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Comparative Analysis 'Quality of Life' in Sea Port Cities - Focused on the Influence of Port -  

Kim, Sang-Goo (Department of Maritime Administration,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v.16, no.3, 2010 , pp. 287-29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s an exploratory research to understand the nature of relationships between harbors and their neighboring communities, this study analyzes how harbors influence their residents' quality of life(QOL). The QOL was measured by 18 indicators reconstructed by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s. As a result, both Busan and Incheon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many of QOL indicators including general expenditure per capita, number of manufacturing factories per capita, rate of housing supply, number of financial agencies per capita, number of cultural assets per capita, number of schools per capita, number of sick-beds per capita, and the size of welfare expenditure per capita.
Keywords
Port; Sea port city; Busan port; Incheon port; Quality of lif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원일, 김상구(1999), 지방정부의 항만계획기능 참여방안에 관한 연구-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1호, p. 207.
2 김영호(1993a), 대도시 항만의 이론과 정책, 초대 울산항 도선사 류대혁퇴임기념 논문집, p.24.
3 Estes, R.(2004), Development Challenges of the New Europ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 69,pp. 140-150.
4 허윤수, 김율성 (2009), 컨테이너 화물처리에 따른 부산지역 경제기여도 원단위 산정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권, 제3호, pp. 208-212.   과학기술학회마을
5 김행범 (1993b), 복지정책의 산출요인에 관한 연구-시계혈 및 횡단분석적 접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5.
6 김영섭(1992b), 정책결정의 합리성 재고를 위한 삶의 질의 조사방법에 관한 연구, 행정문제논집, 제 11권, 한양대학교 행정문제연구소, p. 11.
7 이태종, 이곤수, 송건섭, 이승철 (2005), 광역생활권내 자치 단체간 삶의 질의 비교 평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 16 권, 제2호, pp. 216-217.
8 이영균(1997), 삶의 질(Quality of Life) 측정지표 및 측정 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경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4권, pp. 226-235.
9 김안호, 기성래 (2005),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권, 제4호, pp. 141-160.   과학기술학회마을
10 이지훈, 김융성, 신창훈(2009), "국내 컨테이너항만의 경쟁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권, 제 1 호, pp. 91-98.   과학기술학회마을
11 하재구(1986), 서울시민의 삶의 질의 실태와 시정부의 공공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행정문제논집, 제7권, 한양대학교 행정문제연구소, p. 293.
12 김상균(1996),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길잡이, 서울: 나남출판사, p. 156.
13 이재하(2007),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3권, 제1호, pp. 4-7.
14 이강웅, 서정훈, 김상구(2001), 도시환경질 개선을 위한 비용관리의 효율성 제고방안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5권, 제3호, p. 12.
15 김병국(1988), 도시생활의 질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pp. 62-64
16 하혜수(1996), 도시정부의 '삶의 질' 결정요인분석, 한국행정학보, 제 30권, 제2호, pp. 83-85.
17 통계청(1998-2007), 한국도시연감. pp. 10-500.
18 이재기, 이은우, 김재홍(1998), 삶의 질의 국제비교와 지역간 비교분석, 서울 : 집문당, pp. 107-111.
19 김명환(1992a), 지역복지지표의 설정과 그 적용: 강원도 시군의 사례, 한국행정학보, 제26권, 제2호, pp. 693-700.
20 Winkelmans, W.(2003), Port Competitiveness and Port Competition: Two of Kind, ITIMA, pp. 1-7.
21 우양호(2009b), 항만이 해항도시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 부산과 인천의 사례 (1985-2007), 지방정부연구, 제13 권, 제3호, pp. 339-362.
22 송인성(2004), 도시의 삶의 질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광주시와 벤쿠버시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120-130.
23 최준호, 이환범, 송건섭(2003), 광역도시와 인근 중소도시 지역주민간의 상호 이주 영향요인 평가-공공서비스 질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7권, 제1호, pp.183-203.
24 송건섭, 김영오, 권용현 (2008), 삶의 질에 관한 평가지표의 구성과 적용, 지방정부연구, 제12권, 제4호, p. 229.
25 김도엽 (2001), 지방정부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부산광역시 자치구 . 군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 5권, 제2호, p.88.
26 정준금, 김도희 (2008), 지방정부 '삶의 질 행정'의 실태와 과제: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2권, 제2 호, p. 155.
27 송건섭 (2008), 광역도시권의 QOL지표와 평가-한국과 미국의 비교, 한국지방자치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 49.
28 Slack, B. and J. J. Wang(2002), The Challenge of Peripheral Ports : An Asian Perspective, Geo Journal, Kluwer Acachnic Publishers(the Netherlands), 56 : pp.159-166.
29 소진광(1998), '삶의 질 개념'과 도시정책적 함의, 지역사회개발연구, 제23권, 제 1호, pp. 65-84.
30 김구(2003), 객판적 지표를 이용한 보성군의 삶의 질 연구, 지역발전연구, 제8권, 제2호, pp. 91-109.
31 이원일, 김상구, 김도엽(2000), 도시성장지표로서의 '삶의 질'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2권, 제1호, pp. 201-202.
32 국토개발연구원(1986), 항만개발 및 관리정책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pp.53-54.
33 Schneider, M.(1976),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dicators Research,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36, No.3, p. 298.
34 박노경 (2001), 한국 항만도시의 입지, 인구성장과 화물집중도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7권, 제2호, pp. 61-87.
35 Myers, Dowell(1987), Community-Relevant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 A Focus on Local Trends, Urban Affairs Quarterly, Vol. 23 No.1, pp. 108-109.   DOI
36 우양호(2009a) , 우리나라 항만도시의 성장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논집, 제21권, 제3호, pp. 915-931.
37 부산일보(1998), 부산항 컨테이너세의 효과 크다, 10월 19 일, p. 17.
38 Glatzer, W.(2006), Quality of Life in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Evidence from Comprehensive Indices,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Vol. 1, pp. 175-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