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Shipping Lines's entering the Arctic Sea Route

외항선사의 북극해항로 진출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 손경령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도학부)
  • Received : 2019.09.04
  • Accepted : 2019.12.27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container shipping companies exist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container shipping for Non-Arctic countries and the opportunity factors for the transport of the Arctic shipping to improve cooperation cross-border relation Arctic policy and the use of transport. In order to design a hierarchy analysis method study model, four high and 17 low factors were extracted by designing a hierarchy analysis method study model based on results by prior study and in-depth interview. The first of the higher factors is the internal strength of assessing the value of the Arctic, the will and capabilities of the shipping companies in creating new markets with the vision and goals of the shipping companies. Second, the internal constraints associated with the shipping companies advance to the NSR mean the negative factors for the entry into the NSR and the internal weaknesses that cause the shipping companies capacity limitations. Third, the economic benefits from the use of NSR are external factor for shipping companies in cooperation with the future economic value of the Arctic and with respect to Arctic sea and Arctic advance and development from Arctic coastal countries. Finally, external pre-emptive tasks means to respond to use NSR by external restrictions on transport to prepare the possibility of severe weather conditions, the customs policy change of coastal countries.

지구 온난화에 따른 북극해의 해빙면적이 감소하면서, 북극해를 통한 선박 운항의 상용화 문제가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아시아와 유럽을 있는 북동항로의 경우, 기존의 수에즈항로에 비해 거리적으로 훨씬 짧음에 따라, 전통적인 항로를 대체할 항로로 그 경제성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들이 경제성에 긍정적인 결과를 내놓고 있다. 하지만, 2013년부터 2019년까지의 추세를 보았을때, 실질적으로 북동항로를 통과한 화물(Transit Cargo)의 증가는 크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외항선사 중 외국 선사 2곳과, 국적 선사 2곳의 임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인터뷰의 결과를 따른 4가지 상위기준으로 컨테이너 운송의 내부적 제약요인, 외부적 제약요인 그리고 외항선사의 내부 조직의 목표와 비전, 북극해항로 이용을 통한 경제성을 선정하였고, 각 상위기준 별 하위기준을 4~5가지로 추출하여 총 17가지 하위기준의 중요도를 계층분석법으로 실증하였다. 상위기준의 첫째는 선사의 비전과 목표로 선사가 신 시장을 창출하는데 북극의 가치와, 요구되는 선사의 의지 및 역량을 평가하는 내부적 강점이다. 둘째, 선사의 북극해항로 진출에 관련한 내부 제약성으로 북극해항로에 진출에 대한 부정적 요인과 선사의 역량적 한계를 유발하는 내부적 약점을 의미한다. 셋째, 북극해항로 이용으로 인한 경제성으로 북극해의 미래 경제적 가치와 북극해 연안국으로부터 북극해 및 북극 진출과 개발과 관련한 협력으로 선사에게 제공되는 외부적 기회 요인이다. 마지막으로 북극해항로의 외부제한성으로 북극해항로 이용하기까지 해결되어야 할 외부적 선결 과제로 기상조건과 연안국의 통항정책, 그리고 북극해 주변국의 북극해항로 관심의 증대로 인한 새로운 경쟁의 장이 생성될 가능성을 의미한다. 분석의 결과로 외국적 외항선사와 국적 외항선사로 구분하여 북극해항로 진출에 관한 국내외 외항선사 상호 간 북극해항로 진출에 관한 결정요인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북극해항로를 운송 상의 제약점, 진출 기회요인에 관한 각 선사별 견해와 함의를 이끌어냈으며, 외항선사의 북극해 진출과 북극해운송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 선사들의 대응과, 협력 및 원활한 통항을 위하여 정부 간의 협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주.박지문(2015).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극해 항로개설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제30권. 1-31.
  2. 김재진.이광근.조진행(2016). 북극해 항로시대와 강원권 항만의 복합운송 물류네트워크 구축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제32권 4호. 109-126.
  3. 김학소(2011). 미래 국부창출을 위한 북극해 전략. 한국선 진화포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특별토론회 (2011.11.24.).
  4. 남청도(2013). 기후변화에 따른 NSR 현황과 전망. 항만경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항만경제학회.
  5. 류동근.남형식(2014).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한 부산지역의 미래성장 유망산업 및 정책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권 1호, 175-193.
  6. 박성화.김태일(2017). 한국 컨테이너 해운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선대규모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3권 3호, 105-120.
  7. 박종관(2016). 러시아 교통물류 발전전략의 중심-북극지역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9-61.
  8. 송민근(2018). "중국의 북극항로 개발사업, 일도의 특징과 시사점,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제16회 2권, 103-115.
  9. 송주미(2012). 북극항로 이용현황과 러시아의 상업화 정책.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0. 양윤옥(2015). 북극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연안국들과 교류협력 확대. 부산발전포럼 156권.
  11. 오거돈.김학소(2012). 글로벌 물류시장과 국부창출. 블루앤노트.
  12. 우준모(2018). 신북방정책 비전의 국제관계이론적 맥락과 러시아 신동방정책과의 접점. 국제지역연구, 제21권 5호. 105-130.
  13. 윤승국(2014). 선박속력의 변화를 이용한 북극해항로 경제성 비교. 무역학회지, 제39권, 1호, 213-237.
  14. 윤승환(2018). 북극해의 현황과 이용가능성 그리고 한국의 대응. 경상논총 제36권 1호, 1-22.
  15. 이성규(2010). 북극 지역자원 개발현황 및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16. 이성우.송주미.오연선(2011). 북극항로 개설에 따른 해운항만 여건 변화 및 물동량 전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7. 이은규(2014). 북극해 환경변화 대응 울산지역 중장기발전 로드맵 수립, 울산발전연구원.
  18. 조성철(2002). 북극해 항로(Northern Sea Route) 진출 및 쇄빙상선 투자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국제해양문제연구, 제13권 1호. 125-151.
  19. 최경식.조성철(2003). 북극해 항로의 전망과 쇄빙상선의 활용. 한국해양공학회지, 17권 2호, 96-100.
  20. 최한별.최석범.리신강(2014), 한국의 북극항로 이용에 따른 국제물류네트워크의 재편성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81권, 105-134.
  21. 한철환(2011). 북극해 항로의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27권 4호, 583-605.
  22. 한능호.허윤석(2014). 북극해항로의 활성화에 따른 강원도 물류허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제27권, 137-158.
  23. 황진회.엄선희.허소영(2010). 북극해활용전략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4. 홍석암(2013). 북극항로 상시 운송시스템 구축 방안의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컨테이너 화물을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5. 홍성원(2012), 북극해항로와 북극해 자원개발: 한러 협력과 한국의 전략, 국제지역연구, 제15권 4호, 95-12
  26. 홍성철.김선화.양찬수(2014).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능적 요구조건 도출. 한국공간정보학회, 제22권 5호. 19-26.
  27. Chou, M., Chou, T. Y., Hsu, Y. R, and Lu, C. P(2017), Fuel Consumption Ratio Analysis for Transiting from Various Ports and Harbours in Asia through the Northern Sea Route, The Journal of Navigation. 70(4), 859-869. https://doi.org/10.1017/S0373463317000078
  28. Furuichi, M., and Otsuka, N(2013), Cost analysis of the Northern Sea Route (NSR) and the conventional route shippin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time Economists (IAME), 2013 Conference July 3-5, Marseille, France.
  29. Kiiski, T(2018), Feasibility of Commercial cargo shipping along the Northern Sea Route, School of Economics, University of Turku, Finland. 107-136.
  30. Liu, M. and Kronbak, J(2010). The potential economic viability of using the Northen Sea Route(NSR)as an alternative route between Asia and Europe,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8(3). 434-444. https://doi.org/10.1016/j.jtrangeo.2009.08.004
  31. Verny, J. and Grigentin, C(2009), "Container shipping on the Northern Sea Rout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 Elsevier, 122(1), 107-117. https://doi.org/10.1016/j.ijpe.2009.03.018
  32. Zhao, H., Hu, H. and Lin, Y. S(2016). Study on China-EU container shipping network in the context of Northern Sea Route,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53. 50-60. https://doi.org/10.1016/j.jtrangeo.2016.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