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환경관리

Search Result 1,13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Consideration of the Method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Marin (해역이용영향의 평가방법에 관한 고찰)

  • Yoon, Sung-Soo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05a
    • /
    • pp.81-84
    • /
    • 2007
  • 해양환경관리법의 개정에 따른 해역이용영향평가제도의 시행에 대비하고 해양환경의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영향평가를 위해서 해역이용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환경영향평가에서 시행하던 평가항목을 재구성하고 해양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양환경의 상세한 영향평가 항목을 설정하였다. 해양환경과 관련한 평가항목을 11개로 세분화하고 기상 및 경관 등을 포함하는 5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총 16개의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평가항목의 세분화는 해양에서의 개발행위에 대한 해양환경을 보다 철저하게 평가하도록 할 것이다.

  • PDF

The Present State and Future Prospect of the Education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 in Korea I.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 on Board Ship (해양오염방지관리인 교육의 현황과 전망 I. 선박 오염방지관리인 교육)

  • Kim, Kwang-Soo;Cho, Dong-Oh;Yun, Jong-Hwui;Cho, Hyeon-Se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05-111
    • /
    • 2009
  •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 system has been opera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marine pollution from ships and marine facilities in Korea. As a new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replacing an old "marine pollution prevention act" had entered into force from January 20, 2008, the works and busines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 are scheduled to transfer from KIMFT(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and FHRDI(Fisheri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to KOEM(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on January 1, 2011. The present state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s on board ships was surveyed and analyzed In order to prospect trainee demand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and to provide KOEM with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new system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The existing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of KIMFT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 on board ships are classified into a regular course of 21 classes for 3 days, a reeducation course of 18 classes for 2 days and a NLS course of 17 classes for 2days. The annual numbers of trainees in 2008 were 516 persons for regular course, 1085 persons for reeducation course and 135 persons for NLS course in KIMFT. The trainee demand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were attempted to be predicted on a basis on annual increase rate of ships. The predicted demand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are changeable depending on the major factors such shipping market, naval architecture industry, etc.

  • PDF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 QA/QC (Quality Assurance/Quality Control) Management System (해양환경 정도관리제도 운영에 대한 고찰)

  • PARK, MI-OK;PARK, JUN-KUN;KIM, SEONG-GIL;KIM, SEONG-SOO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6 no.3
    • /
    • pp.185-200
    • /
    • 2021
  • The Marine Environment QA/QC management system has been operated since 2010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data and improve the analysis capabilities of measurement and analysis institutions. From 2010 to 2020, the cumulative number of measurement and analysis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e QA/QC management system was 266. And the number of certificates issued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182. A total of 32 reference materials for proficiency testing and interlaboratory comparisons have been developed. They were first developed focusing on items (Nutrients, COD) commonly analyzed in marine environmental measuring network, marine pollution impact surveys, sea area utilization impact assessment, deepsea water surveys, and information network on fishing ground environments. In addition, it is time to expand the filed of the QA/QC management system, such as seawater temperature, salinity, PCBs and PAHs in sediments, which are mainly analyzed in most monitoring programs. On-site assessment has been conducted for 162 laboratories according to ISO/IEC 17025 to evaluate their conformity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deficiency. In terms of management and technology requirements, about 4.2% of organizations showed insufficient division of duties among employees 8.7% of them revealed the lack of employee training. By test item, about 6.3% of organizations showed the lack of standard substance management and the state of the cleaning glassware was pointed out in about 5.4% of them. The QA/QC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ontinuously supplemented by identifying the causes of nonconformities and area for improvement.

Diagnosis of Development Projects and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a Areas and Improvement of Impact Assessment (환경관리해역의 이용개발현황과 수질변화경향 및 영향평가 개선방안)

  • Jun, Eun Ju;Yi, Yong Min;Lee, Dae In;Kim, Gui You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8.06a
    • /
    • pp.143-143
    • /
    • 2018
  • 최근 3년간 환경관리해역(환경보전해역 및 특별관리해역)에서 이루어진 해역이용협의 검토 건수는 총 60건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보전해역에서는 2015년 9건, 2016년 7건, 2017년 3건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특별관리해역에서는 2015년 12건, 2016년 13건, 2017년 16건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환경관리해역의 개별사업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공구조물 설치사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항만 어항개발, 연안정비 및 해수 인 배수 사업유형이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관리해역에서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MEIS) 자료를 참고하여 생태기반 해수수질 평가지수(WQI)와 경년별 수질변화경향을 비교한 결과, COD는 뚜렷한 증감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TN과 TP의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별관리해역인 광양만과 마산만 및 환경보전해역인 가막만에서는 빈산소수괴가 출현하였다. 이러한 환경관리해역에서의 이용 개발행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서 등 해양환경부문 환경영향평가시에는 충분한 수질변화에 대한 실태분석 및 사업추진에 따른 수질영향을 철저히 진단해서 오염원관리에 대한 대책이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각 환경관리해역의 지정 목적에 따른 유지 수질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발사업에 따른 협의 평가과정에서의 검증을 위하여 환경관리해역에서의 수질 및 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분석결과에 대한 정도관리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기능과 구성

  • 김영진;오세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98-200
    • /
    • 2022
  • 국제항로표지협회는 항로표지 정보교환과 해양자원의 디지털화를 위해 국제표준을 개발한 바 있으며, 해양정보의 공유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해양서비스 표준개발에 협력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미래 해상교통 환경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스마트 항로표지 고도화 및 정보협력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 중이며, 항로표지 정보협력시스템 실증에 관한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는 항로표지 기본 정적정보 관리, 항로표지 상태와 영상, 해양기상에 동적(실시간)정보관리, 항로표지 신서비스 운영 및 제공이라는 핵심 기능을 가지며, 향후 항로표지 및 연계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항로표지 관리지원, 정보공유 및 신서비스 제공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핵심 기능과 추진 계획을 기술하였으며, 관련 연구개발 사업의 진행과 함께 항로표지 관리 운영 및 서비스 이용자 그룹과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기능과 구성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 PDF