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 수색구조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nternational Trends for Utilization of Maritim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해상무선통신시스템의 적용에 관한 국제동향 연구)

  • Jeong, Jung-Sik;Kim, Byung-Ok;Jang, Dong-Won;An, Kwang;Choi, Seong-Yo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05a
    • /
    • pp.177-183
    • /
    • 2006
  • IMO and ITU-R have done an intensive study to develop performance standards and technical standards of maritime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respectively. In particular, each administration strives to develop new agenda items of adopting digital new technologies. IMO COMSAR submitted draft performance standard of LRIT to IMO MSC, so that IMO mandates carriage requirement of LRIT In addition to that, COMSAR is preparing performance standard of AIS-SART, and approved the utilization of mobile phones for SAR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a new agenda item concerning E-navigation strategy was submitted to MSC 81th meeting. These challenges toward enhanced maritim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would make it change largely the concepts of traditional navigation We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maritim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s, investigating the study results of IMO and ITU-R.

  • PDF

연안VTS 기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Jeong, Cho-Yeong;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97-199
    • /
    • 2012
  • 우리나라 첫 연안VTS인 진도 연안VTS의 운영 성과를 분석하고, 운영 사례를 조사하여 연안VTS기능에 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안VTS는 관제구역이 넓어 해상교통 특색이 장소마다 상이하며, 집중 관제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았고, 통항선박 중어선과 같은 비관제 대상 선박이 다수를 차지하여 이들의 관제가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선박 운항자의 집중도가 항내보다는 떨어지므로 인적과실에 의한 사고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안VTS는 항만VTS와 같이 정보제공, 항행지원, 교통관리의 역할을 주로 하고 있지만, 수색구조 지원, 해상 보안, 해상치안 업무, 해양오염 대응, 비관제 대상 선박 업무 및 수상레저 안전관리 등의 기능을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ffshore 헬리콥터 운용 중 사고와 생존율 향상을 위한 방안 연구

  • Gu, Ik-Hoe;Kim, Jae-Ho;Bae, Seok-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82-384
    • /
    • 2011
  • 해양구조물에서 헬리콥터는 주로 인력을 수송하지만 비상상황 발생 시 탈출수단 또는 수색 구조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자원을 찾아 깊고 먼 바다로 이동하는 해양구조물의 인력을 수송하기에 헬리콥터는 가장 빠르고 안전한 수단이지만 해상으로 추락과 같은 사고는 발생할 수 있다. 헬리콥터의 수중 추락 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헬리콥터 자체의 안전설비와 운용방식을 발전시키고 탑승자들에게 사전 브리핑을 실시하고 수중탈출 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헬리콥터의 해상 추락 사고를 분석하고 탑승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헬리콥터의 안전설비 및 운용방식과 수중 추락 시 탑승자의 탈출요령에 대한 훈련에 대하여 소개한다.

  • PDF

A Development of Maritime Search and Rescue Supporting System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해상 구조 지원 시스템 개발)

  • Hwang, Hun-Gyu;Kim, Bae-Sung;Woo, Yun-Tae;Shin, Il-Sik;Lee, Jang-S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4
    • /
    • pp.804-810
    • /
    • 2017
  • Distress accidents occur annually by and failure of sea rescue and time delay lead to fatal accident. In the event of maritime distress, most of the equipments used for search and rescue are in responsible for the position of ships. An MOB equipment is a representative equipment for lifesaving and uses AIS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the MOB equipment has problems of interference with existing vessel traffic proces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there is no proper certification standar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aritime search and rescue supporting system using smartphone. Utilizing the widely constructed IT infrastructure, it collect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shing boat and leisure ship using GPS embedded in the smartphone. Also the developed system supports to participate in the rescue by sen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the survivor in a certain area to the ship operator.

An Overview of Operations and Applications of HF Ocean Radar Networks in the Korean Coast (한국연안 고주파 해양레이더망 운영과 활용 개관)

  • Kim, Ho-Kyun;Kim, Jung-Hoon;Son, Young-Tae;Lee, Sang-H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4 no.2_2
    • /
    • pp.351-375
    • /
    • 2018
  • This paper aims to i)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HF ocean radar and the major results and information produced by the radar networks in the Korean coasts to the readers, ii) make an up-to-date inventory of the existing radar systems, and iii) sha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ar operating skill and the ocean current data application. The number of ocean radars has been showing a significant growth over the past 20 years, currently deploying more than 44 radars in the Korean coasts. Most of radars are in operation at the present time for the purposes related to the marine safety, tidal current forecast and understanding of ocean current dynamics, mainly depending on the mission of each organization operating radar network. We hope this overview paper may help expand the applicability of the ocean radar to fisheries, leisure activity on the sea, ocean resource management, oil spill response, coastal environment restoration, search and rescue, and vessel detection etc., beyo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idal and ocean current dynamics. Additionally we hope this paper contributes further to the surveillance activity on our ocean territory by founding a national ocean radar network frame and to the domestic development of ocean radar system including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Against Marine Disasters and Ship Communication (해상 재해 방지와 선박통신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신현식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3 no.3
    • /
    • pp.477-484
    • /
    • 1999
  •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iques, maritim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much changed. Since the maritime communications by the radio telegraph have been initiated, the GMDSS came into internationally effect for the life and safety at the sea from 1992, new maritim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constructed. The new systems have being implemented and applied to merchant ships over 300G/T (or safety of the life. But the annual reports show that most of casualties last 10 years happened to small ships, have been gradually increased. For the improvement of those circumstances, more effective SAR system and administrative plans should be executed.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maritime casualties last 10 years, maritime communication system, and SAR facilities in domestic. Through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we discussed the current situations, summarized several conclusions for the developmental proposals.

  • PDF

Evaluation of Risk Level for Damage of Marine Accidents in SRRs using Fuzzy Theory (해양사고 피해규모에 의한 위험수준 평가)

  • 장운재;금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04a
    • /
    • pp.145-150
    • /
    • 2004
  • This paper suggests an evaluation of risk level for damage of marine accidents in SRRs. Qualitative analyses in words is sometimes priorior to quantative analyses in numeric symbols. This paper intoduces a concept of fuzzy theory with the plenty of related literature riview and AHP in the Korean SRRs of RCC and RSC.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maxㆍmin composition of fuzzy extensive principle, defuzzifiation is centroid of gravity methods. At the result, the evaluation of risk level is especially over Serous for smarine accident of Taean, Gunsan, Mokpo, Yosu, Tongyoung, Busan SRR. This paper recommends that many Resale Vessels and Equipments need to the reduction of risk level about those.

  • PDF

소형선박의 표류특성 추정을 위한 현장 실험

  • Kang, Sin-Young;Lee, 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 no.1
    • /
    • pp.1-8
    • /
    • 1995
  • 해난사고의 발생으로 표류중인 조난선박을 구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작업은 조난선박의 현재 표류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다. 표류지점을 예측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법들은 기본적으로 해류와 바람의 영향을 벡터적으로 합성하여 수색범위를 결정한다. 여기서 해류보다 바람의 영향에 의한 표류(leeway)를 예측하기가 어려운데 leeway는 주로 실물을 이용한 현장실험을 통하여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연안용 소형선박을 대상으로 제주 북방해역에서 실제 표류실험을 하였는데, leeway 산출에는 지금까지의 기법과는 달리 표류선박에서 측정된 상대유속과 유향 그리고 상대풍속과 풍향을 사용하였다. 실험자료로부터 산출된 leeway는 풍속의 약3% 부근이며 leeway angle은 자료중 80%가 -65˚에서 -15˚사이였다.

  • PDF

무인항공시스템 인증기술 동향

  • Choe, Ju-Wo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1
    • /
    • pp.100-107
    • /
    • 2006
  • 민간 무인기의 용도는 수색 및 구조, 환경 및 공해감시, 기상 측정, 화재 및 재난의 조기감지, 국경 및 해양정찰, 항공촬영과 지도제작, 농약살포 그리고 교통감시 등 사람이 수행하기 힘든 3D 임무 및 우리의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 무인항공기의 상업적 성공 여부는 민간 공역으로의 진입 여부에 달려 있으며, 공역 내에서의 자유로운 임무수행을 위해서는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감항당국의 인증이 필수요소이다. 이에 항공선진국 들은 민간 무인기의 신뢰성 누적과 인증을 위한 실현 가능한 방법부터 법제도 정비에까지 많은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본 글에서는 최근 항공선진국들의 무인항공시스템의 신뢰성 추세와 인증동향 그리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여 제시한다.

  • PDF

광달거리 5해리용 전원 일체형 등명기 개발 기술 연구

  • Kim, Ji-Yeong;Man, Dong-U;Park, Se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36-138
    • /
    • 2018
  • 해상에 설치된 등부표에 등화를 밝히기 위해서는 전력 생산장비와 전력 저장장치가 필요로 하는데 등대 및 등부표에 사용하는 등명기는 현재 태양전지와 축전지 및 광원인 등명기를 각기 별도 설치하여 운영하여 등대 관리에 많은 시간과 예산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국제적으로 전원일체형 등명기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받으며, 연안 수역을 운항하는 선박이 항로표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해양사고 발생 시 긴급 수색 및 구조시스템 외에 침몰선박의 위치를 알려주는 기술을 연구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