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항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지리 위치면에서 본 동해시

  • 이남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3-83
    • /
    • 1995
  • 1. 동해시는 동해 바다에 면하고 있는 항구도시. 2. 한반도의 중부 동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해항도시. 3. 동해 바다를 통하여 세계 각지로 자유왕래 할 수 있는 편리한 위치에 있는 항구도시. 4. 남북 경제 문화 교류때에는 육해산물, 산업물자의 수송에 편한 해항도시. 5. 일본지역에서 중국, 러시아 지역에의 해로는 한반도의 동해시 항구를 경유하여야하는 교통 입지에 있는 해항. \circled1 일본에서 중국, 러시아에의 직항해로는 가능하나 여객 운송의 경우 30시간 이상의 장시간 소요가 불가피하므로 동해시 해항이 중간 거점이 될 수 있다. \circled2 일본의 서남 지방에 있는 후꾸오카의 하까다항 그리고 중부지방 북안에 있는 쯔루가항으로 부터 중국 대륙과 러시아 연해주에의 해로인 경우는 반드시 동해시항에 기항하여야 한다. 6. 남한의 내륙 지방에서 동북아시아 권역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해항. 7. 인접지에 다양한 발전적 배경을 지니고 있는 해항 도시.

  • PDF

일본 연안역에 입지한 해양건축물의 변천과정과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Lee, Myeong-Gwon;;;;Jeong, Won-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68-69
    • /
    • 2017
  • 본 논문은 일본의 전국 해항도시를 대상으로 연안을 둘러싼 시대적 흐름을 고찰하고 해역이용에 따른 해양건축물의 변천과정에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항도시에서 해양건축물을 조성하게된 경위나 성립요인에서부터 사회적 요구변화에 따른 기능 용도 변천과정을 정리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해항도시의 바다를 이용한 다양한 건축물들이 조성되고 있어

  • PDF

북극해항로 해상운송 현황 및 당면과제

  • Hong, S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135-13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북극해항로(NSR)의 운항여건, 현황 및 기간별 운항내용에 대한 평가가 다뤄진다. 한국 관련 NSR 운항내용이 상세히 설명되며, 특히 2014년-15년, 서방의 대러시아제재여파 및 국제유가하락 등에 따른 NSR 국제통과수송 급락 배경 분석이 이뤄진다. 또한 현재 주요 국가들의 NSR에 대한 관점이 소개되며, 향후 NSR의 지속 활용을 위한 선사, 정부, 지자체 등 주요 주체들의 당면과제와 방안이 제시된다.

  • PDF

동해시의 지리적 특성

  • 이영혜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9-89
    • /
    • 1995
  • 1. 한반도의 중부동해안에 면하고 있는 항구도시 2. 시화로는 매화꽃, 시목으로는 은행나무, 시조로는 갈매기를 지정하고 있는 해항도시 3. 어항이었던 묵호항, 산업항인 북평항이 통합되어 이룩된 동해시 4. 한반도 동해안에서는 손꼽을 수 있는 해항도시의 하나 5. 남북으로 통하는 동해연안의 간선도로 따라 발전하고 있는 구릉 사면과 연안평야의 발달 6. 충북 아시아권역의 해항들과 자매결연 추진중 7. 온대습윤기후구에 속하며 연평균기온 섭씨12도, 연강수량 1,220mm 겨울에 따뜻하고 연중 서풍이 많으나 여름에는 남동풍이 많은 기후. 8. 석회암이 산재하는 지역이므로 식생은 하생식물이 적은 잡목림상을 이루고 있음. 9. 주변에 자연 풍치자원과 해수욕장 그밖에 민속 자원이 산재하는 지역. 10. 오래전부터 지하자원의 보고로 각종 광산자원이 이곳에 분포. 11. 쌍용시멘트, 동부산업합금철공업 이외에도 북평 공업단지가 건설 중. 12. 해륙교통 입지는 물론, 산업입지 그리고 관광입지로도 유망한 해항. 13. 접안 시설과 하역 능력을 계속 확장시키고 있는 국제항구도시.

  • PDF

북극해항로 선박운용 특성에 대한 연구 -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승선 중심으로 -

  • Gwon, Yeong-Tae;Chae, Byeong-Geun;Kim, J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124-126
    • /
    • 2015
  • 해양수산부는 2013년 북극해항로 시범운항을 계기로 북극해항로 상용화에 대비한 운항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 사업을 위탁하여 극지해역 운항선박에 승선하는 선장과 항해사를 교육대상으로 하는 Ice Navigation 기초 및 직무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 개발과정 중 전문교원이 극지연구소 소속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에 승선훈련을 실시하여 북극권 고위도 해역에서의 항해장비와 통신장비 특성 및 운용, 얼음 및 운항정보, 결빙해역 쇄빙 및 선박조종 특성 등을 직접 경험하여 확인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of Sea Port City and Ocean Industries: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해항도시의 경제성장과 해양산업 간의 관계 - 부산시를 중심으로 -)

  • Kang, Yunho;Woo, Yang-H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6
    • /
    • pp.627-635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 of causality between ocean industries and urban economic growth in the sea port city. To maximize economic advantage of Busan as a sea port city, we first need to analyze the effects of ocean industries on urban economic growth. This study focuses on the examination of the role of ocean industries and its related variations in economic growth at the urban level. Using data from Busan. Metropolitan City in Korea during 1985-2011, we find that the causality link between ocean industries and urban economic growth rates runs in both directions. Especially, industries of shipping/port, marine tourism, and shipbuilding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 Busan economy. With this information,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ocean industries and its related variation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urban economic growth. Based on these significant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Shipping Lines's entering the Arctic Sea Route (외항선사의 북극해항로 진출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 Son, Kyong-Ryo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5 no.4
    • /
    • pp.1-1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container shipping companies exist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container shipping for Non-Arctic countries and the opportunity factors for the transport of the Arctic shipping to improve cooperation cross-border relation Arctic policy and the use of transport. In order to design a hierarchy analysis method study model, four high and 17 low factors were extracted by designing a hierarchy analysis method study model based on results by prior study and in-depth interview. The first of the higher factors is the internal strength of assessing the value of the Arctic, the will and capabilities of the shipping companies in creating new markets with the vision and goals of the shipping companies. Second, the internal constraints associated with the shipping companies advance to the NSR mean the negative factors for the entry into the NSR and the internal weaknesses that cause the shipping companies capacity limitations. Third, the economic benefits from the use of NSR are external factor for shipping companies in cooperation with the future economic value of the Arctic and with respect to Arctic sea and Arctic advance and development from Arctic coastal countries. Finally, external pre-emptive tasks means to respond to use NSR by external restrictions on transport to prepare the possibility of severe weather conditions, the customs policy change of coastal countries.

극지해역 선박운항을 위한 선박회사 고려사항에 대한 연구

  • Chae, Byeong-Geun;Gwon, Yeong-Tae;Kim, J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115-117
    • /
    • 2015
  • 몇 년 전까지 북극해항로에 대한 각 국가의 관심이 증가하였다가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 최근에는 관심도가 많이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 러시아에서 북극해항로 개발 프로젝트 추진, 항해안전성 확보에 대한 노력 등의 적극적인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Polar code 및 극지해역 운항선박의 승무원에 대한 교육의 강제화가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극지해역에서 선박운항을 하고자 하는 경우 선박회사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Quality of Life' in Sea Port Cities - Focused on the Influence of Port - (해항도시의 삶의 질 비교분석 - 항만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 Kim, Sang-G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3
    • /
    • pp.287-293
    • /
    • 2010
  • As an exploratory research to understand the nature of relationships between harbors and their neighboring communities, this study analyzes how harbors influence their residents' quality of life(QOL). The QOL was measured by 18 indicators reconstructed by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s. As a result, both Busan and Incheon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many of QOL indicators including general expenditure per capita, number of manufacturing factories per capita, rate of housing supply, number of financial agencies per capita, number of cultural assets per capita, number of schools per capita, number of sick-beds per capita, and the size of welfare expenditure per capi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