • 정장환;정홍준;장석규;김복득;석호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644-649
    • /
    • 1995
  • 중수로용 개량핵연료인 CANFLEX핵연료다발 시제품을 고온/고압의 원자로 운전조건에서 시험하여 CANFLEX핵연료다발의 압력강하 특성을 조사하였다. CANFLEX핵연료다발의 최빈 압력강하량은 현재 월성발전소에 사용중인 CANDU 37봉핵연료봉다발의 값과 거의 동일하였으며 핵연료 채널의 압력강하 설계기준을 만족하였다. CANDU 37봉핵연료다발이 장전된 핵연료채널에 새로운 CANFLEX핵연료다발을 일부 교체하는 것을 모의한 천이채널에서의 실험결과도 압력강하 설계기준을 만족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Nuclear Fuel Rod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한 핵 연료봉 문자 자동인식시스템 개발)

  • Woong Ki Kim;Yong Bum Lee;Jong Min Lee;Sung IL Chie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5 no.3
    • /
    • pp.424-429
    • /
    • 1993
  • Numeric characters are printed at the end part of nuclear fuel rod containing nuclear pellets. Fuel rods are discriminated and managed systematically by these character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fuel assembly. The characters are also used to examine manufacturing process of fuel rods in the survey of burnup efficiency as well as in inspection of irradiated fuel rod. Therefore automatic character recogn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in automatic manufacture of fuel assembly. In this study,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is developed. In the developed system, mesh feature extracted from each character written in the fuel rod has been compared with reference feature value stored in database, and the character is thus identified. In the result of experiment, 95.83 percent recognition rate is achievable.

  • PDF

Analysis of Fuel Rod Behavior under Rod Ejection Accident (제어봉이탈사고시의 핵연료봉 거동 분석)

  • 이찬복;김오환;임익성;유호식;정진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311-316
    • /
    • 1996
  • 제어봉이탈사고시의 핵연료봉 거동을 연구로에서의 반응도사고 모사실험 결과와 기존의 핵연료 손상기준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반응도사고시 고연소도 핵연료의 손상은 주로 PCMI 기구로 발생하는데, 고연소도에서의 피복관의 부식 및 수소화 그리고 방사선조사에 의한 연성감소와 산화층 박리로 인한 수소화합물의 국부적인 집중화로 인한 피복관의 현저한 연성감소가 주요 원인이었다. 기존의 핵연료 손상 기준에서 DNB가 일어날때 핵연료 손상이 발생한다는 가정은 낮은 핵연료엔탈피에서 핵연료 손상이 일어나는 것과 동일함을 확인하였으며, 현재까지 발표된 실험자료와 핵연료손상기구의 분석을 통해 연소도에 따른 반응도사고시의 핵연료손상기준을 예비적으로 유도하였다. 핵연료손상은 낮은 연소도에는 DNB로 발생하고 고연소도에서는 PCMI로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과도상태에서의 고연소도 핵연료의 건전성 유지를 위해서는 피복관 산화층의 박리로 인한 수소화합물의 집중화로 피복관의 연성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 PDF

사용후핵연료 연료봉 인출장치개발 연구

  • 박병석;윤지섭;김진웅;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476-482
    • /
    • 1996
  • 사용후핵연료 관리 및 후행핵연료주기 시설에서 요구되는 사용후핵연료 연료봉 인출기술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료봉 인출장치를 제작하였으며, 모의 연료봉을 사용하여 이를 인출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장치의 성능을 시험하였다. 인출장치는 컴퓨터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부분의 인출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장치의 개선점을 제시하였고, 또한 향후 실제 사용후핵연료 시설에 적용할 경우에 대비한 보완책도 제시하였다.

  • PDF

Study on the Quantitative Rod Internal Pressure Design Criterion (정량적인 핵연료봉 내압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 Kim, Kyu-Tae;Kim, Oh-Hwan;Han, Hee-Ta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3 no.4
    • /
    • pp.363-373
    • /
    • 1991
  • The current rod internal pressure criterion permits fuel rods to operate with internal pressures in excess of system pressure only if internal overpressure does not cause the diametral gap enlargement. In this study, the generic allowable internal gas pressure not violating this criterion is estimated as a function of rod power. The results show that the generic allowable internal gas pressure decreases linearly with the increase of rod power. Application of the generic allowable internal gas pressure for the rod internal pressure design criterion will result in the simplication of the current design procedure for checking the diametral gap enlargement caused by internal overpressure because according to the current design procedure the cladding creepout rate should be compared with the fuel swelling rate at each axial node at each time step whenever internal pressure exceeds the system pressure.

  • PDF

와전류시험에 의한 조사핵연료봉의 건전성 평가

  • 구대서;박윤규;김은가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651-657
    • /
    • 1995
  • 고리원자력1호기에서 각각 2주기, 4주기동안 연소한 핵연료봉 G33-N2(평균연소도:3464MWD/MTU) 및 G23-14(평균연소도:13917MWD/MTU)에 대하여 와전류시험을 수행한 결과 G33-N2 핵연료봉 하단으로부터 각각 2290mm, 2878mm 위치에 관통결함신호와 내부결함신호를 얻었다. 또한 G23-l4 핵연료봉에서는 ridge 와전류신호를 획득하였다. 비파괴적 와전류시험을 통하여 관통결함 및 내부결함으로 예측된 위치에서 파괴적 금속조직시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와전류시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G23-l4 핵연료봉에서 획득한 ridge 와전류신호는 직경측정시험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와전류시험을 통하여 핵연료봉에 대한 건전성 평가 도구로서의 그 신뢰성이 양호함을 실증하였으며 핵연료봉의 ridge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Multi Zone Fuel Model for CANDU Reactor (CANDU 원자로용 다영역 핵연료모델)

  • 전용준;오세기;정근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3.11a
    • /
    • pp.109-109
    • /
    • 1993
  • CANDU 원자로 지역별 대표 핵연료봉 1개에 대하여 열행태를 해석할 수 있는 '평균 단일 핵연료(ASF : Averaged Single Fuel)' 모델을 우선 제안하였다. 핵 연료봉 하나를 12 개 동일 체적의 환형 격자로 나누고 시공간을 고려하는 전진 유한 미분 해석을 적용하여 핵연료봉내에서의 열적 변이를 모사 하였다. 핵연료의 전도도 및 비열은 온도에 종속함이 가정되었다. 주어진 열출력에 대하여, 핵연료와 피복관내의 정상상태 온도분포를 산출하였고 주어진 냉각재 온도 및 표면 열 전달 계수에 대하여 핵연료봉 단위 길이당 저장열을 계산하였다. 초기 온도 분포의 임의 값에 대하여, 시간 단계별 열출력 및 열전달 계수 변이에 따른 저장열, 온도 분포, 냉각재료의 출력과 피복관 온도 변이를 계산하였다. 이후 ASF 모델을 CANDU 14개 지역 출력 특성의 실제적 모사 및 해석이 가능하도록, 14개 지역 대표 핵연료봉모델 모두를 동시에 포함하는 '다영역 핵연료(MZF : Multi Zone Fuel)' 모델로 확장하였다.

  • PDF

$UO_2$ 핵연료 및 혼합핵연료의 노내거동 비교

  • 구양현;이병호;손동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630-635
    • /
    • 1995
  • 장차 우리나라에서 미래형 핵연료의 한 종류로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경수로용 혼합핵연료가 기존의 $UO_2$ 핵연료와 노내거동에서 어떤 차이를 야기시키는가를 물리적 성질변화 및 반경방향 출력변화의 관점에서 예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혼합핵연료는 $UO_2$ 핵연료에 비해 (1) 열전도도가 작아 핵연료 온도가 높았고 (2)증가된 핵연료 온도로 인해 핵분열기체 방출률도 증가하여 핵연료봉 내압의 관점에서는 불리하였으나 (9)증가된 핵연료 내압으로 인해 냉각수 압력과 핵연료봉 내압의 차이가 감소하여 피복관 변형도가 감소하므로써, PCI 판점에서는 $UO_2$ 핵연료에 비해 유리하였다.

  • PDF

핵연료봉 내압 및 지지조건의 변화가 핵연료봉의 진동모드에 미치는 영향

  • 강흥석;윤경호;송기남;전태현;정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297-302
    • /
    • 1998
  •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스프링으로 연속 지지되고 축방향 하중이 작용하는 핵연료봉의 자유진동 해석올 수행하였다. 본 해석에는 지지격자 지지점에서 핵연료봉의 변위가 구속되지 않는 실제 경계조건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경계조건은 지지점 스프링 상수에 의하여 핵연료봉 해석모델의 탄성항이 약화되는 현상을 반영할 수 있어서 지지점이 구속된 기존의 모델보다 고유진동수를 작게 예측한다. 스프링 상수가 어떤 임계값 이하를 갖는 경우 고유진동수 뿐만 아니라 모드형상도 크게 변하기 때문에 지지점을 구속한 모델에 의한 해석은 실제 진동현상을 상당히 왜곡 할 수 있다. 핵연료봉에 작용하는 축방향력이 인장력에서 압축력으로 감소함에 따라 고유진동수도 감소하지만 핵연료봉의 고유형상은 변하지 않았다. 지지격자 스프링 상수의 점진적인 감소와 핵연료봉 축방향 압축력의 감소를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 고유 진동수는 두 변수를 별도로 적용했을 때 얻은 최소값의 변화에 따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