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킹 대응

Search Result 34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한국전산망침해사고 대응팀협의회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2 s.45
    • /
    • pp.22-24
    • /
    • 1997
  • 작년 어느 무렵 포항공대와 한국과학기술대 사이에서 벌어진 해킹논쟁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만큼 해킹이나 전산망 침해사례가 우리에게 더욱 가까이 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전문가들은 혼자의 힘으로는 이 사고를 예방하기 힘들다고 경고한다. 이런 의미에서 태동된 한국전산망침해사고 대응팀협의회(CONCERT)를 찾아 그 임무와 활동계획 등에 대해 들어봤다.

  • PDF

Implementation of Malicious code site feeler analyzer (악성코드 사이트 탐지 분석기 구현)

  • 강동호;최양서;최병철;한승완;서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3-176
    • /
    • 2002
  • 광대역 네트워크의 보급과 더불어, 많은 인터넷 사용자의 꾸준한 증가를 통해 국내의 인터넷 환경은 세계적으로도 상당한 규모가 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인터넷의 증가와 비례해서, 이의 결함을 이용한 해킹 건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과거 서버환경에 대한 해킹시도에서 초고속 네트워크환경의 구성원인 개인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대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이용한 불법적인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보안에 무지한 일반 개인 사용자들을 위협하는 비정상적인 악성코드들이 쉽게 접촉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에 유보되고 있고, 날로 전문화되고, 지능화된 악성코드 기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보안기술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악성 코드 대응을 위해서 악성코드기법에 대한 계속적인 분석과 이에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 PDF

Analysis of Technical Standards for Hacking Mail (해킹메일 대응을 위한 기술 표준 분석)

  • Byun, Ye-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235-237
    • /
    • 2020
  • 해킹메일로 인한 피해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부나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메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정부에서는 사칭메일을 대응하기 위한 기술을 적용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2017년부터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이메일 주소를 사칭하는 메일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SPF(Sender Policy Framework)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으며, 2019년에 정부에서는 SPF 뿐만 아니라 DKIM(Domain Keys Identified Mail)과 DMARC(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and Conformance)까지 적용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킹메일 대응을 위해 적용하고 있는 세 가지 기술의 기술 표준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기술을 적용하여 나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Vulnerability analysis of smart key for vehicle and countermeasure against hacking attack (차량용 스마트키 취약점 분석과 해킹공격 대응방안)

  • Kim, Seung-woo;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302-305
    • /
    • 2017
  • With the development of new ICT technology, new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to automobiles. The smart key for vehicles is also a device to which ICT new technology is applied. Therefore, a cyber-hacking attack against a smart key of a vehicle is possible. The cyber attack on the smart key can cause an abnormal control of the vehicle. Vehicle control can lead to vehicle hijacking and vehicle control risk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smart key for vehicle. Analyze cyber attacks against smart keys in vehicles. Then, we conduct real hacking attacks on smart keys for vehicles and propose countermeasures. We conduct a hacking attack against the smart key for vehicle that has devised countermeasures and analyze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attack security.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vehicle deodorization and to the safety of the people.

  • PDF

Hacking and Countermeasure on Smart TV (스마트 TV 해킹 위협 및 대응방안 분석)

  • Hong, Sunghyuc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
    • /
    • pp.313-317
    • /
    • 2014
  • Smart-phone, PC or tablet platforms, such as smart terminals spread to the masses trying to capitalize. Smart TV also is increasing. In Korea, market size of TV is growing fast with growth of risk of hacking. In this paper, several kinds of Smart TV hacking cases are presented with the possibility of attacks against the vulnerability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Most of the Linux operating system is open. Thus, it is vulnerable for latest hacking techniques. Most are based on the Linux OS to enhance security mount Sand-Box. However, bypass procedure using the technique, or APT attacks can avoid San-Box technique. New hacking techniques and a variety of ways will occur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paper will develop Smart TV, and it analysis of a security threat and establishes better prepared in the future because new hacking attacks are expected to prepare more.

Damage Degree based Classification of Hacking Techniques (피해 범위 기반 해킹 분류 기법)

  • 최양서;서동일;손승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07a
    • /
    • pp.312-315
    • /
    • 2003
  •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면서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였고, 인터넷침해 사고 역시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 피해는 점차 매우 광범위해졌다. 이와 같이 급증하는 해킹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몇몇 해킹 분류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해킹 분류 기법들은 단순히 해킹에 사용되는 취약점을 이용한 분류로, 이는 통계자료로만 활용될 뿐, 이를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는 없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해킹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의 정도에 따라 해킹 기법들을 분류하고, 제안한 분류 기법을 통해 침해에 대한 기본적인 대응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발생하는 다양한 침해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기본 틀을 제공하도록 한다.

  • PDF

전자금융 침해사고 예방 및 대응 강화 방안

  • Lee, Jung-Ho
    • Review of KIISC
    • /
    • v.18 no.5
    • /
    • pp.1-20
    • /
    • 2008
  • 편리한 금융거래 수단으로써 인터넷뱅킹을 포함한 전자금융 서비스가 생활화 되었으며 그 중요성 또한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부작용으로서 사용자의 실수나 금융기관, 쇼핑몰, 포털 등의 해킹을 통한 전자금융 접근매체의 유출, 비정상적인 지불결제나 인터넷뱅킹 이체 사고 등 침해사고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다. 금융권은 금융감독원을 중심으로 전자금융 종합보안 대책 수립(2005년) 및 전자금융거래법 시행(2007년) 등을 통해 고객 PC의 해킹방지를 위한 다양한 보안프로그램 제공 의무화, 보안등급에 따른 이체한도 차등화, 금융권 통합 OTP 인증체계 구축 등 전자금융 침해사고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오고 있으나, 최근 들어 피싱/파밍 등 신종 사이버사기 기법이나 해외의 전문 해커에 의해 개발된 고도의 지능화된 해킹툴이 사용되어 보안프로그램을 무력화시킨 후 고객정보를 유출해가거나 일반 포털사이트, 웹하드, 웹메일 등의 해킹을 통해 인터넷 사이트에 등록된 고객의 인터넷뱅킹 접근 매체를 유출하여 인터넷뱅킹 침해 사고를 일으키는 등의 신종 침해사고를 완벽히 차단하지는 못하고 있어, 더욱 강력한 전자금융 침해사고 예방 통제 방안의 수립과 함께 침해사고 발생 시 원인 파악 및 범인 검거를 위한 역추적 시스템의 구축 등 기존 보안체계를 대폭 강화할 필요성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중 은행의 인터넷뱅킹 침해사고 발생 현황 조사를 중심으로 최근 발생한 전자금융 침해사고의 추이분석, 침해사고 주요 원인과 기존 대응 체계의 현황, 한계점 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전자금융 침해사고의 효과적인 예방 및 대응 강화 방안으로서 사용자 관점에서 공인인증서를 중심으로 한 전자금융 접근매체의 관리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전자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기관 관점에서 효과적인 전자금융거래 로깅 및 역추적 시스템의 구축 및 전체 금융기관과 감독기관 간의 유기적인 공조를 기반으로 한 침해사고 공동 대응체계의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 방법, 운영 프로세스, 관련 법률의 검토 및 대응 방법 등을 제안하였다.

A Study of Web Hacking Response Procedures Model based on Diagnosis Studies for Cross-Site Scripting (XSS)Process (Cross-Site Scripting(XSS) 프로세스 진단을 기반으로 한 웹 해킹 대응절차 모델 연구)

  • Noh, SiCho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3 no.6
    • /
    • pp.83-89
    • /
    • 2013
  • When applying web hacking techniques and methods it needs to configure the integrated step-by-step and run an information security. Web hackings rely upon only one way to respond to any security holes that can cause a lot. In this study the diagnostic process of cross-site scripting attacks and web hacking response procedures are designed. Response system is a framework for configuring and running a step-by-step information security. Step response model of the structure of the system design phase, measures, operational step, the steps in the method used. It is designed to secure efficiency of design phase of the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and combines the way in secure coding. In the use user's step, the security implementation tasks to organize the details. The methodology to be applied to the practice field if necessary, a comprehensive approach in the field can be used as a model methodology.

A Study on Cheating Patterns in Online FPS Games and their Countermeasures : By the Case of Point Blank in Indonesia (온라인 FPS 게임의 치팅 유형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인도네시아 포인트 블랭크 사례를 중심으로)

  • Im, Sung-Jin;Lee, Dae-Hy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2
    • /
    • pp.81-91
    • /
    • 2011
  • Hacking tools are evolving along the growth of on-line game industry. Those tools allow users with no programming knowledge to hack the game, which causes a lot of problems in on-line game services. Specifically, FPS games based on peer-to-peer networks are vulnerable to hacks. This paper analyzes cheating patterns by the case of Point Blank in Indonesia and prioritize countermeasures, which helps game companies handle hacks efficiently.

전통적인 네트워크 해킹 기법과 기술적 대응방안

  • 김태훈;최호성;김성은;김주현
    • Review of KIISC
    • /
    • v.16 no.1
    • /
    • pp.75-79
    • /
    • 2006
  • 하나의 네트워크가 보안적으로 완전해지기 위해서는 외부 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뿐만 아니라 내부적 사용을 위한 다수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보안 취약점도 최소화 시켜야 한다. PC의 하드웨어적 성능 발전은 개인의 정보처리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순기능도 있는 반면 웜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보안적 문제에 노출되었을 경우전체 네트워크를 마비시킬 수 있는 치명적인 위협요소가 되는 역기능도 있다. 본고는 PC를 대상으로 하는 전통적인 네트워크 해킹기법과 이에 대한 대응 솔루션을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적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