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파리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산 관해파리류 2미기록종(히드라충강: 관해파리목) (Two New Records of Shiphonophores (Hydrozoa: Siphonophora) in Korea)

  • 박정희;원정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201-205
    • /
    • 2005
  • 대한해협 $(33^{\circ}59'N-129^{\circ}17'E)$과 여수에서 2002년 9월에 Issacs-Kidd Midwater 저인망으로 채집된 관해파리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관해파리목의 두컵관해파리아목에 속하는 카미소두겹관해파리 (Diphyes chamissonis)와 에시솔츠심해컵해파리 (Abylopsis schscholtzi)가 각각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재기재하여 보고한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산 관해파리류는 4과 6종이 된다.

돌고래 공연 풀에서 해파리 자상에 의한 피부상해 (Human Cutaneous Injuries Following Jellyfish Stings in Dolphin Performance Pool)

  • 어경연;권오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97-499
    • /
    • 2010
  • Cutaneous injuries stung by jellyfish are not uncommon in human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s. Most of the cases occur to scuba divers, fishermen, and travelers swimming at the beach. The symptoms vary from mild dermatosis to fatal systemic reaction. Some group of jellyfish like Atlantic Portuguese man-of-war (Physalia physalis) provokes acute severe skin injuries with systemic symptoms of nausea, bradycardia, and rarely anaphylaxis. But it is unusual case that allergic dermatitis caused by Scyphistoma which is polyp stage of jellyfish (Aurelia aurita) happened to zoo keepers working at indoor dolphin pool. This case report is about dermatosis with symptoms such as painful, irritant, itching, and erupted skin lesions on the neck and face of zoo keepers working at dolphinarium in Seoul zoo, Korea.

무인기를 이용한 심층 신경망 기반 해파리 분포 인식 시스템 (Deep Neural Network-based Jellyfish Distribu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a UAV)

  • 구정모;명현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32-440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jellyfish distribution recognition and monitoring system using a UAV (unmanned aerial vehicle). The UAV was designed to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flight in ocean environment. The target jellyfish, Aurelia aurita, is recognized throug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its distribution is calculated. The modified deep neural network architecture has been developed to have reliable recognition accuracy and fast operation speed. Recognition speed is about 400 times faster than GoogLeNet by using a lightweight network architecture. We also introduce the method for selecting candidates to be used as inputs to the proposed network. The recognition accuracy of the jellyfish is improved by removing the probability value of the meaningless class among the probability vectors of the evaluated input image and re-evaluating it by normalization. The jellyfish distribution is calculated based on the unit jellyfish image recognized. The distribution level is defined by using the novelty concept of the distribution map buffer.

녹색형광단백질의 재조합 단백질 생산공정에의 응용

  • 차형준
    • 한국생명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명과학회 2003년도 제39회 학술심포지움
    • /
    • pp.38-47
    • /
    • 2003
  • 처음으로 real time으로 유전자 발현을 visualization할 수 있는 marker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maker가 바로 green fluorescent protein(GFP; 녹색형광단백질)이다. GFP는1962년 Shimomura 등에 의하여 해파리인 Aequorea victoria에 존재함이 밝혀졌다(1). 그러나 30년이 지난 1992년이 되어서야 Plasher등에 의하여 GFP의 cDNA가 클로닝 되었고(2) 이후 지금까지 약 10년 동안 GFP는 생명과학분야에서 가장 각광받는 유용한 단백질 중의 하나가 되어 매우 다양한 연구에 응용이 되고 있다. 이렇게 GFP가 생명과학분야에서각광을 받게 된 이유로는 GFP가 모든 외래의 세포에서 형광을 발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진 형태로 발현되기 때문이다(3). Chalfie 등은 처음으로 GFP를 대장균과 Caenorhabditis elegans에서 발현시켜 유전자의 발현을 모니터함으로써 GFP를 원핵 및 진핵세포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3), 이러한 발견을 통하여 GFP는 살아있는 세포, 조직 및 생물체에 해를 주지 않고 (non-invasive)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marker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cell biology, developmental biology, neurobiology 및 cytology 등의 연구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PDF

새로운 간질환치료제(고덱스 : 해파리프레스)의 랫드에 대한 단회투여 경구독성시험 (Single Dose Oral Toxicity Study of A New Hepatotherapeutic Agent GODEX (HEFADIF-S) in Rats)

  • 강종구;정은용;남상윤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9권2호
    • /
    • pp.140-142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n single dose oral toxicity of a new hepatotherapeutic agent GODEX (HEPADIF-S) in Sprague-Dawley rats. Male and female rats were administered dosages of 5, 2.5, 1.25 ,0.625, 0.3125, and 0 g/kg B.W. of GODEX, respectively.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GODEX to rats, we observed them daily for 2 weeks. GODEX slid not induce any toxic signs in the mortalities,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and gross necropsy findings of ra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GODEX may have no side effect and its LD$_{50}$ value may be over 5 g/kg B.W, in rats.s.

  • PDF

서해안 곰솔림에서의 리지나뿌리썩음병 발생 및 확산 유형 (Occurrence of Rhizina Root Rot in 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 Located at the Western Coastal Area in Korea and Its Spreading Patterns)

  • 이승규;김경희;김연태;박주용;이상현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208-212
    • /
    • 2005
  • 2002년 6월에 서해안의 태안군 남면 달산3리에 위치한 약 20ha의 곰솔림내 27개소에서 각 개소당 평균 10나무씩 무리를 지어 합계 294그루가 고사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2002년 6월부터 2004년 8월까지 4개 고정조사구에서 죽거나 죽어가고 있는 나무의 상태와 피해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파상땅해파리버섯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1) 피해목이 최초 고사목 발생장소로부터 불규칙 동심원을 이루면서 확산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2) 파상땅해파리버섯이 죽은 나무의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3) 나무를 고사시킬 수 있는 해충이나 병원체가 발견되지 않아이 지역에서의 나무집단고사는 리지나뿌리썩음병원균(Rhizina undulate)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해지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결과, 피해지 토양의 pH는 $4.6\~5.79$이었으며, 토양양료수준도 대단히 낮은 상태이었다. 태안 피해지에서는 리지나뿌리썩음병 발생의 중요한 유인인자로 알려져 있는 모닥불 등 '불'을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본 병해 발생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적 유인에 대한 정밀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알긴산 비드에 혼합된 해파리 면역 반응물질 함량에 따른 중금속 흡착효율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Heavy Metals by the Content of Jellyfish Extract at Immunity Reaction in Alginate bead)

  • 김종환;박혁진;최인호;김은진;최이송;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431-436
    • /
    • 2023
  •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생태계로 유입되는 중금속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중금속은 분해가 어려워 생태계 내에 장기간 잔류하고 독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중금속은 수처리 시 흡착, 여과, 화학적 침전 등 물리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흡착 및 제거용 킬레이트 수지로 알긴산 비드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중금속 흡착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JEI (Jellyfish extract at immunity reaction)를 혼합하였다. JEI를 혼합한 비드는 알지네이트의 특성에 따라 납(79-99%)과 구리(64-70%)에서 높은 흡착효율을 보였으며 카드뮴(25-37%)과 아연(5-6%)에서 낮은 흡착효율을 나타내었다. 중금속 흡착은 JEI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았으나 50%와 100% JEI 비드가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반응 속도식을 적용한 결과 유사 1차 반응식보다 유사 2차 반응식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드의 생산 단가나 중금속 흡착제거 효율을 비교해보면 50% JEI 비드가 중금속 흡착제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해파리의 특성을 활용한 하수처리장 처리수 내 미량오염물질 제거 기술 (Technology to Remove Trace Pollutants in Sewage Treatment Water Using Jellyfish Characteristics)

  • 박혁진;김은진;추경실;심주은;여민경
    • 공업화학
    • /
    • 제35권1호
    • /
    • pp.54-6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자포동물인 보름달물해파리의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추출한 점액물질(jellyfish extract at immunity reaction, JEI)을 활용하여 하수처리장 처리수 내 잔존하는 미량오염물질(중금속과 미세플라스틱)의 제거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험은 자-테스터(jar-tester)를 이용한 lab 규모와 자체 개발한 관접속형 혼화반응 시스템과 농축일체형 분리장치를 연계한 pilot system 규모의 두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 조건에서 JEI는 기존 음이온 고분자에 비해 미량오염물질 제거효율이 유사하거나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pilot system 규모로 JEI를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두 번의 혼합과정에 의해 JEI와 미량오염물질의 결합이 극대화되고 이로 인해 미량오염물질 제거율이 매우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본 기술을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생태계 위해성이 적고 무기성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량오염물질 제거 방법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유영행동에 따른 대형 해파리의 음향산란 변동의 이론적 검토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Fluctuation of Acoustic Scattering on the Swimming Behavior of Giant Jellyfish)

  • 이유원;황보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5-170
    • /
    • 2009
  • Recently, wide spread distribution of the giant jellyfish, Nemopilema nomurai, has occurred in the East China Sea. This increased distribution has caused serious problems in inshore and offshore fisheries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damage caused to the fisheries by jellyfish. Accordingly, several hydroacoustic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target strength (TS) of the giant jellyfish. However, the effects of fluctuation in the acoustic scattering characteristics on swimming patterns have not yet been elucid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heoretically estimated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acoustic scattering pattern on the swimming behavior of jellyfish using the Distorted Wave Born Approximation (DWBA) model. The results confirmed that acoustic scattering of jellyfish results in a significant change in their swimming pattern. Specifically, our theoretical estimation indicated that the TS of giant jellyfish (d=40 cm) fluctuated until 8.5 dB at 38 kHz, 13.8 dB at 70 kHz, and 15.1 dB at 120 kHz based on changes in their swimming patterns.

보름달물해파리 폴립의 대량출현 예측을 위한 온도 종속 모델 (A Simple Temperature Dependent Model to Predict the Bloom of Aurelia Aurita Polyps)

  • 진홍성;오춘영;최일수;황두진;윤양호;한동엽
    • KSBB Journal
    • /
    • 제29권5호
    • /
    • pp.336-342
    • /
    • 2014
  • Asexual benthic polyp reproduction plays a major role in the jellyfish bloom. Recent studies found that temperatur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regulate the budding rate of the polyps. We established a simple dynamic model to count the number of polyps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with two data sets from different places. The population of polyps was counted through the budding rate and the number of budding times by Fibonacci sequence. It is assumed that the budding rate depends on the temperature only. The budding rate of the asexual reproduction shows very sensitive to the distribution of the seawater temperature. The model was tested to the temperature data of Ansan located in the west sea of Ko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model can be useful to predict the blooms of Aurelia aurita polyps, which may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bloom of medusa. The shape of temperature curve plays a key role in the predicting the bloom of Aurelia aurita poly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