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역복원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Problems and its Improvement of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nd Impact Assessment for Projects Related to Marine Environment Restoration (해양환경복원관련 사업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영향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Yi, Yong Min;Jun, Eun Ju;Lee, Dae In;Kim, Gui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1
    • /
    • pp.34-44
    • /
    • 2019
  • Marine activiti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extensive due to recent social developments, exceeding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the marine ecosystem. The resilience, resistance, and constancy of marine ecosystems are being damaged or degraded. This prevents the ecosystem from functioning properly, leading to a decline in ecosystem services and value. As a means of returning the damaged ecosystem to health, more and more people are interested in restoration. At a time when restoration projects are gradually expanding, various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implementing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nd Impact Assessment for restoration projects need to be checked, in addition to confirming the direction to be pursued. Therefore, in this study terms related to restoration from research papers and reports were summarized, and the status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related to restoration projects and the status of the restoration project were reviewed. In addition, problems with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s were considered through a case study to ensure the successful execution of restoration projects. Based on this, we inte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for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s and Impact Assessments for restoration projects. This will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for future policies and plans.

Analysis of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on Coastal Restoration Project in Gangjin Bay (강진만 해역복원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분석)

  • Hong, Sun-Kee;Kim, Kyung-Wan;Kim, Jae-Eun;Lee, Kyoung-Ah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3
    • /
    • pp.107-127
    • /
    • 2010
  • This research is about the monitoring of people's consciousness on ecosystem change after coastal restoration project in Gangjin Bay. Tidal flat ecosystem of Ganjin Bay was major producing district of short-necked clam in Jeonnam Province. Owing to coastal restoration project (sand gathering and dredging) during 5 years, however, ecosystem was disturbed and harvesting of fish was decreased. Although a few of ark shell and oyster are harvested but drastically decreased. Even aging and depopulation is general situation like other rural regions, life pattern of villages and depopulation in Gangjin Bay was influenced by drastic decreasing of income. As the results of social monitoring, drastic decreasing of fish and shell in Gangjin Bay is significantly concerned with coastal restoration project (sand gathering and dredging) and also with difficulty of fresh-water inflow to coastal bay because of Jangheung Dam. In order to get the detail information on the cause and consequence of ecosystem change in tidal fla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long-term socio-economic monitoring as well as biological and ecosystem monitoring.

Stability evaluation technology in real-time for autonomous ships (소형선박(어선) 실시간 복원성 감시 시스템 실험적 검증)

  • Donghan Woo;Nam-Kyun 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38-238
    • /
    • 2023
  • 소형선박인 어선·낚시어선의 전복 사고로 인한 인명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 되어지고 있다. 소형선박인 어선·낚시어선의 운항 시 선박의 운항자가 선박의 실시간 복원성 상태 인지 없이 어업 또는 낚시 활동하는 동안 해양 환경 상태 또는 적화 상태 변화와 추가적인 외력에 의해서 선박의 전복 사고가 발생 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선박 어선·낚시어선의 실시간 복원성 감시를 위한 안전키트의 실험적 검증을 실시했다. 안전키트의 자이로센서를 활용하여 실시간 횡요각 데이터 측정 및 주파수 분석하여 횡요주기를 도출하고 횡메타센터(GM)을 도출한다. 또한, 실사간 도출된 GM에 따라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비손상 복원성 평가 기준 값을 추정한다. 실험적 검증을 통하여 개발된 소형선박 어선·낚시어선용 안전키트의 정확도 확인 및 개선점을 발견하였으며, 향후 연구 계획에 대해서 제시했다.

  • PDF

Stability evaluation technology in real-time for autonomous ships (자율운항 선박용 실시간 복원성 평가 기술)

  • Donghan Woo;Nam-Kyun Im;Hum Choi;Jins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1-262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의 도래와 예상 할 수 없는 선박의 구조 변화 및 적화 상태 변화로 인한 전복사고로부터 선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복원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율운항선박의 복원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밀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은 운항자에게 사전에 위험을 경고하고 적화상태 보완 또는 평형수 상태 변형 등을 통하여 추가적은 복원성 확보를 위해서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는 실습선의 전자 경사계로 실시간 횡요 주기로 추정한 선박의 메타센터 높이(GM)의 정확도를 실험적으로 검증 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선박의 전자 경사계를 사용하여 선박의 복원성 안정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추정한 선박 GM의 정확도와 향후 연구에서 시스템 개선을 위한 요구 사항을 제시하였습니다.

  • PDF

주문진해역에 적합한 인공어초개발

  • 신문섭;윤영호;유대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134-136
    • /
    • 2003
  • 강원도의 연도별 수산물생산실적을 조사한 표1에서 1995년도 어패류의 총 생산량이 88,030 백만톤이었으나 2000년도의 총생산량은 60,687백만톤으로 32 %가 감소하였다. 이렇게 어획량이 감소하게된 주요원인은 해역의 환경변화가 크다고할 수 있는데, 수면을 육지화 하므로써 그 주위에서 어떠한 환경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환경변화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하는 대책도 마련하여 개발에 따른 피해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손상된 환경을 복원하고, 또한 이러한 것들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새로운 환경을 재생, 창조하는 방법으로서 주문진 연안의 해안선과 기상, 해상 해저 등 물리적인 조건과 생물조건을 고려하여 주문진 해역에 적합한 인공어초를 제시하여야한다. (중략)

  • PDF

소형 낚시선박의 선형변화에 따른 횡요감쇠효과와 복원성 평가

  • Jeong, Jae-Hun;Kim, Gwang-Hun;Lee, Seong-Jong;Lee, Seung-Geon;Mun, Bye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84-285
    • /
    • 2012
  • 레저선박 중 하나인 8톤급 낚시선박에 대한 설계에 앞서, 우수한 복원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실해역에 가장 적합한 선형의 개발이 중요하다. 특히 선행되어야 할 것은 선박의 운동 중 횡요 운동이 선박의 안전성 및 승선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형선 시험 중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경사시험, 자유 횡요 시험 및 GZ 곡선을 통하여 기존선형과 대상선형에 대한 횡요 감쇠효과 및 복원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선형개선에 따른 GM계산 및 횡요운동 주기와 복원성 조사를 통해 낚시선박의 안전성과 승객의 승선감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특히 자유횡요시험 시, 비접촉식 6자유도 운동계측기(Rodym DMM)와 무선 경사계를 이용한 계측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수행함으로서 횡요감쇠효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였고 그 결과 기존 선형보다 대상 선형에 의한 감쇠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개선된 대상선형의 GZ곡선을 이용하여 설계시 적합한 복원성을 조사하였으며 자유횡요시험을 통하여 횡요주기가 증가함으로서 대상선형의 승선감이 더욱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sterias Amurensis image restoration using the research (아무르불가사리의 영상복원을 이용한 연구)

  • Kim, Kang;Jeon,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307-310
    • /
    • 2013
  • 아무르불가사리에 기인한 환경적, 경제적 피해는 해마다 증가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남해와 동해 바다에 널려 있는 불가사리들이 최근 서해안에서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러시아 해역에 서식하는 아무르 불가사리의 개체수가 급증해 어장을 황폐화 시키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엄청난 번식력과 포식력을 지닌 아무르불가사리가 살아있는 조개류를 먹어치우고 있어서 어민들의 피해가 막심합니다. 이 논문은 변형되어진 아무르불가사리의 구조적 특징과 방사대칭 특성을 이용하여 불가사리 영상을 복원하는 복원기법으로 불가사리의 인식률을 높게 하여 불가사리 퇴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 PDF

Basic Data Analysis on Bio Block Placement for Sea grass Field in the Enclosed Bay (반폐쇄해역에서의 잘피장 조성 바이오블록 거치의 기초자료 분석)

  • Ahn, HyoJae;Lee, JoongWoo;Kang, Seo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83-185
    • /
    • 2015
  • 반폐쇄해역에서는 해수교환이 어렵고 육상에서 유입부하와 적조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 때문에 항상 수질과 저질이 악화되기 쉬운 환경에 처해 있어서 이의 개선을 위한 일환으로 해양식물(잘피)의 서식환경을 복원하여 해양정화에 기여하기 위한 친환경적 접근이 필요하다. 다양한 해상환경조건하에서 잘피의 서식은 변화므로 특히, 파랑의 극한 외력여건에 견디는 친환경 잘피 지지구조물 기술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잘피장 조성의 기반기술로 해양식생 지지용 바이오 블록을 개발하고 특히, 관광지 및 해양클러스터 단지로 대외적으로 알려져 있는 영도해역에서 영도구가 야심차게 준비해오고 있는 해상낚시터 인근해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 블록의 현장시범거치를 통해 잘피 등 해양식생을 유도하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대상구역에서의 파랑해석과 식생 조성 후에 파랑의 반응특성을 수치모델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계산 결과는 대상지역에 적용할 사면 피복재로 바이오 블록의 규격을 결정하는데 반영될 것이며 후속 연구에서 실제블록의 제작과 현장거치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ng the Capping Effects of Dredged Materials on the Contaminated Sediment for Remediation and Restoration of the West Sea-Byeong Dumping Site (서해병 폐기물 배출해역 오염퇴적물의 정화·복원을 위한 준설토 피복 효과 평가)

  • Kang, Dong Won;Lee, Kwang Sup;Kim, Young Ryun;Choi, Ki-young;Kim, Cha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2
    • /
    • pp.212-223
    • /
    • 2022
  • For the remediation and restor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 at the West Sea-Byeong dumping site, dredged materials was dumped in 2013, 2014, 2016, and 2017.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enthic fauna in surface sediments of the capping area (5 stations) and natural recovery area (2 stations) were analyzed annually from 2014 to 2020 to evaluate the capping effect of the dredged materials. The natural recovery area had a finer sediment with a mean particle size of 5.91-7.64 Φ, while the sediment in the capping area consisted of coarse-grained particles with a mean particle size of 1.47-3.01 Φ owing to the capping effect of dredged materials. Considering that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s (COD, TOC, and TN) and heavy metals in the capping area are approximately 50 % lower (p<0.05) than that in the natural recovery area,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capping effect of dredged materials. As a result of analyzing macrobenthic assemblages, the number of species and ecological indices of the capping are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 recovery area (p<0.05). The number of species and ecological indices at the capping area were increased for the first four years after the capping in 2013 and 2014 and then tended to decrease thereafter. It is presumed that opportunistic species, which have rapid growth and short lifetime, appeared dominantly during the initial phase of capping, and the additory capping in 2016 and 2017 caused re-disturbance in the habitat environment. In the natural recovery and capping areas, Azti's Marine Biotic Index (AMBI) was evaluated as a fine healthy status because it maintained the level of 2nd grades (Good), whereas Benthic Pollution Index (BPI) remained at the 1st and 2nd grade. Therefore, capping of dredged materials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 in the dumping sit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llution level. However, in terms of the benthic ecosystem, it is recommended that the recovery trend should be monitored long-term.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adaptive management strategy when expanding the project to remediate the contaminated sediment at the dumping area in the future.

Exploring Management Policy Tools Contingent on the Coastal Zoning Types (연안유형 특성에 적합한 지역연안관리 정책도구의 모색)

  • Choi, Sung-Doo;Kim, Young-B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1
    • /
    • pp.39-45
    • /
    • 2011
  •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and developing the coastal management policy tool package contingent upon coastal community circumstance so that coastal regional government may enhance the efficiency of coastal administration and reestablish the coastal region master plan systematically. The 8 coastal policy tools of the already-tested U. S. coastal region government will be utilized as the new alternative on behalf of the Korean coastal region govern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ts survey, these tools especially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tourism, disaster, restoration, and scenary coastal function types. Although this study is exploratory, it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as the basic survey results of the successive research and coastal region policy development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