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운.항만

Search Result 74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 Analysis of Compliance with Information Security Policy Effects on Information Security Ability and Behavior : Focused on Workers of Shipping and Port Organization (정보보안정책 준수가 정보보안능력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해운항만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 Kang, Dayeon;Chang, Myunghee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0 no.1
    • /
    • pp.97-118
    • /
    • 2014
  • Recent accidents of customer information leakage increase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security for organization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team for it. To strengthen information security, organizations mak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ask the members to comply with it. In this regard, maritime organization also needs to structur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examine its ability and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pliance with information security policy on the ability and behavior of workers in shipping and port organizati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show that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and norm affect compliance with information security of the workers. On the contrary, the punishment of information security is insignificant. It is shown that the degree of compliance with information security significantly affects its ability and behavior of the workers in shipping and port organization.

몽골 해운 교육의 현실적 추진 방향에 관한 연구

  • ;Yun, Dae-Geun;Sin, H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31-232
    • /
    • 2013
  • 몽골은 중국과 러시아에 의해 바다를 접할 수 없는 내륙국가로서, 지정학적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해운산업의 역할이 매우 약한 나라이다. 하지만 해상운송의 중요성과 내륙 복합운송의 증대로 인하여 몽골에서도 해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중요한 것이 해운 인적 자원 양성이라고 판단된다.

  • PDF

우리나라 연안해운 지원 정책 분석

  • 박성호;이창희;임상섭;전해동;김진권;이윤철;김종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75-176
    • /
    • 2022
  • 연안해운은 도로운송 다음으로 국내화물 수송분담율이 높은 기간운송 수단이다. 현재 정부는 연안해운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연안해운 지원 정책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글로벌 해상물류허브지수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김정아;신용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4-126
    • /
    • 2023
  •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물류대란, 우크나이나 전쟁으로 시작된 글로벌 이슈가 부산을 비롯한 글로벌 선진 해운도시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평가도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해운도시의 경쟁력과 잠재력을 평가하는 해운도시경쟁력지수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토대를 제공코자 한다.

  • PDF

목포 신항만을 이용하는 해운회사들의 효율적인 공 컨테이너 공동 관리에 관한 연구

  • Mun, Tae-Su;Yun, D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419-421
    • /
    • 2011
  • 물류에 있어서 공 컨테이너로 인한 물류비용 증가에 대해서 기존에 다양한 관심과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공컨테이너의 재배치나 예측에 관한 연구는 많았지만 선박회사의 공컨테이너 운영의 관리운영에 대한 부분은 부족한 면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가 총 운항비용의 20%를 상위하는 현재의 상황에서 공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이용이 비용절감에 중요한 부분임을 감안하여 목포 신항만을 이용하는 해운회사들의 효율적인 공컨테이너 운영 관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해운이슈 - 항만노무공급체제 100년만에 획기적으로 개혁 - 항운노조, 동북아물류중심국가 건설에 적극 동참 -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no.7 s.40
    • /
    • pp.18-23
    • /
    • 2007
  • 인천항 항만인력 상용화가 7월5일 실시된 인천항운노조원 찬반투표에서 가결됨에 따라 확정되었다. 이번 인천항 체제 개편은 부산항과 평택당진항(평택지역) 상용화에 이은 세 번째 성과로 인천노조 항만분야 노조원 전체(1,741명)가 상용화되어 그 원인이 역대 최대규모(부산 1,224명, 평택 275명)이다. 이에 따라 인천을 비롯하여 부산, 평책 당진항에서 100년만에 항만에서의 노무공급체제가 획기적으로 개편된다. 다음은 항운노무인력 상용화에 따른 의의 및 추진상황,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정리한 것이다.

  • PDF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선사들의 부산항 선택요인 변화분석

  • 심민섭;김주혜;김율성;남형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87-388
    • /
    • 2022
  • 세계 주요 글로벌 해운·항만의 산업 트랜드는 COVID-19 바이러스 확산, 글로벌 기업들의 GVC 재편, IMO의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부산항은 2014년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순위 5위였으나 2015년 한진해운 파산 이후 6위로 떨어졌다.

  • PDF

A Study on the Cooperatin and Support For Aids to Navigation in North Korea (북한의 해상안전표지시설 협력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Kim, Min-Chul;Gug, Seung-Gi;Kim, J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1
    • /
    • pp.463-466
    • /
    • 2006
  • 북한의 개방을 가속화 시키고, 개방경제 체제로 나가도록 지원하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해운 항만의 개방이 북한의 대외 개방전략에서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여진다. 이를 위해서는 안전한 해상수송로 확보가 우선되어야 하므로 북한의 해운 및 항만의 실태를 살펴보고 안전한 항행여건의 조성을 위한 항로표지를 설치할 수 있는 남북한 협력체계를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안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Forecasting Manpower Demand for Smart Shipping and Port Logistics (스마트 해운항만물류 인력 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 Sang-Hoon Shin;Yong-John Sh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7 no.3
    • /
    • pp.155-166
    • /
    • 2023
  • Trend analysis and time series analysis were conducted to predict the demand of manpower under the smartization of shipping and port logistics with transportation survey data of Statistic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2000 to 2020 and Statistical Yearbook data of Korean Seafarers from 2004 to 2021. A linear regression model was adopted since the validity of the model was evaluated as the highest in forecasting manpower demand in the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As a result of forecasting the demand of manpower in autonomous ship, remote ship management, smart shipping business, smart port, smart warehouse, and port logistics service from 2021 to 2035, the demand for smart shipping and port logistics personnel was predicted to increase to 8,953 in 2023, 20,688 in 2030, and 26,557 in 2035. This study aimed to increase the predictability of manpower demand through objective estimation analysis, which has been rarely conducted in the smart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Final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help establish future strategie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professionals in smart shipping and port logistics by utilizing the demand forecasting model described in this paper.

해운항만청의 파랑 관측 시스템 현황과 천해 국지 파랑 산출 시스템 구축 방안

  • 연영진;박광순;이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99-99
    • /
    • 1992
  • 해운항만청은 1986년 파랑관측업무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표준 파랑관측망과 국지 파랑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표준파랑관측망은 1987년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설치하여 1991년에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 이 표준파랑관측 시스템은 넓은 해역을 대표할 수 있는 곳에서 원칙적으로 파향스펙트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현장관측 기기와 실시간 자료전달 시스템과 중앙자료센타로 구성되어 그 자료는 해운항만청, 기상청, 수산청, 해양경찰청, 해군, 내무부, 대하 및 연구기관과 해양산업체에서 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