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체 작업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8초

원자력연구시설 해체비용 산정을 위한 비용항목 구성 및 비용 영향인자 산출 방안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Cost Items and the Identification of Cost Affecting Factors for the Decommissioning Cost Estimation of Nuclear Research Facilities)

  • 정관성;이동규;이근우;오원진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31
    • /
    • 2005
  • 원자력연구시설에 대한 해체비용 산정은 해체계획 수립하는 데 중요한 작업이다. 해체비용 산정은 해체활동 단계와 해체 시설의 구설요소에 맞게 해체작업을 분류하여 계산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연구시렁 해체비용 산정을 위하여 해체작업 활동을 분류하고 비용자료의 기준이 되는 비용항목을 계층적으로 세분화하여 구성하는 방법과 작업지연을 유발하는 비용영향 요인인 작업 난이도 인자에 대한 산출방법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해체활동 단계 및 작업에 대한 비용 항목별 분류 및 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자력연구시설 해체비용 산정 방법론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 PDF

원자력시설 해체작업에 필요한 유닛생산성 산출 시스템 (Unit Productivity Calculating System for Decommissioning Work)

  • 박승국;조운형;문제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C)
    • /
    • pp.9-12
    • /
    • 2011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구로 1, 2호기와 우라늄변환시설의 해체활동에서 얻어진 해체 경험과 그간에 쌓인 해체활동에 관한 정보 그리고 해체 대상 시설의 특성자료를 통하여 해체 작업 시 발생하는 유닛 생산성(Unit Productivity)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시스템(DEWOCS)을 개발하였다. DEWOCS를 통한 해체작업시 발생하는 유닛의 해체작업 생산성 평가 인자 값은 해체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개발 및 향후 이루어질 원자력발전소를 비롯한 원자력시설의 해체 사업에서 계획 및 해체 설계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원자력시설의 해체설계에 적용되는 해체작업 예측 모델링 시스템 개발 (The Decommissioning Work Modeling System)

  • 박승국;조운형;문제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54-1057
    • /
    • 2012
  • 해체대상 원자력시설의 해체계획 수립 및 엔지니어링을 위한 전산 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로 2호기와 우라늄변환시설의 해체 활동에서 얻어진 귀한 해체 경험 정보/자료와 해체 대상 시설의 특성자료를 이용하고, 해체작업 단위 생산성 산출 결과 인자를 활용하여 해체작업 모델링 시스템 (DEMOS)를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해체 대상 원자력시설의 해체계획을 수립하고, 해체 설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의 정부 노임단가 및 해체용 장비의 소요 비용의 DB 자료가 함께 구축되었다.

해체 정보 평가 시스템의 모듈 연구 (A Study on Modularization of a Decommissioning Information Evaluation System)

  • 박희성;김성균;이근우;오원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05-308
    • /
    • 2005
  • 해체 준비 작업부터 해체 후 처리까지 가상의 디지털 해체 환경에서 해체 활동의 예측에 필요한 모듈별 기능들을 요소별로 검토 분석하였다. 해체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듈을 확립하기위해 해체 데이터베이스와 3D CAD 를 연동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3 차원 dosimetric mapping 기술로 방사능 오염 분포를 입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모듈과 제염 해체 단위 작업별 평가식과 가중치 값을 이용하여 해체 작업자수와 해체 시간을 평가할 수 있는 모듈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의 해체 환경에서 연구로 및 원자력 시설 해체시 경제성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해체 일정과 해체 비용을 평가할 수 있는 단위 모듈들의 기능을 활용하여 해체 통합 관리 시스템의 설계 기준과 요구 조건 및 기능을 도출하였다.

  • PDF

디지털 목업 인터페이스 설계 (Design of a Interface for Digital Mock-up)

  • 박희성;김성균;이근우;오원진;진성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403-1406
    • /
    • 2005
  • 원자력 시설 및 연구용 원자로 해체 시 해체 일정과 해체 폐기물량 그리고 해체 비용을 분석하기 위한 평가식이 수립되었다. 연구로 2 호기 Thermal column 자료를 참고하여 평가식을 실험하였다. 해체 공정 모사 결과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주는 가시화 모듈과 해체 일정과 해체 폐기물량, 작업자 피폭선량 및 해체 비용 등을 평가식으로 계산 한 후 그 결과를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모듈로 구성된 해체 디지털 목업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계되었다. 해체 단위 작업별 평가식은 원자력과 관련한 시설 해체 시 해체 일정 및 해체 비용 분석 및 예측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 될 것이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방사능의 오염으로 인해 작업자가 접근하기 힘든 환경에서의 해체 활동을 사전에 경험함으로써 피폭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원자력시설 해체작업 단위생산성 산출 시스템 (The Decommissioning Work-unit Productivity Calculation System)

  • 박승국;문제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06-1209
    • /
    • 2011
  • 해체대상 원자력시설의 해체계획 수립 및 엔지니어링을 위한 전산 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로 1,2호기와 우라늄변환시설의 해체 활동에서 얻어진 귀한 해체 경험 정보/자료와 해체 대상 시설의 특성자료를 이용하여 해체작업 단위 생산성 산출 시스템(DEWOCS)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해체작업 단위생산성 인자값은 해체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개발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원자력시설의 해체설계에 활용될 것이다.

갱폼 거푸집 시스템 (Gang Form Work System)

  • 박병근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5-20
    • /
    • 2002
  • 갱폼이라 함은 주로 고층 아파트에서와 같이 평면상 상ㆍ하부 동일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벽체 거푸집과 거푸집 설치ㆍ해체작업 및 미장ㆍ치장(견출) 작업발판용 케이지(cage)를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대형 거푸집을 말한다. 여기서 케이지는 갱폼에서 외부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 거푸집 설치ㆍ해체작업, 후속 미장, 치장(견출) 등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는데 필요한 작업발판, 안전난간 등으로 구성되어 갱폼 거푸집에 결합된 부분이며, 상부 케이지는 갱품 케이지의 4단 작업발판 중 거푸집 설치ㆍ해체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상부 2단 작업발판 구성 부분이고, 하부 케이지는 미장ㆍ치장(견출)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하부 2단 작업발판 구성 부분을 말한다.(중략)

원전 차폐 콘크리트 구조물 제염해체공사 리스크 분류체계 구축: 구조적 / 작업 리스크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Risk Breakdown Structure of Nuclear Power Plant Decommissioning Project: Focusing on Structural Damage / Work Process Risks)

  • 김별;이주성;안용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8-45
    • /
    • 2018
  • 건설해체공사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원전 제염해체공사에서 구조적 리스크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DOE). 하지만 제염해체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재난재해 및 위험요소는 크게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구조적 재난 및 재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 리스크 역시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재난 및 재해 그리고 리스크 분류체계는 작업의 특성(작업프로세스, 활용장비, 작업 위치 등)별로 분류되어 있지 않아 실제 해체공사를 위한 매뉴얼로 활용하기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차폐 콘크리트 구조물 제염해체공사의 건설해체공사와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작업의 특성별로 분류한 리스크를 도출하는 것은 원자력 발전소 해체공사 리스크 관리에 필수적으로 판단한다.

연구용원자로 해체비용 산정을 위한 단위비용인자 산출 (Calculating the Unit Cost Factors for Decommissioning Cost Estimation of the Nuclear Research Reactor)

  • 정관성;이동규;정종헌;이근우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85-391
    • /
    • 2006
  • 연구용원자로 해체비용은 해체대상물에 대한 특성 및 제원에 맞게 해체작업을 분류하고 구성요소를 설정하여 단위비용인자를 바탕으로 한 공학적 비용 산정 방법으로 해체비용을 산정한다. 연구용원자로에 대한 해체비용은 크게 인건비, 장비 및 재료비로 구성이 되는데 해체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는 해체대상물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바탕으로 계산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용원자로 해체비용 산정 시 인건비 계산에 필요한 단위비용인자 및 작업 난이도 인자를 산출하였다.

  • PDF

석면해체 참여업체가 작업장 인근 주민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Participating Companies Related to Asbestos Dismantling on the Safety of Residents Near Asbestos Dismantling Worksites)

  • 염희상;박종용;이덕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579-588
    • /
    • 2021
  • 연구목적: 석면해체 참여업체가 작업장 인근 주민 안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석면해체 참여업체의 선정에 있어서 중요 기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과 석면안전관리법을 토대로 석면해체 관련 참여업체와 석면해체 작업장 인근 주민 안전에 관한 중요항목을 도출한 후 FGI를 통하여 설문항목을 결정하였고, 영향관계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안전한 석면해체 작업장 주변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석면해체 관련 참여업체(석면해체·제거업자, 석면조사기관, 석면해체작업감리인) 중 석면해체작업감리인의 역량이 영향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석면해체 작업장 인근 주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석면해체작업감리인과 우수한 석면해체·제거업자의 선정이 필수적임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