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핵심인재

Search Result 25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ractical Implications for Acquiring and Developing Top Talents (핵심인재 확보와 개발 관리의 시사점)

  • Yoon, Hyun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105-106
    • /
    • 2014
  • 최근 핵심인재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핵심인재는 전문적인 지식 및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는 인력 집단으로, 이러한 인력을 차별적으로 관리하는 핵심인재관리는 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핵심인재 확보와 개발을 둘러싼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고 핵심인재 확보 및 개발과 관련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PDF

Competency Modeling for the Top Talents in Innovative Enterprises and Its Implic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기업의 과학기술 핵심인재 역량모형 사례와 공학교육 및 인재관리에 대한 시사점)

  • Park, Jae-Min;Kim, Sun-Woo;Lee, Soo-Young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3 no.4
    • /
    • pp.26-35
    • /
    • 2010
  • The phase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growing i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major countries have a lot of effort being made to expand science and technology capabilities. Acquiring top tal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a key pillar of this effort. In this study, we show the needs of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need to look and expect the role of the top tal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we present implications for engineering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on the utilization of top tal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 PDF

Impact of High Potential Employee System on Corporate Performance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Competitive Strategy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핵심인재관리제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경쟁전략 및 기술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Jeon, Dong-Hwa;Chung, Dong-Seop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0 no.4
    • /
    • pp.315-338
    • /
    • 2011
  • A "high-potential employee" is an employee who has been identified as having the potential, ability and aspiration for successive leadership positions within the company and identify employees who have the greatest future potential and make them future-ready to take your organization to succes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corporate performance on the high potential employee system using the samples from HCCP panel data.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a significant high potential employee system though empirical research as well. Results of empirical study are summarized. Finally suggestion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lso discussed. In this article, we explore the role of competitive strategy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in the introduction of high-potential employees and its link to impact of these performance.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ore Employee Policy and Core Employee Management System on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MEs (중소기업의 핵심인재우대정책과 관리제도가 인적자원의 경쟁력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ung, Hyun-Woo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2 no.3
    • /
    • pp.153-172
    • /
    • 2013
  •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have limite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an large firms. SMEs are characterized by high risk and dynamic working environments. Thus human resources having knowledge and technologies are very important factor for survival and performance in SMEs. Recently, as core employee group is a key asset to firm competitiveness, many SMEs attend to set up core employee policy and system.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effect of core employee policy and core employee management system on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MEs.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core employee policy have non-significant influence core employee management system, core employee policy have positive influence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 core employee management system have non-significant influence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 and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 have positive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MEs.

  • PDF

A Study on the Relative Weights of the Components of Core Competence Based Learning Outcomes in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 (융합인재교육에서 핵심역량 기반 학습성과 구성요소의 상대적 가중치 연구)

  • Park, Ki-Moo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40 no.2
    • /
    • pp.239-25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a reasonable assessment of the learning outcomes of STEAM. It presented a learning outcome evaluation method, relative weights of key competencies standard that a learner should cultivate. For this study, a pairwise comparison questionnaire about the key competencies was conducted on the STEAM professionals, and AHP was applied to analyze the priority of main factors of key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capabilities of convergence accomplishment and capabilities of convergent cognition, in the first layer of key competencies, were 39.4% and 36.8%, respectively. In the education evaluation of the STEAM, capabilities of convergence accomplishment and capabilities of convergent cognition showed similar level of importance, and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factor than capabilities of convergence attitude (23.8%). Seco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capabilities of problem solving (20.0%) was highest in the second layer of key competencies, and followed by capabilities of creative thinking (18.3%), responsibility (15.3%), and understanding convergence knowledge (11.0%). Third, it will be a foundation of a competency evaluation, which reasonably evaluates, based on the relative weights, whether to accomplish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STEAM program In addition, this results is expected to become a guide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raise the learning outcome, as well as an education evaluation of the STEAM.

벤처의 살림밑천, 인재 제대로 키우는 방법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72
    • /
    • pp.14-15
    • /
    • 2005
  • 벤처기업의 핵심은 기술력이고, 그 기술력은 인재로부터 나온다. 곧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이 인재에게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기업의 든든한 재산이 될 만한 재목을 대학에서 알아서 키워주길 기다릴 것인가, 아니면 다른 기업이 공들여 키운 인재를 스카우트해 올 것인가. 바람직한 인재육성을 위해서는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이제 벤처기업도 그러한 역량을 발휘할 때이다.

  • PDF

키코(KIKO) 손실 중소기업의 위기극복 사례연구: 월드클래스 300기업 (주)쎄믹스를 중심으로

  • 정미화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91-96
    • /
    • 2023
  • 글로벌로 핵심기술 경쟁 및 최상의 기술을 적용한 제품 제조를 실현해야 하는 ICT 분야의 수출 제조 중소기업은 내부, 외부적인 환경적 요인뿐 아니라 다양한 위기상황을 겪게 된다. 이러한 위기상황을 극복하고자 기업 자체적인 전략을 다방면으로 모색하고 실행하여 성공한 수출 제조 중소 벤처기업인 '(주)쎄믹스'가 있다. 2000년에 설립한 (주)쎄믹스는 반도체 검사장비 중 하나인 Wafer Prober 제조 전문기업으로, 'Simple Perfection'이라는 슬로건 아래 23년간 'OPUS' 및 'OPERA'를 생산, 판매에 전념하고 있는 글로벌 강소기업이며, 지속적인 핵심기술 연구개발을 통해 품질혁신에 성공하였고 글로벌 반도체 검사장비 시장에서 기술적 신뢰와 브랜드 명성을 인정받고 있는 벤처기업이다. 현재 (주)쎄믹스의 입지를 구축하기까지 수출 제조기업으로서 겪은 환율관리 실패인 키코손실에서 기인한 회사 위기를, 자체적으로 기술혁신, 조직혁신, 핵심인재 육성 등 전략적 기업혁신에 성공하여 회사의 존폐위기였던 상황을 극복하였다. 우선 키코손실을 떨쳐내고 새로이 시작하기 위한 S사와의 합병, 분할 후 조직 내부에 기업가정신을 고취하였고 핵심기술을 발굴하여 세계일류상품 인증, 월드클래스 300 선정 및 완수, 6개국에 7개의 자회사 설립 통한 조직혁신, 과감한 인재등용, 인재육성 위한 사내 컨퍼런스 제도 도입, TRIZ 등을 통한 과감한 교육혁신, 인재를 위한 특별한 복지정책 구현 등을 실천하였다. 본 연구는 '(주)쎄믹스'의 위기극복 사례를 통해 일본의 두 곳 대기업만이 누리고 있던 Wafer Prober 장비 시장에서 독자적인 글로벌 판로개척을 통한 자생적 성장시스템 구축과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혁신체제를 구축하는 계기를 제공하여 다양한 위기상황에 직면하였거나 위기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할 중소기업인과 임직원들에게 성공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ICT기반 창의인재상 정립에 관한 연구)

  • Lee, Jaeho;Jin, Sukun;Shin, Hyunky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7 no.5
    • /
    • pp.141-150
    • /
    • 2016
  •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model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as the type of persons that gifted education in the ICT area should cultivate for the 21st century. The model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is made of three dimensions by 3 core competencies, 9 traits, and 27 characteristics. The field experts, that is, teacher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model. Teachers expressed positive opinions about the validity of the multi-dimension model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We expect that this model can provide a useful guide to designing and operating ICT education and ICT gifted education for cultivating talented persons to contribute for the future society.

핵심인재유지 우수기업 사례- 핵심인재가 경영혁신 원동력

  • Gwon, Gyeong-Hui
    • Digital Contents
    • /
    • no.3 s.130
    • /
    • pp.68-73
    • /
    • 2004
  • 정부는 이미 차세대 성장동력 10대 과제로 디지털콘텐츠 산업을 선정, 2007년까지 세계 5대 디지털콘텐츠 강국으로 부강하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밝혔다. 2003년 627억 달러의 세계시장 규모에서 2007년 1,267억 달러, 2012년 2,563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는 디지털콘텐츠 관련 분야를 집중 육성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디지털콘텐츠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사람이 경쟁력’이라는 것에 누구나 동의하고 있다. 디지털 지식경제사회가 진전할수록 뛰어난 한 사람이 평범한 1만명을 먹여 살리는 구조가 정착되고 있다. 이에 본지는‘사람’의 중요성을 일깨우고자 대학 · 기업 · 연구소 등 각계각층의 인력현황과 구조적 문제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 등을 제시하는‘사람이 경쟁력이다’라는 주제로 지난 1월호부터 기획 연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공기업에서 민영화로 바뀌고도 제자리 찾기에 성공한‘포스코’를 위주로 핵심인재유지 우수기업들을 소개한다.

  • PDF

동기부여 강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 방안

  • Choe, Byeong-Gwon
    • 정보화사회
    • /
    • s.171
    • /
    • pp.10-12
    • /
    • 2004
  • 최근 우리 기업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경영상의 이슈를 꼽으라면, 단연 '핵심 인재 확보'일 것이다. 똑똑하고 유능한 사람이 기업 전체의 생사를 결정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이다. 그러나 핵심 인재 확보라는 대세에 밀려 그다지 주목 받지 못하고 있는 사실이 하나 있다. 바로 동기부여다. 구성원들이 신바람나게 일하고 열정적으로 일에 매진할 수 있도록 흥을 돋구어 주어야 궁극적으로 기업 목표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