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충방제

Search Result 63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echanical and physical control of tree insect pest (병해충 방제 - 수목해충의 기계적, 물리적 방제)

  • Sin, Sang-Cheol
    • Landscaping Tree
    • /
    • s.127
    • /
    • pp.32-36
    • /
    • 2012
  • 수목에 있어서 해충방제란 인간에게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해충의 활동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수목 해충의 밀도 개체수를 일정한 수준 이하로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유해한 생물이 존재하더라도 그 밀도가 인간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정도가 아니면 굳이 시간과 경비를 투자하여 방제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어떤 해충의 밀도가 점점 높아져서 이들에 의한 피해를 방치 하였을 때 예상되는 손실액이 방제에 소요될 제반 비용보다 높을 경우에는 방제 수단을 적용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해충에 의한 손실액과 방제비용이 같을 때의 해충밀도를 경제적 피해수준이라고 한다. 따라서 경제적 피해수준을 경계로 하여 방제를 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하게 되며 조경수의 경우에는 경관미적 가치도 이러한 경제적 피해수준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해충의 방제법을 대별하여 보면 기계적 방제법, 물리적 방제법, 화학적 방제법, 생물학적 방제법, 임업적 방제법, 페로몬과 기타 생리활성물질을 이용한 방제법, 법적 방제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수목해충 방제는 화학적 방제 일변도의 방제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 등 생태환경에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수목해충 방제는 여러 가지의 방제법을 적지 적소에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방제방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화학적 방제를 할 시의 주의점 등 각각의 방제법에 대하여는 추후 살펴보도록 하겠으며, 본 지면에서는 직접적 방제법인 기계적 방제법과 물리적인 방제법에 대하여 소개하도록 하겠다.

  • PDF

천적을 이용한 해충방제 전망 - 농약과 천적 동시활용방안 강구돼야

  • 김정부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0 no.3 s.90
    • /
    • pp.34-41
    • /
    • 1989
  • 최근에 이르러 농약의 살포량 증가에 따른 여러가지 부작용이 대두되므로 무엇보다 살충제를 적게 살포하면서 해충방제의 효력을 경제적 수준 이상으로 높여보자는데 천적의 역할을 평가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듯 싶다. 따라서 작물 해충에 대한 천적들의 종류와 분포상황, 기존 천적들을 보호 증식하는 문제 또는 병원 미생물 천적을 배양하며 농약과 함께 살포하는 문제 등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고 본다. 그러나 살충제를 살포하지 않고 순수 생물적 방제 수단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면 더없이 이상적인 작물재배가 되겠으나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증산은 필수적이므로 해충방제에 있어서 천적과 화학적 살충제를 동시에 적용하여 방제할 수 있는 종합방제가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어 간략히 소개해본다.

  • PDF

LED를 이용한 해충방제 기술연구

  • 한국광산업진흥회
    • Photonics industry news
    • /
    • s.66
    • /
    • pp.20-25
    • /
    • 2011
  • 지식경제부에서는 2020년까지 국가전체의 LED(반도체광원)조명 보급률을 60%까지 끌어 올린다는 내용으로 최근 LED 조명 보급활성화 방안인 'LED 2060' 정책을 새롭게 내놓았다. 이는 LED가 특정 파장(색깔)의 광원을 얻는 데 유리하고 저탄소 녹색기술이면서 저전력 광원으로써, 자동차 감성조명 등 다양한 응용시장의 급성장 잠재력을 파악한 정책인 것으로 이해되며, 이와 함께 산업체, 학계, 연구소 등에서는 LED효율 증가 응용기술 확대, 신뢰성확보 등 다양한 연구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한국광기술원(김선호 원장)은 LED 칩공정, 패키징, 시스템 및 응용기술 등에 대해 활발히 연구 중에 있으며, 특히 특정파장의 LED를 농림기술개발에의 적용을 시도하여 해충방제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총괄책임자 김정헌 책임연구원). LED해충방제 연구는 농림수산식품부 수출전략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LED 광원을 이용한 해충방제 시스템개발" 목표로 한국광기술원(총괄), (주)링크옵틱스, 전자부품연구원, 국립식량과학원, 전남대학교 등 5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진행하고 있으며, 주 연구 내용은 해충방제용 LED램프 개발 및 양산, 빛에 대한 해충의 행동반응 연구 등이다.

  • PDF

새로운정착해충 온실가루이 손쉽게 약제방제가능 $\square$ 온실가루이의 국내 유입과 방제대책

  • 유기열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5 no.2
    • /
    • pp.58-66
    • /
    • 1984
  • 온실가루이<학명: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ood). 영명: Greenhouse Whitefly. Aleyrodidae(가루이과)>가 국내에 정착해충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 해충이 국내에 들어와 정착한 경위와 이 해충의 상태, 형태 및 방제등에 대하여 기술함으로서 이 해충의 조사 연구를 위해 관계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친환경농업 - 곰팡이를 이용한 가루이류 해충방제

  • Kim, Jeong-Jun
    • 농업기술회보
    • /
    • v.51 no.2
    • /
    • pp.28-29
    • /
    • 2014
  • 친환경 안전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 친화적인 병해충 방제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해충의 친환경 방제 수단인 미생물 살충제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화학농약에 대한 약제 저항성 발현으로 방제가 어려운 가루이류의 살충성 곰팡이를 이용한 방제법 개발은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ccurrence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Tetranychus urticae in Rose Greenhouse and Effectiveness of Different Control Methods (시설재배 장미의 꽃노랑총채벌레, 점박이응애 발생소장 및 방제방법에 따른 해충방제 효과)

  • 조명래;전흥용;나승용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9 no.3
    • /
    • pp.179-184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control system of insect pests, especially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two-spotted spider mites, Tetreanychus urticae, of rose greenhouses. Density of thrips was relatively higher in yellow flowers than in pink or redflower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nsity of two-spotted spider mites by flower colors. In pest control by an automatic monorail sprayer, 89% labor and 18.2% chemical savings,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igh pressure spray method, were achieved without lowering the pest control effectiveness. By using an adhesive agent in combination with acaricide, adhesion of chemical to crops increased by 25% and control effect on two-spotted spider mites increased by 20.5% as compared acaricide spray alone.

  • PDF

방제포커스(2) - 파프리카 주요 해충 방제

  • Park, Hong-Hyeon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83
    • /
    • pp.45-47
    • /
    • 2012
  • 파프리카(Paprika)는 착색단고추로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재배, 수출용으로 소비되었으나 최근에는 피자, 샐러드용으로 국내소비도 많아지고 있다. 재배양식은 여름형과 겨울형이 있다. 여름재배는 3월 중순경 정식, 6월 중순부터 12월까지 수확한다. 겨울재배는 9월 초순정식, 12월 초부터 7월까지 수확하여 연중 재배되고 있다. 시설 내 파프리카 생육적온은 주간 $21-27^{\circ}C$, 야간 $18-19^{\circ}C$이며 습도는 70-80%로서 시설내 발생하는 미소해충들이 번성하기에 좋은 조건이다. 해충 방제는 피해를 정확히 진단하고 발생초기에 적절한 방제수단을 강구하여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재배유형별로 작기 전 기간에 걸쳐 종합적인 해충관리대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어린모 구입시 건전묘 구입, 해충 수시 예찰과 조기방제, 작기 후 포장위생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 PDF

Insect Pest Control Technique Using dsRNA (dsRNA를 이용한 해충방제 기술)

  • Kim, Yonggyu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6 no.2
    • /
    • pp.153-164
    • /
    • 2017
  • Gene silencing using double-stranded RNA (dsRNA) has been widely used in functional genomics in biological organisms. Its principle stems from RNA interference (RNAi), a post-transcriptional control of gene expression. Suppression of specific gene expression using dsRNA may give significant lethal effect. Insect pest control exploits this molecular process to develop novel insecticides using specific dsRNAs. This review explains core principles of RNAi using dsRNA. Then it illustrates various examples to control insect pests using dsRNAs. It also discusses limitations to control insect pests using dsRNAs. Finally, it provides several breakthroughs to develop dsRNA insectic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