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핵심저널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research patterns of domestic library & information professors through analysis of articles covered by SSCI (국제학술지(SSCI)에 등재된 논문을 통한 국내 문헌정보학자들의 연구동향 분석 연구)

  • 최희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0.08a
    • /
    • pp.215-218
    • /
    • 2000
  •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측정을 통해 국내 문헌정보학자들의 연구동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과학분야 학술지에 대한 대표적인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인 SSCI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다양한 관점, 즉 저자별, 주제별, 저널별. 출신학교별, 소속대학별, 연도별, 연령별, 핵심전공주제별, 핵심저자별 및 핵심저널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문헌정보학의 국제화 및 이에 따른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본다.

  • PDF

A Keyphrase Extraction Model for Each Conference or Journal (학술대회 및 저널별 기술 핵심구 추출 모델)

  • Jeong, Hyun Ji;Jang, Gwangseon;Kim, Tae Hyun;Sin,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81-83
    • /
    • 2022
  • Understanding research trends is necessary to select research topics and explore related works. Most researchers search representative keywords of interesting domains or technologies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However some confere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or data mining fields recently publish hundreds to thousands of papers for each year. It makes difficult for researchers to understand research trend of interesting domains. In our paper, we propose an automatic technology keyphrase extraction method to support researcher to understand research trend for each conference or journal. Keyphrase extraction that extracts important terms or phrases from a text, is a fundamental technology for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uch as summarization or searching, etc. Previous keyphrase extraction technologies based on pretrained language model extract keyphrases from long texts so performances are degraded in short texts like titles of pap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onolgy keyphrase extraction model that is robust in short text and considers the importance of the word.

  • PDF

열공학-새로운 기술과 핵심적 현상

  • 부준홍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8
    • /
    • pp.725-733
    • /
    • 1992
  • 1. 열공학의 신기술과 핵심현상 1) 배경 2) 주요기술분야 3) cross-cutting technical Issues 4) 주요기술분야 요약 2. 열역학의 새로운 교육방법

  • PDF

Electric Power - Smart 톡톡 - 최신 전기시사용어 해설 Smart 톡톡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12
    • /
    • pp.66-67
    • /
    • 2011
  • 우리나라는 원자력발전 3대 핵심기술인 원전계측제어시스템(MMIS), 원자로냉각재펌프(RCP), 원전설계핵심코드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가장 먼저 MMIS가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IAEA로부터 우수성을 평가받을 정도로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다. 원전설계핵심코드 중 노심설계코드도 2010년에 개발을 완료하였다. RCP도 일부 구성품은 이미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2012년에 순수 국산제품 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Diachronous Journal Impact Factor (통시적 저널 영향력 지수에 대한 고찰)

  • Lee, Jae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4.08a
    • /
    • pp.3-6
    • /
    • 2014
  • 국내 인용 데이터베이스에서도 해외와 마찬가지로 저널 영향력 지수가 핵심 지표로 제공되고 있으며 저널 평가나 연구성과 평가의 기준 지표로 사용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저널에서는 논문이 발표된 당해년도에 인용되는 비율이 해외에 비해서 높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지 않는 영향력 지수는 국내 저널에 대해서는 더 불완전한 지수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해에 걸쳐 발행된 논문이 특정 연도에 인용된 횟수로 평가하는 저널 영향력 지수와 달리, 특정 연도에 발행된 논문이 여러 해에 걸쳐 인용된 횟수로 평가하는 통시적 영향력 지수의 개념과 산출방법을 알아보고 정보관리학회지를 대상으로 시험 측정한 결과를 살펴본다.

  • PDF

u-City 공공/민간 서비스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 Jeon, Ho-In
    • TTA Journal
    • /
    • s.112
    • /
    • pp.46-54
    • /
    • 2007
  • 본 고에서는 u-City를 구현할 때 가장 핵심적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의 종류를 소개하고 이 서비스들이 필요로 하는 공통적인 요구 사항을 정리한 후, 이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2007년 7월 현재 u-City Forum 기술 분과 위원회에서 표준화된 핵심 기술은 u-City 통합운영센터 기술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최적의 USN 아키텍처인 WiBEEM (Wireless Beacon-enabled Energy Efficient Mesh Network) 기술이다. 이 외에도 유비쿼터스 통합단말기 플랫폼 표준과 u-City를 위한 통합 코드체계 기술, 그리고 센서 데이터 포맷 표준화, u-City 시설물 관리 기술 표준화, USN 미들웨어 표준화, u-City 백본망과의 인터페이스 표준화, u-City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정보 보호 표준화 등이 앞으로 추진해야 할 대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